목차
1.서론
1.성립과 특징
2.본론
1.정책 및 특징
3.학자들
1.레온 왈라스
2.파레토
4.로잔느학파의 평가와 발전
1.평가
2.문제점
3.발전
1.성립과 특징
2.본론
1.정책 및 특징
3.학자들
1.레온 왈라스
2.파레토
4.로잔느학파의 평가와 발전
1.평가
2.문제점
3.발전
본문내용
서의 파레토 최적이다 . 이것은 모든 총생산물을 배분함에 있어서 한 구성원이 소득을 감소시킴이 없이는 다름 구성원의 소득을 증가시킬 수 없는 상태를 말한다.
이와 같은 경제학이론 이외에 파레토는 사회분야에도 많은 업적을 남겼다.
Ⅲ. 결론
1.평가
근대경제학의 주류를 형성하는 로잔느 학파의 경제이론은 근대 자연과학의 정신을 이어 받은 것이다. 모든 실체개념을 기능개념으로 대체시키며 질적인 것을 버리고 복잡한 경 제현상속에서 유출한 단순한 경제요인을 양적으로 규정한다. 선택의 이론에서 소비자 수요면을 분석하고 한계생산역설에 의하여 생산재 가격 및 분배문제를 밝혀서 소비, 생 산, 분배에 이르는 일괄된 체계를 갖추게 되었지만 로잔느 학파의 이론에는 다음과 같 은 문제점이 있다. 일반균형방전식에 의하여 경제사회를 분석하고자 하는 이 학파는 경제제량의 측면을 보기 때문에 이질적인 경제현상을 구체적으로 밝히지 못한다. 그리 고 경제제량의 상호의존관계로 가격문제를 다루되 가격의 성립기준이 되는 화폐가치를 밝히지 않고 있다. 또 개별 경제의 사적 비판에 의한 생산 및 소비활동은 사회 전체의 생산과 소비로 균형되지 않는다.
2.문제점
첫째로, 일반균형방정식에 의하여 경제사회를 분석하고자 하는 이 학파는 경제제량의 측면을 보기 때문에 이질적인 경제현상을 구체적으로 구명하지 못한다. 특히 이질적인 경제구조가 교차되어 있는 후진국 경제의 분석에 로잔느학파의 이론은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는 것이다.
둘째는, 경제제량의 상호의존관계로 가격문제를 취급하되 가격의 성립기준이 되는 화폐가치를 밝히지 않고 있다. 가치와 화폐가치의 성립근거를 구명하지 않는 그들의 균형가격론은 가격성립의 실체를 간과한 표면적피동적 성격을 면하지 못한다.
셋째로, 개별경제의 사적 판단에 의한 생산 및 소비활동은 사회전체의 생산과 소비로 균형되지 않는다. 자유경쟁적 자본주의 시대에는 이것이 확보되었으나 생산의 사회적 성격과 소유의 사적 성격과의 모순에 의하여 생산과 소비가 균형되지 않는 자본주의 아래서는 이러한 전제가 적정성을 갖지 못한다.
3.발전
로잔느 학파가 갖는 이러한 한계와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왈라스와 파레토 이후 그들의 이론은 여러 갈래로 발전하엿다.
첫째는, 균형상태의 이론으로 균형조건의 이론으로 발전하는 것인데 스루츠키의 방적식과 힉스의 한계대체율등이 바로 그것이다.
둘째는, 무시간적 경제학인 정태이론에 시간의 요소를 도입하여 동태이론으로 발전하는 것이다. 슘페터의 경제발전이론이 그것이면, 힉스의 정학적 안정조건론에서 사뮤엘슨의 동학적 안정조건론으로 발전된 것이 그것이다.
셋째는, 왈라스의 일반균형체게에 통계치를 적용한 레온티에프의 산업연관의 이론 등이 있다.
♤참고문헌♤
박기혁, 「경제학사」, 법문사, 1982
주명건, 「미국경제사」, 박영사, 1983
김태홍(역), 「자유경제의 철학」,우아당, 1983
주명건, 「경제학사-경제혁명의 구조적 분석」,박영사, 1994
오성동(공), 「경제학설사」, 문영사, 2002
♤인터넷 참고♤
http://www.ecobiz.com
이와 같은 경제학이론 이외에 파레토는 사회분야에도 많은 업적을 남겼다.
Ⅲ. 결론
1.평가
근대경제학의 주류를 형성하는 로잔느 학파의 경제이론은 근대 자연과학의 정신을 이어 받은 것이다. 모든 실체개념을 기능개념으로 대체시키며 질적인 것을 버리고 복잡한 경 제현상속에서 유출한 단순한 경제요인을 양적으로 규정한다. 선택의 이론에서 소비자 수요면을 분석하고 한계생산역설에 의하여 생산재 가격 및 분배문제를 밝혀서 소비, 생 산, 분배에 이르는 일괄된 체계를 갖추게 되었지만 로잔느 학파의 이론에는 다음과 같 은 문제점이 있다. 일반균형방전식에 의하여 경제사회를 분석하고자 하는 이 학파는 경제제량의 측면을 보기 때문에 이질적인 경제현상을 구체적으로 밝히지 못한다. 그리 고 경제제량의 상호의존관계로 가격문제를 다루되 가격의 성립기준이 되는 화폐가치를 밝히지 않고 있다. 또 개별 경제의 사적 비판에 의한 생산 및 소비활동은 사회 전체의 생산과 소비로 균형되지 않는다.
2.문제점
첫째로, 일반균형방정식에 의하여 경제사회를 분석하고자 하는 이 학파는 경제제량의 측면을 보기 때문에 이질적인 경제현상을 구체적으로 구명하지 못한다. 특히 이질적인 경제구조가 교차되어 있는 후진국 경제의 분석에 로잔느학파의 이론은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는 것이다.
둘째는, 경제제량의 상호의존관계로 가격문제를 취급하되 가격의 성립기준이 되는 화폐가치를 밝히지 않고 있다. 가치와 화폐가치의 성립근거를 구명하지 않는 그들의 균형가격론은 가격성립의 실체를 간과한 표면적피동적 성격을 면하지 못한다.
셋째로, 개별경제의 사적 판단에 의한 생산 및 소비활동은 사회전체의 생산과 소비로 균형되지 않는다. 자유경쟁적 자본주의 시대에는 이것이 확보되었으나 생산의 사회적 성격과 소유의 사적 성격과의 모순에 의하여 생산과 소비가 균형되지 않는 자본주의 아래서는 이러한 전제가 적정성을 갖지 못한다.
3.발전
로잔느 학파가 갖는 이러한 한계와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왈라스와 파레토 이후 그들의 이론은 여러 갈래로 발전하엿다.
첫째는, 균형상태의 이론으로 균형조건의 이론으로 발전하는 것인데 스루츠키의 방적식과 힉스의 한계대체율등이 바로 그것이다.
둘째는, 무시간적 경제학인 정태이론에 시간의 요소를 도입하여 동태이론으로 발전하는 것이다. 슘페터의 경제발전이론이 그것이면, 힉스의 정학적 안정조건론에서 사뮤엘슨의 동학적 안정조건론으로 발전된 것이 그것이다.
셋째는, 왈라스의 일반균형체게에 통계치를 적용한 레온티에프의 산업연관의 이론 등이 있다.
♤참고문헌♤
박기혁, 「경제학사」, 법문사, 1982
주명건, 「미국경제사」, 박영사, 1983
김태홍(역), 「자유경제의 철학」,우아당, 1983
주명건, 「경제학사-경제혁명의 구조적 분석」,박영사, 1994
오성동(공), 「경제학설사」, 문영사, 2002
♤인터넷 참고♤
http://www.eco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