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우리나라의 쌀문화
Ⅰ. 쌀문화의 변천단계
1. 제1기(일제시대~1929년: 식량 절대 부족기)
2. 제2기(1960년대: 혼, 분식 장려기)
3. 제3기(1970년대: 쌀 자급달성기)
4. 제4기(1980년대: 쌀문화의 변화기)
5. 제5기(1990년대 이후: 쌀문화의 안정기)
Ⅱ. 쌀의 영양적 특성
1. 쌀의 당질
2. 쌀의 식이섬유
3. 쌀의 단백질
4. 쌀의 지방
5. 쌀의 무기질
6. 쌀의 비타민
Ⅲ. 쌀의 기능적 우수성
1. 콜레스테롤 저하효과
2. 향산화효과
3. 혈압조절효과
4. 당뇨예방효과
5. 돌연변이 억제와 암예방효과
Ⅳ. 쌀의 생산과 소비
1. 세계의 쌀 수급동향 및 전망
가) 생산동향
나) 소비 및 재고동향
2. 우리나라의 쌀수급 동향 및 전망
가) 소비량 감소
나) 공급능력 증가
다) 수급 및 재고동향
Ⅴ. 쌀과 건강
1. 최근의 식생활 실태
가) 식생활의 서구화
나) 외식 및 결식율 증가
다) 쌀소비는 감소하고 밀소비는 증가
라) 식생활의 서구화가 우리에게 주는 영향
2. 올바른 식생활
가) 쌀을 중심으로 한 한국형 식생활
나) 아침밥은 꼭 챙겨먹자
Ⅵ. 세계의 쌀음식
1. 말레이시아
2. 베트남
3. 인도
4. 멕시코
* 참고문헌
Ⅰ. 쌀문화의 변천단계
1. 제1기(일제시대~1929년: 식량 절대 부족기)
2. 제2기(1960년대: 혼, 분식 장려기)
3. 제3기(1970년대: 쌀 자급달성기)
4. 제4기(1980년대: 쌀문화의 변화기)
5. 제5기(1990년대 이후: 쌀문화의 안정기)
Ⅱ. 쌀의 영양적 특성
1. 쌀의 당질
2. 쌀의 식이섬유
3. 쌀의 단백질
4. 쌀의 지방
5. 쌀의 무기질
6. 쌀의 비타민
Ⅲ. 쌀의 기능적 우수성
1. 콜레스테롤 저하효과
2. 향산화효과
3. 혈압조절효과
4. 당뇨예방효과
5. 돌연변이 억제와 암예방효과
Ⅳ. 쌀의 생산과 소비
1. 세계의 쌀 수급동향 및 전망
가) 생산동향
나) 소비 및 재고동향
2. 우리나라의 쌀수급 동향 및 전망
가) 소비량 감소
나) 공급능력 증가
다) 수급 및 재고동향
Ⅴ. 쌀과 건강
1. 최근의 식생활 실태
가) 식생활의 서구화
나) 외식 및 결식율 증가
다) 쌀소비는 감소하고 밀소비는 증가
라) 식생활의 서구화가 우리에게 주는 영향
2. 올바른 식생활
가) 쌀을 중심으로 한 한국형 식생활
나) 아침밥은 꼭 챙겨먹자
Ⅵ. 세계의 쌀음식
1. 말레이시아
2. 베트남
3. 인도
4. 멕시코
* 참고문헌
본문내용
당뇨병 고혈압 암과 같은 성인병이 증가한다.
(2) 올바를 식생활
올바른 식생활이란 찰을 중심으로 한 한국형 식생활로 제때에, 다양한 식품
들을 골고루, 자신의 체중과 활동량에 알맞게, 싱겁게 그리고 온 가족이 한 자
리에 모여 즐겁게 먹는 것이다.
가) 쌀을 중심으로 한 한국형 식생활
한국형 식생활이란 쌀밥에 국 김치 등을 포함한 우리 고유의 기본음식에 다
양한 부식을 곁들인 균형 잡힌 식생활을 말한다.
쌀중심 한국형 식생활의 좋은 점은 다음과 같다.
1. 쌀밥은 모든 반찬과 어울린다. 쌀밥은 고기 생선 난류 두류 채소 유
지류 등 거의 모든 반찬과 잘 어울린다. 합은 같이 먹을 수 있는 식품이
많지 않아 골고루 영양을 섭취하기 어렵다.
2. 쌀밥에 부식을 곁들여 균형식을 할 수 있다. 쌀밥에 구색을 갖추어 차려진
부식은 영양면에서 거의 완벽한 균형을 이를 수 있어 구미의 어떠한 일상
식보다도 합리적인 영양섭취가 가능하다.
3. 다양한 맛을 즐길 수 있다. 원하는 종류와 양의 밥과 반찬을 입에 넣고 혼
합하여 먹음으로써 입안에서 맛을 조절할 수 있으며, 다양한부식의 맛과
조화시켜 다양하게 맛을 변화시키고 창조할 수 있다.
4. 조리하기 쉽다. 발을 솥에 안치고 물만 부어 가열하면 되므로 일상식으로
는 안성맞춤이다.
5. 쌀밥은 싼 값으로 높은 칼로리를 낼 수 있다. 쌀은 양질의 식품이라고 일컬
어지는 쇠고기나 우유에 비해 값이 만 편이므로 주식으로서 이용하기가 쉽
고 그 가치도 높다.
6. 우리 몸은 쌀밥에 맞게 적응되어 있다. 한국인은 치아형태, 장의 길이, 소
화액 분비, 장내 세균 등이 쌀밥에 맞도록 적응이 되어 있다.
나) 아침밥은 꼭 챙겨먹자
1. 두뇌의 발달은 식사로 결정된다. 뇌는 대단한 에너지를 필요로 하는 곳이
다. 성인의 뇌의 크기는 평균적으로 체중의 2%(1/50) 정도이며, 에너지소비
량은 신체 전체의 약 20% 정도가 된다. 근육과 피부의 에너지소비량은 25
% 정도가 되므로 체중의 절반을 점유하는 근육과 피부의 에너지소비량과
거의 비슷한 정도의 양을 불과 신체의 2%를 점하는 뇌가 사용한다고 하는
것이다. 어린이들은 사용비율이 더 커서 출생 직후에 뇌는 전체 에너지소
비량의 50%를 사용한다.
2. 1일 최저 100g 정도의 포도당이 필요하다. 뇌는 일상적으로 포도당을 에
너지로 사용하고 있다. 그래서 뇌의 에너지 이용은 두드러진 특징을 갖고 있
는데, 뇌의 1일당 포도당 사용량은 약 100g이다. 뇌에서 포도당을 산소로
연소시키면 이산화탄소와 물이 된다. 그러므로 뇌에는 1일당 최저 100g 정
도의 포도당을 보내주지 않으면 안된다. 포도당과 산소가 충분히 공급되
지 않으면 뇌의 신경세포가 죽게 된다. 죽은 세포가 많아지게 되면 식물인
간이 된다. 그러므로 항상 포도당을 뇌에 보내 주는 것이 사람이 살 수 있
게 한다.
3. 아침을 거르면 두뇌회전에 필요한 포도당 부족으로 오전 내내 집중력과
사고력이 떨어지고, 심리적인 불안감과 우울 및 행동과다 증상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점심이나 저녁식사를 과식하게 되어 비만과 영양불균형을 초래
하고, 가족간의 아침대화가 단절되어 가정의 화목을 해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보면 아침밥은 꼭 먹지 않으면 안된다. 에너지로서 가장 좋은
것은 전분질이다. 전분질을 먹으면 소화기관 내에서 포도당으로 변하고, 그것이
뇌에 보내지는 것이다. 곡류에는 전분질이 특히 많다. 전분질이 많은 쌀로 지은
밥을 먹으면 두뇌활동이 원활해진다.
6) 세계의 쌀음식
벼농사를 하지 않는 지대에도 쌀밥을 먹는 습관은 점점 확산되고 있다. 예를
들면 태평양의 마그로네시아(Mieronesia)섬들의 전통적 주식작물은 토란 얌 합
나무열매이다. 그러나 일본의 통치시대의 쌀맛을 기억하는 섬사람들은 현재에도
돈만 있으면 일본이나 캘리포니아에서 수입한 발을 사서 일본으로부터 수입한
무쇠솔으로 밥을 지어 먹는다. 쌀밥은 맛도 있지만 방이나 면에 비해 조리가 간
단하다는 것이 확산되는 이유 중의 하나라고 한다.
(1) 말레이시아
락사(laksa)라고 하여 맵지 않은 커리 가루에 코코넛 밀크를 넣은 후 닭고기
쇠고기 혹은 염소고기를 참은 코마(koma), 생선과 잎으로 만든 수프에 쌀국수를
넣고 그 위에 채소가루를 뿌린 요리를 먹는다.
(2) 베 트 남
퍼(pho)라는 일종의 쌀국수가 있다. 밑에서 수증기를 올리는 판 위에 헝겊을
곱게 깔고 물에 불린 멥쌀가루를 그 위에 펴면 금세 익어 꾸덕꾸덕하게 되는데,
이것을 메어내어 차곡차곡 방아 두었다가 우리 나라의 칼국수보다 더 가늘게 설
어 국수를 만든다. 이것을 커다란 국수그릇에 담고 샬롯(파슬리의 일종)과 생숙
주나물 등을 없고 그 위에 쇠고기나 닭고기 썬 것을 얹는다. 고기의 때를 곤 육
수를 사용하며, 기호에 따라 매운 고출가루나 레몬즙 등을 곁들여 먹는다.
(3) 인도
도사(dosa)라고 하여 쌀과 코코넛을 배합하여 만든 주식류의 빵 콤과 쌀가루
를 반죽해서 철판 위에 않게 구운 요리가 있는데, 크레이프라고도 부른다. 또한
인디카 계통의 쌀을 고기와 같이 찐 쌀요리가 있는데, 쌀에 향신료를 넣어 지은
밥은 \'풀라우\'(pulau), 레몬으로 맛을 낸 밥은 \'레몬 라이스\' 향신료와 너트를 이
용한 고급 쌀요리는 \'바리야니\'(bariyani)라고 부른다.
(4) 멕시코
주로 가벼운 식사나 애피타이저로 코스 중간에 나오는 \'소파 세카\'(sopa seca)
는 인디카형의 쌀을 양파 마늘 토마토 파슬리 코리앤더 큐민 통후추 등
을 닭기름으로 볶은 요리로, 이 때 밥은 미리 뚜껑을 연 채로 뜨거운 물에 익히
고 물을 따라 놓았다가 특이한 여러 가지 재료들을 넣고 뜨거운 불에 볶아 낸다.
* 참고문헌
- 김윤태, 지구촌음식문화, 대왕사, 2006
- 박춘란, 식생활문화, 효일문화사, 2002
- 김혜영 외, 문화와 식생활, 효일문화사, 1998
- 김기숙 외, 식품과 음식문화, 교문사, 1999
- 손경희 외, 한국음식의 조리과학, 교문사, 2001
- 성태종 외, 음식문화비교론, 대왕사, 2006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연구회, 세계의 음식문화, 광문각, 1999
(2) 올바를 식생활
올바른 식생활이란 찰을 중심으로 한 한국형 식생활로 제때에, 다양한 식품
들을 골고루, 자신의 체중과 활동량에 알맞게, 싱겁게 그리고 온 가족이 한 자
리에 모여 즐겁게 먹는 것이다.
가) 쌀을 중심으로 한 한국형 식생활
한국형 식생활이란 쌀밥에 국 김치 등을 포함한 우리 고유의 기본음식에 다
양한 부식을 곁들인 균형 잡힌 식생활을 말한다.
쌀중심 한국형 식생활의 좋은 점은 다음과 같다.
1. 쌀밥은 모든 반찬과 어울린다. 쌀밥은 고기 생선 난류 두류 채소 유
지류 등 거의 모든 반찬과 잘 어울린다. 합은 같이 먹을 수 있는 식품이
많지 않아 골고루 영양을 섭취하기 어렵다.
2. 쌀밥에 부식을 곁들여 균형식을 할 수 있다. 쌀밥에 구색을 갖추어 차려진
부식은 영양면에서 거의 완벽한 균형을 이를 수 있어 구미의 어떠한 일상
식보다도 합리적인 영양섭취가 가능하다.
3. 다양한 맛을 즐길 수 있다. 원하는 종류와 양의 밥과 반찬을 입에 넣고 혼
합하여 먹음으로써 입안에서 맛을 조절할 수 있으며, 다양한부식의 맛과
조화시켜 다양하게 맛을 변화시키고 창조할 수 있다.
4. 조리하기 쉽다. 발을 솥에 안치고 물만 부어 가열하면 되므로 일상식으로
는 안성맞춤이다.
5. 쌀밥은 싼 값으로 높은 칼로리를 낼 수 있다. 쌀은 양질의 식품이라고 일컬
어지는 쇠고기나 우유에 비해 값이 만 편이므로 주식으로서 이용하기가 쉽
고 그 가치도 높다.
6. 우리 몸은 쌀밥에 맞게 적응되어 있다. 한국인은 치아형태, 장의 길이, 소
화액 분비, 장내 세균 등이 쌀밥에 맞도록 적응이 되어 있다.
나) 아침밥은 꼭 챙겨먹자
1. 두뇌의 발달은 식사로 결정된다. 뇌는 대단한 에너지를 필요로 하는 곳이
다. 성인의 뇌의 크기는 평균적으로 체중의 2%(1/50) 정도이며, 에너지소비
량은 신체 전체의 약 20% 정도가 된다. 근육과 피부의 에너지소비량은 25
% 정도가 되므로 체중의 절반을 점유하는 근육과 피부의 에너지소비량과
거의 비슷한 정도의 양을 불과 신체의 2%를 점하는 뇌가 사용한다고 하는
것이다. 어린이들은 사용비율이 더 커서 출생 직후에 뇌는 전체 에너지소
비량의 50%를 사용한다.
2. 1일 최저 100g 정도의 포도당이 필요하다. 뇌는 일상적으로 포도당을 에
너지로 사용하고 있다. 그래서 뇌의 에너지 이용은 두드러진 특징을 갖고 있
는데, 뇌의 1일당 포도당 사용량은 약 100g이다. 뇌에서 포도당을 산소로
연소시키면 이산화탄소와 물이 된다. 그러므로 뇌에는 1일당 최저 100g 정
도의 포도당을 보내주지 않으면 안된다. 포도당과 산소가 충분히 공급되
지 않으면 뇌의 신경세포가 죽게 된다. 죽은 세포가 많아지게 되면 식물인
간이 된다. 그러므로 항상 포도당을 뇌에 보내 주는 것이 사람이 살 수 있
게 한다.
3. 아침을 거르면 두뇌회전에 필요한 포도당 부족으로 오전 내내 집중력과
사고력이 떨어지고, 심리적인 불안감과 우울 및 행동과다 증상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점심이나 저녁식사를 과식하게 되어 비만과 영양불균형을 초래
하고, 가족간의 아침대화가 단절되어 가정의 화목을 해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보면 아침밥은 꼭 먹지 않으면 안된다. 에너지로서 가장 좋은
것은 전분질이다. 전분질을 먹으면 소화기관 내에서 포도당으로 변하고, 그것이
뇌에 보내지는 것이다. 곡류에는 전분질이 특히 많다. 전분질이 많은 쌀로 지은
밥을 먹으면 두뇌활동이 원활해진다.
6) 세계의 쌀음식
벼농사를 하지 않는 지대에도 쌀밥을 먹는 습관은 점점 확산되고 있다. 예를
들면 태평양의 마그로네시아(Mieronesia)섬들의 전통적 주식작물은 토란 얌 합
나무열매이다. 그러나 일본의 통치시대의 쌀맛을 기억하는 섬사람들은 현재에도
돈만 있으면 일본이나 캘리포니아에서 수입한 발을 사서 일본으로부터 수입한
무쇠솔으로 밥을 지어 먹는다. 쌀밥은 맛도 있지만 방이나 면에 비해 조리가 간
단하다는 것이 확산되는 이유 중의 하나라고 한다.
(1) 말레이시아
락사(laksa)라고 하여 맵지 않은 커리 가루에 코코넛 밀크를 넣은 후 닭고기
쇠고기 혹은 염소고기를 참은 코마(koma), 생선과 잎으로 만든 수프에 쌀국수를
넣고 그 위에 채소가루를 뿌린 요리를 먹는다.
(2) 베 트 남
퍼(pho)라는 일종의 쌀국수가 있다. 밑에서 수증기를 올리는 판 위에 헝겊을
곱게 깔고 물에 불린 멥쌀가루를 그 위에 펴면 금세 익어 꾸덕꾸덕하게 되는데,
이것을 메어내어 차곡차곡 방아 두었다가 우리 나라의 칼국수보다 더 가늘게 설
어 국수를 만든다. 이것을 커다란 국수그릇에 담고 샬롯(파슬리의 일종)과 생숙
주나물 등을 없고 그 위에 쇠고기나 닭고기 썬 것을 얹는다. 고기의 때를 곤 육
수를 사용하며, 기호에 따라 매운 고출가루나 레몬즙 등을 곁들여 먹는다.
(3) 인도
도사(dosa)라고 하여 쌀과 코코넛을 배합하여 만든 주식류의 빵 콤과 쌀가루
를 반죽해서 철판 위에 않게 구운 요리가 있는데, 크레이프라고도 부른다. 또한
인디카 계통의 쌀을 고기와 같이 찐 쌀요리가 있는데, 쌀에 향신료를 넣어 지은
밥은 \'풀라우\'(pulau), 레몬으로 맛을 낸 밥은 \'레몬 라이스\' 향신료와 너트를 이
용한 고급 쌀요리는 \'바리야니\'(bariyani)라고 부른다.
(4) 멕시코
주로 가벼운 식사나 애피타이저로 코스 중간에 나오는 \'소파 세카\'(sopa seca)
는 인디카형의 쌀을 양파 마늘 토마토 파슬리 코리앤더 큐민 통후추 등
을 닭기름으로 볶은 요리로, 이 때 밥은 미리 뚜껑을 연 채로 뜨거운 물에 익히
고 물을 따라 놓았다가 특이한 여러 가지 재료들을 넣고 뜨거운 불에 볶아 낸다.
* 참고문헌
- 김윤태, 지구촌음식문화, 대왕사, 2006
- 박춘란, 식생활문화, 효일문화사, 2002
- 김혜영 외, 문화와 식생활, 효일문화사, 1998
- 김기숙 외, 식품과 음식문화, 교문사, 1999
- 손경희 외, 한국음식의 조리과학, 교문사, 2001
- 성태종 외, 음식문화비교론, 대왕사, 2006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연구회, 세계의 음식문화, 광문각, 1999
추천자료
청소년수련시설의 개요와 현황 및 활성화 방안 - 청소년 수련시설의 개요, 필요성, 기본원리,...
(한국사회문제C형)홍익대 청소노동자와 같은 파견노동자의 노동현실 개선방안모색-파견노동자...
[사회복지개론] 노인 문제의 개념과 현황 및 대응 방안(고령화의 진입은 여러가지 노인문제를...
[공연문화][공연문화 대상][공연문화 장소][공연문화 현황][공연문화 문제점][공연문화 활성...
[은행수수료, 은행, 수수료, 은행수수료 구조, 은행수수료 체계, 은행수수료 수익현황, 은행...
방과후학교의 개요, 현황, 방과후학교의 개선방안 - 방과후학교의 개념, 추진배경, 목표, 특...
우리나라 아동복지 시설의 현황과 문제점을 제시하고 개선방안을 논하시오(아동시설의 현황과...
아동복지 실천 대상자별 중 한 분야를 선택해서 개념, 현황, 문제점, 개선방안을 정리하시오 ...
교원 행정업무 부담 현황 분석과 개선 방안 탐색 (연구방법과 분석결과,연구방법,교원 행정업...
지역사회 청소년 수련활동 프로그램에 대한 현황 파악과 구체적인 활성화 방안 (지역사회 청...
노인여가(老人餘暇)의 활성화 방안에 대해 서술하시오 {노인여가의 특성과 현황 및 문제점, ...
[감정노동자 실태와 문제점 해결방안] 감정노동자 - 감정노동자의 특징, 감정노동자 원인, 감...
[도시숲 조성사례] 도시숲의 중요성, 현황, 조성사례, 도시숲 보전방안 - 도시숲 중요성, 현...
[청년실업] 청년실업 현황, 해외 사례, 청년실업 해결방안 - 청션실업 현황, 해외 사례, 해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