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지방자치단체 CI(Corporate Identity)의 의의
Ⅲ. 춘천시의 CI 현황 및 문제점과 개선방안
Ⅵ. 결론
참고문헌
Ⅱ. 지방자치단체 CI(Corporate Identity)의 의의
Ⅲ. 춘천시의 CI 현황 및 문제점과 개선방안
Ⅵ.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추기 위해 다각적인 노력을 하였고 최근엔 기업에서 시행되면 이미지통합(CI)를 지방자치단체에 도입하여 자치단체마다 CI(City Identity) 개발 붐이 일고 있다. 지자체의 CI도입은 종래의 중앙집권적인 관 이미지를 배제하고 수평적이며 인간미 넘치는 도시를 만드는 데 그 목적이 있으며, 지방화 시대를 맞이하여 지방도시 고유의 브랜드화를 통해 시각이미지를 개성화하고 타 지역과 차별화하여 지역의 특산물과 생산품의 대외경쟁력을 높이고 소득상승의 효과를 위한 수단으로도 쓰고자하였다.
분권시대에 도시 이미지를 차별화하려는 의도로, 캐릭터 공화국 또는 캐릭터 공해라는 말까지 나올 정도로 쏟아지고 있지만, 오히려 지자체에서 채택된 심볼이 상징하는 바가 너무 비슷하여, 보는 이로 하여금 혼란은 초래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한다. 또한 지방자치단체의 CI는 공공기관이라는 특성상 기업보다는 활성화되어 있지 못하다. 이는 전문 인력의 부족으로 CI에 대한 올바른 정보와 정확한 지식없이 맹목적으로 도입하였기 때문에 오히려 역기능과 부작용을 초래하는 것이다.
지자체의 CI를 활용하는 방안에 있어 보다 전문적인 인력이 필요하며, 관 주도의 홍보정책 식 CI가 아닌 주민과의 수평적이고도 활발한 커뮤니케이션을 주고받아 주민과의 연대감을 고취시키고 창의적 아이디어를 얻음으로써 춘천시만의 고유 도시브랜드를 구축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오주환, 『지자체의 지역브랜드 경쟁력 제고 방안에 관한 연구 : 성북구를 중심으로』, 성균관대 언론정보대학원, 2006.
춘천시 홈페이지 (http://www.chuncheon.go.kr)
분권시대에 도시 이미지를 차별화하려는 의도로, 캐릭터 공화국 또는 캐릭터 공해라는 말까지 나올 정도로 쏟아지고 있지만, 오히려 지자체에서 채택된 심볼이 상징하는 바가 너무 비슷하여, 보는 이로 하여금 혼란은 초래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한다. 또한 지방자치단체의 CI는 공공기관이라는 특성상 기업보다는 활성화되어 있지 못하다. 이는 전문 인력의 부족으로 CI에 대한 올바른 정보와 정확한 지식없이 맹목적으로 도입하였기 때문에 오히려 역기능과 부작용을 초래하는 것이다.
지자체의 CI를 활용하는 방안에 있어 보다 전문적인 인력이 필요하며, 관 주도의 홍보정책 식 CI가 아닌 주민과의 수평적이고도 활발한 커뮤니케이션을 주고받아 주민과의 연대감을 고취시키고 창의적 아이디어를 얻음으로써 춘천시만의 고유 도시브랜드를 구축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오주환, 『지자체의 지역브랜드 경쟁력 제고 방안에 관한 연구 : 성북구를 중심으로』, 성균관대 언론정보대학원, 2006.
춘천시 홈페이지 (http://www.chuncheon.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