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Ⅱ. 본론
Ⅲ. 결론
본문내용
면에 국외용으로는 별다른 매력이 없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산은지주와 우리은행을 붙여 메가뱅크를 만드는 안도 나오지만, 이 안은 ‘산은지주와 우리은행 민영화’라는 대명제부터 어긋나기 때문에 시작부터 걸림돌이 많다.
한편 대형화로 ‘중소기업 대출이 감소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와 함께 ‘우리나라 경제력과 인적자원의 수도권 집중과 지역간 심각한 불균형을 초래해 지방은행의 존립을 위협하고 있다’며 분산 매각을 주장하는 입장도 있었다.
분산매각의 장점으로는 증권사 등 일부 자회사를 분리매각 할 경우 은행권은 물론 중소형사가 난립해 있는 증권·보험업계의 판도변화를 기대해 볼 수 있다는 점과 우리금융 산하 광주은행과 경남은행 역시 취약한 지방은행의 규모를 키우는데도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점이 꼽혔다.
이번 금융권 구조재편은 정치적인 논리가 아닌 시장논리에 의해 이뤄져야 할 것이다. 공적자금을 더 많이 회수하기 위한 최선의 안을 선택했다 하더라도, 당장은 공적자금을 많이 회수해 국민세금을 덜 헛되이 쓴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자칫 합병은행에 문제가 생길 경우 또 다른 국민세금이 투입될 가능성을 아예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1. 안정화 기자, 우리은행 민영화 추진, 한국경제, 10. 2. 3
2. 김소연 기자, '우리은행과 국민은행‘ 합병안 급부상, 매일경제, 10. 4. 24
3. 김자영 기자, 우리금융지주의 블록세일 성공, 뉴스토마토, 10. 4. 9
4. 원정희 기자, 몸집 가벼워져 민영화에 집중, 이데일리, 10. 4. 9
5. 위정환 기자, 우리금융 민영화방식 갑론을박 뜨겁네, 매일경제, 10. 4. 15
6. 공인호 기자, 민영화 적잖은 진통예상, 서울 파이낸스, 10. 4. 18
7. 김수헌 기자, 대형은행들 합병해 공적자금 회수? 가능성 낮아, 한겨레 경제, 10. 3. 18.
8. 안대규 기자, 우리금융 ‘합병 시나리오’ 2∼3개 집중연구. 파이낸셜 뉴스, 10. 4. 8.
9. 박종준 기자, 지방은행노조 “우리금융, 독자 분리 매각해야”, 이뉴스투데이, 10. 4. 20.
10. 김형호 기자, 합병. 폐해 더 클 수 있어, 한국경제, 10. 4. 21.
11. 안치용 저, 트렌치 이코노믹스, 리더스 북, 2009, p.228~240
12. 로버트 토마스코 저, BIGGER ISN'T ALWAYS BETTER(거대기업의 종말), 토네이도,
2007, p.71~97
13. 정운찬 저, 한국경제 아직 늦지 않았다, 나무와 숲, 2007, p.113~129
14. 김중구 저, 위험관리가 회사의 미래를 결정한다, 원앤원북스, 2009, p.186~222
15. 권순우 저, SERI 전망 2009, 삼성경제연구소, 2008, p.53~78
16. 선우석호 저, 21세기 미래경영, 김영사, 2000, p.51~74
17. 박병윤 저, 한국경제 위기 뒤에 찬스 있다, 에디터, 2002, p.58~92
18. 김용조 저, 위기이후 한국 경제의 이해, 새미, 2006, p.111~ 130, 173~ 191,
274~300.
산은지주와 우리은행을 붙여 메가뱅크를 만드는 안도 나오지만, 이 안은 ‘산은지주와 우리은행 민영화’라는 대명제부터 어긋나기 때문에 시작부터 걸림돌이 많다.
한편 대형화로 ‘중소기업 대출이 감소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와 함께 ‘우리나라 경제력과 인적자원의 수도권 집중과 지역간 심각한 불균형을 초래해 지방은행의 존립을 위협하고 있다’며 분산 매각을 주장하는 입장도 있었다.
분산매각의 장점으로는 증권사 등 일부 자회사를 분리매각 할 경우 은행권은 물론 중소형사가 난립해 있는 증권·보험업계의 판도변화를 기대해 볼 수 있다는 점과 우리금융 산하 광주은행과 경남은행 역시 취약한 지방은행의 규모를 키우는데도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점이 꼽혔다.
이번 금융권 구조재편은 정치적인 논리가 아닌 시장논리에 의해 이뤄져야 할 것이다. 공적자금을 더 많이 회수하기 위한 최선의 안을 선택했다 하더라도, 당장은 공적자금을 많이 회수해 국민세금을 덜 헛되이 쓴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자칫 합병은행에 문제가 생길 경우 또 다른 국민세금이 투입될 가능성을 아예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1. 안정화 기자, 우리은행 민영화 추진, 한국경제, 10. 2. 3
2. 김소연 기자, '우리은행과 국민은행‘ 합병안 급부상, 매일경제, 10. 4. 24
3. 김자영 기자, 우리금융지주의 블록세일 성공, 뉴스토마토, 10. 4. 9
4. 원정희 기자, 몸집 가벼워져 민영화에 집중, 이데일리, 10. 4. 9
5. 위정환 기자, 우리금융 민영화방식 갑론을박 뜨겁네, 매일경제, 10. 4. 15
6. 공인호 기자, 민영화 적잖은 진통예상, 서울 파이낸스, 10. 4. 18
7. 김수헌 기자, 대형은행들 합병해 공적자금 회수? 가능성 낮아, 한겨레 경제, 10. 3. 18.
8. 안대규 기자, 우리금융 ‘합병 시나리오’ 2∼3개 집중연구. 파이낸셜 뉴스, 10. 4. 8.
9. 박종준 기자, 지방은행노조 “우리금융, 독자 분리 매각해야”, 이뉴스투데이, 10. 4. 20.
10. 김형호 기자, 합병. 폐해 더 클 수 있어, 한국경제, 10. 4. 21.
11. 안치용 저, 트렌치 이코노믹스, 리더스 북, 2009, p.228~240
12. 로버트 토마스코 저, BIGGER ISN'T ALWAYS BETTER(거대기업의 종말), 토네이도,
2007, p.71~97
13. 정운찬 저, 한국경제 아직 늦지 않았다, 나무와 숲, 2007, p.113~129
14. 김중구 저, 위험관리가 회사의 미래를 결정한다, 원앤원북스, 2009, p.186~222
15. 권순우 저, SERI 전망 2009, 삼성경제연구소, 2008, p.53~78
16. 선우석호 저, 21세기 미래경영, 김영사, 2000, p.51~74
17. 박병윤 저, 한국경제 위기 뒤에 찬스 있다, 에디터, 2002, p.58~92
18. 김용조 저, 위기이후 한국 경제의 이해, 새미, 2006, p.111~ 130, 173~ 191,
274~300.
키워드
추천자료
[지역사회영양학 (A+완성)] 우리 나라의 건강 실태와 질병 구조의 변화 정리 및 지역사회 실...
(어린이집 수업 계획안) 유아 활동 계획안 - 안전한 우리 집을 위한 활동 - 안전활동 [A+자료]
생활 속에 과학 우리 전통의 온돌(구들)-한국과학사(A+레포트)
'CEO 안철수,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에 대한 독후감(A+서평)
[A+ Report, 인간과과학] 현대의 과학기술이 지닌 여러 가지 특징을 쓰고, 이 특징이 가져온 ...
[A+평가독후감] 구글드 독후감 서평, 개인적인 감상과 느낀 점과 교훈은 무엇인가? - 우리에...
(A+, 한국사회문제) 우리 사회 빈부격차의 현황을 살펴보고 그 원인에 대해 논해 보시오.
장자의 제물론을 통해 본 '우리시대에 필요한 시비판단의 형태' (A+)
[독후감] (A+) 『리더십의 법칙』을 읽고 나서 - 리더십은 무엇이며 리더십이 우리에게 중요...
[유아교육 활동계획안A+] 우리 가족 명화 그리기를 통해 예술황동 표현력을 기르며 가족구조 ...
(A+) [일본 문화의 이해] “독도(獨島)는 우리땅” (독도 위치, 독도의 자원과 경제적 가치, 독...
(A+, 교직 논설문) 우리대학의 장애학생(障&#31001;學生)에 대한 시설 배려수준
커피와 바리스타 A+ 레포트 - 공정무역 커피(Fair Trade Coffee), 우리도 이제 착한 커피를 ...
[A+ 독후감] 빨강머리 앤이 하는 말 (아직 너무 늦지 않았을 우리에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