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장질환 및 신장의 식이요법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신장의 위치
신장의 기능
신장이식 후 식이요법
신장기능을 회복하기 위한 섭생수칙
급성신우신염
만성신우신염
신우신염
신장암
신장결석
신증후군
사구체신염
급성 사구체신염
만성 사구체신염
만성신부전증
급성신부전증
민간요법

본문내용

신장질환 및 신장의 식이요법




신장의 위치


 ≪ 그 림 ≫

위치 : 양측 옆구리
(후복막), 상부 요추 높이에
각각 한개씩

크기 : 한개의 신장은
대략 자신의 주먹 크기와 비슷하다





신장의 기능


 ≪ 그 림 ≫

- 혈액 속에 노폐물과 수분 무기염류를 오줌의 형태로 내보냄

- 혈액내의 이온의 농도, PH, 혈압을 조절

- 비타민D를 활성화→소장에서 칼슘흡수를 도움

- 여러가지 호르몬 합성에 관여




신장이식 후 식이요법


① 단백질
신장이식 직후 첫 한달 = 1.3 ∼ 1.5g/kg 열량은 30 ∼ 35kcal 권장.
(이후 당 1g/kg )

지나친 단백질의 섭취 = 이식부전을 촉진→ 신장기능을 저하.

이식부전이 있을 경우 = 0.6g/kg 단백질 섭취 제한

열량 = 체격조건과 활동 양에 따라 개별적으로 고려
당질= 전체 열량의 50% 이하 지방= 35% 이하

콜레스테롤 = 300 ∼ 500mg/day 이하

③ 비타민과 무기질 보충하거나 제한.

비타민 D의 대사 정상화, 면역억제제의 사용 → 칼슘의 재흡수가 촉진,
인의 배설이 촉진 → 고칼슘혈증과 저인혈증이 나타날 수 있음

④ 나트륨 = 2,000 ∼ 4,000mg 조절





신장기능을 회복하기 위한 섭생수칙


① 꼭 필요한 열량만큼 적정량의 음식물을 섭취한다.
② 지방 섭취를 줄이고 가능한 식물성 기름으로 대신한다.
③ 당질은 충분히 섭취한다.
④ 가장 큰 에너지원인 당질 섭취가 부족하면 간에서 단백질을 분해해 포도당을 합성하므로 간에 부담이 가게 된다.
⑤ 체질에 맞는 비타민과 미네랄 식품은 충분히 먹는 것이 좋다.
⑥ 탄산음료, 흰 설탕은 금물이다.
⑦ 술과 담배는 반드시 끊는다
⑧ 과로를 피하고 적절한 휴식으로 안정을 취한다.
  • 가격3,000
  • 페이지수27페이지
  • 등록일2011.07.05
  • 저작시기2011.7
  • 파일형식파워포인트(ppt)
  • 자료번호#68790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