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교육][캐나다][미국][영국][호주][캐나다의 미디어교육][미국의 미디어교육][영국의 미디어교육][호주의 미디어교육]캐나다의 미디어교육, 미국의 미디어교육, 영국의 미디어교육, 호주의 미디어교육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미디어교육][캐나다][미국][영국][호주][캐나다의 미디어교육][미국의 미디어교육][영국의 미디어교육][호주의 미디어교육]캐나다의 미디어교육, 미국의 미디어교육, 영국의 미디어교육, 호주의 미디어교육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캐나다의 미디어교육

Ⅱ. 미국의 미디어교육

Ⅲ. 영국의 미디어교육
1. 영국 미디어 교육의 특징
2. 미디어 교육의 현황

Ⅳ. 호주의 미디어교육
1. 카톨릭 교육 협회
1) 1-3학년
2) 4-6학년
3) 7-12학년(중등 교육 과정)
2. 서부 호주 교육부

참고문헌

본문내용

혹은 못 만들어졌다는 차원이 아니라, 학생들이 텔레비전을 선택적으로 이용하고, 프로그램을 볼 때 제작자들과 정부 당국의 존재를 인식함으로 해서 텔레비전에 대한 개인적 책임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2. 서부 호주 교육부
1980년대 초 미디어 교육 교사들은 [호주 미디어 교사 연합(Australian Teachers of Media(ATOM)]을 설립했다. 그들은 1984년 5월 시드니에서 첫 전국 회의를 개최했으며 1988년 9월, 브리스반(Brisbane)에서 두 번째 회의를 개최했다. 이 전국 회의를 통해 미디어 교육에 대한 이론적 관점을 뚜렷이 하고 미디어 교육을 실행하는데 이용될 자료들을 확충하는 계기를 마련했다. 이러한 노력은 특히 맥마한(B. McMahon)과 퀸(R. Quin)에 의해 주도되었다. 맥마한은 서부 호주 교육부의 미디어 담당자로 참여했고, 퀸은 ATOM 회장으로 서부 호주 대학에서 미디어 학회 학장으로 복무한 경력이 있다.
서부 호주 교육부의 미디어 교육에 대한 주요 목적은 넓은 의미에서 미디어 해독능력(literacy)을 키우는 것이다. 즉, 커뮤니케이션 체제는 현대 사회에서 커뮤니케이션의 가장 중요한 부분을 형성하고 있으며, 그 영향을 이해하기 위해서 매스미디어의 ‘언어’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는 관점에서 출발한다. 언어와 언어를 생성하는 문화간의 연관 관계, 그리고 메시지 제작과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경제적 요인들과 메시지를 이해하는 방법들간의 연관 관계도 파악해야 된다.
커리큘럼은 미디어 수용자가 메시지를 수동적으로 수용하는 위치에 있는 것이 아니라 메시지로부터 ‘의미를 만들어 내는’ 능동적 위치에 두는 것을 강조하고 있으며, 자료 구성은 주입식 접근 방식을 가급적 피하고 있다. 주요 교재는 1987년 서부 호주 교육부가 출간한 「중등학교용 미디어(The Unit Curriculum: Media Studies for lower secondary schools)」 개정판이다. 이 책은 6단계의 교육 과정으로 구성되어 있고 총 40시간으로 짜여졌다. 다음은 교재가 다루고 있는 6단계 주제들이다.
<서부 호주 교육부의 미디어 교육 커리큘럼>
○ 미디어 교육에 대한 소개(Introduction to media education)
○ 미디어 언어 이해력 개발(Development of understandings about media language)
○ 내러티브와 장르 이해(Understanding of narrative and genre)
○ 표현/재현 연구(Study of representation)
○ 미디어 이슈에 대한 제반조사(Investigation of media issues)
11, 12학년 아이들을 위한 교육 과정에는 대중(mass)과 미디어(media)라는 용어가 가리키는 의미를 분석하고 영화/라디오/텔레비전의 특성을 구체화한 내용, 미디어 분석에 대한 이론 등이 첨가된다. 또 영화/텔레비전 장르와 라디오 포맷, 리얼리즘에 대한 공부를 다루는 등 거시 사회 이론의 하나로 미디어를 분석하고 있다.
참고문헌
곽기성, 호주의 미디어-다문화주의와 미디어, 커뮤니케이션북스, 2001
김영순 외, 미디어교육과 사귐, 연극과 인간, 2004
스가야 아키코, 안해룡·안미라 옮김, 미디어 리터러시 : 미국영국캐나다의 새로운 미디어 교육현장 보고, 커뮤니케이션북스, 2001
원용진, 미국의 미디어 교육, 세계 미디어 교육 모델, 한국언론재단, 2000
안정임, 캐나다의 미디어 교육, 세계 미디어교육 모델, 한국언론재단, 2000
은혜정, 영국의 미디어 교육, 세계 미디어 교육 모델, 한국언론재단, 2000

추천자료

  • 가격5,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1.07.0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74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