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고 장애인이라는 단어를 친구라는 말로 바꾸어서 생각하고 몸이 조금 불편하더라고 도와주며 친구로 지내면서 지내면 참 아름다운 세상이 될 것이다. 장애인이라는 말이 나와서 생각이 났다. 오체불만족 이라는 책을 읽었을 때도 이 느낌과 똑같은 마음이 들었다. 그 사람은 장애인 임에도 불구하고 우리랑 똑같은 마음을 가졌을 뿐만 아니라 말도하고 성장도하고 울기도하고 웃기도 한다. 하지만 그 사람은 어릴 때부터 차별을 당해왔다.
현재 장애인들은 비장애인들의 놀림과 괴로움 이 고달픈 삶 속에 파묻혀 괴로워하며 살아가고 있다. 그런 장애인들 곁에 우리 같은 멀쩡한 사람들이 먼저 다가가서 도와주는 것만으로도 장애인들은 행복해 하며 미소를 보일 것이다.
이번 조사를 하면서 장애인 자신도 많이 힘들겠지만 그 장애아동들을 키우는 부모님들도 엄청나게 힘들 것이라고 생각이 들었다. 부모도 사람인지라 화도 나고 한데, 아이가 장애를 가졌단 이유로 화도 제대로 못 내고,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것 같다. 위의 틱장애 아동을 키우고 계시는 어머니의 사례를 보니 참 대단한 어머니인 것 같다. 스스로 해결 방법을 터득해 지금은 잘 지내고 계시는 것 같다. 글만 읽어도 어머니가 얼마나 힘드셨을까 느낌이 그대로 전해졌다. 아이가 장애가 있다고 해서 죄를 지은 건 아니지 않은가. 자기도 장애가 있고 싶어서 생긴 것도 아니다. 이런 것을 생각하면 우리는 장애인들을 만나게 되도 무관심, 비판, 질책을 하지 않고 저들도 우리와 똑같은 생각을 하고 똑같은 사람이라는 것을 인지 해야 할 것이다. 요즘에 들어서는 장애인들에 대한 인식이 예전보다 점차 나아지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우선 가장 쉬운 이유로 영화 마라톤이나 TV프로그램에서 장애인에 대한 편견을 해소하기에 충분한 대중매체의 효과를 꼽을 수가 있다. MBC 신동엽이 나와서 진행하는 프로그램에 부산의 자폐를 가진 수영선수에 대한 이야기도 그렇고 영화 마라톤도 그렇고 또 기타 장애인들의 성공수기 등으로 장애인에 대한 꽉 막혔던 벽이 많이 무너지지 않았을까 하고 생각이 든다. 많은 장애인들을 위해 우리나라는 더욱 더 장애복지를 발전시켜야 할 것이고, 장애인들을 이상한 시선으로 바라보는 선입견들을 고쳐야 할 것이다. 또한 이들이 사회생활을 하는데 있어서 비장애인들은 많이 도와주고 좋은 눈길로 바라보아야 할 것이다.
장애인에 대한 이해는 바로 따뜻한 사랑과 따뜻한 정성, 그리고 따뜻한 손길 인 것 같다.
현재 장애인들은 비장애인들의 놀림과 괴로움 이 고달픈 삶 속에 파묻혀 괴로워하며 살아가고 있다. 그런 장애인들 곁에 우리 같은 멀쩡한 사람들이 먼저 다가가서 도와주는 것만으로도 장애인들은 행복해 하며 미소를 보일 것이다.
이번 조사를 하면서 장애인 자신도 많이 힘들겠지만 그 장애아동들을 키우는 부모님들도 엄청나게 힘들 것이라고 생각이 들었다. 부모도 사람인지라 화도 나고 한데, 아이가 장애를 가졌단 이유로 화도 제대로 못 내고,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것 같다. 위의 틱장애 아동을 키우고 계시는 어머니의 사례를 보니 참 대단한 어머니인 것 같다. 스스로 해결 방법을 터득해 지금은 잘 지내고 계시는 것 같다. 글만 읽어도 어머니가 얼마나 힘드셨을까 느낌이 그대로 전해졌다. 아이가 장애가 있다고 해서 죄를 지은 건 아니지 않은가. 자기도 장애가 있고 싶어서 생긴 것도 아니다. 이런 것을 생각하면 우리는 장애인들을 만나게 되도 무관심, 비판, 질책을 하지 않고 저들도 우리와 똑같은 생각을 하고 똑같은 사람이라는 것을 인지 해야 할 것이다. 요즘에 들어서는 장애인들에 대한 인식이 예전보다 점차 나아지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우선 가장 쉬운 이유로 영화 마라톤이나 TV프로그램에서 장애인에 대한 편견을 해소하기에 충분한 대중매체의 효과를 꼽을 수가 있다. MBC 신동엽이 나와서 진행하는 프로그램에 부산의 자폐를 가진 수영선수에 대한 이야기도 그렇고 영화 마라톤도 그렇고 또 기타 장애인들의 성공수기 등으로 장애인에 대한 꽉 막혔던 벽이 많이 무너지지 않았을까 하고 생각이 든다. 많은 장애인들을 위해 우리나라는 더욱 더 장애복지를 발전시켜야 할 것이고, 장애인들을 이상한 시선으로 바라보는 선입견들을 고쳐야 할 것이다. 또한 이들이 사회생활을 하는데 있어서 비장애인들은 많이 도와주고 좋은 눈길로 바라보아야 할 것이다.
장애인에 대한 이해는 바로 따뜻한 사랑과 따뜻한 정성, 그리고 따뜻한 손길 인 것 같다.
추천자료
아동발달장애 치료 사례
[장애인복지]장애인복지의 이념과 필요성 및 개선 방안 분석(장애인복지의 개념과 이념, 장애...
장애인복지 정의, 장애인복지 이념, 장애인복지 발달과정, 장애인복지 원칙, 정보화와 장애인...
[프로그램개발과평가]장애인과 비장애인아동의 통합교육
장애아동의 일반학교 통합교육 사례 보고서
[의사소통기능][의사소통능력]의사소통기능의 정의, 의사소통기능의 분류, 의사소통기능의 범...
감성교육(지도)프로그램 사례, STS(과학기술사회)교육(지도)프로그램 사례, 장애아동통합교육...
[어린이집 분석] 장애아동 통합교육의 실제 사례와 특징 및 감상 (실제 수업 지도안 분석)
발달장애아동 사례관리,과정평가 첨부
사회성의 발달(사회성발달)의 의의,요인, 사회성의 발달(사회성발달)과 몬테소리교육, 장애아...
아동복지실천 대상별 중(학대아동, 보육아동, 장애아동, 한부모가정아동, 입양아동) 한 분야...
<지적장애> 어린이집 활동계획안 : 지적장애 정의, 지적 장애아동 교육방법, 지적 장애아동 ...
[아동상담사례] 선택적 함묵증 아동의 치료사례(장애아동 상담치료 사례분석)
장애아동-정신적인 건강을 증진시키는 다각도의 접근 사례 보고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