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직원의 임용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교직원의 임용

Ⅰ. 용어의 정의(국가공무원법 제5조, 교육공무원법 제2조)

Ⅱ. 교직원의 임용

1. 교사 신규임용
2. 임용의 결격 사유
3. 보직교사 임용
4. 학급담임 및 교과전담교사 이외의 교사
5. 기간제 교원의 임용
1) 기간제 교원의 임용조건
2) 기간제 교원의 임용기간

* 참고문헌

본문내용

경우를 다음과 같이 규정하고 있다.
(1)기간제 교원의 임용조건
1. 교원이 법 제44조 1항의 각호의 사유로 휴직하여 후임자의 보충이 불가
피한 때 (장기요양, 병역복무, 생사소재 불명, 법률에 의한 직무 이탈, 해외유
학, 국제기구 등 임시고용, 임신출산 및 자녀양육, 국내 교육기관 연수, 장기요
양이 필요한 직계가족 간호, 배우자의 외국 근무)
2. 교원이 파견, 연수, 정직, 직위해제, 휴가로 1월 이상 직무에 종사할 수
없어 후임자의 보충이 불가피한 때
3. 교원이 퇴직하여 신규 채용하여야 할 사유가 발생하였음에도 교사 임용
후보자 명부에 임용대상자가 없어 신규채용을 할 수 없는 때
4. 파면, 해임 또는 면직처분을 받은 교원이 교원 지위 향상을 위한 특별법
제 9조 1항의 규정에 따라 교원 징계 재심위원회에 재심을 청구하여 후임자의
보충 발령을 하지 못하게 될 때
5. 특정 교과를 한시적으로 담당하도록 할 교원이 필요한 때
(2)기간제 교원의 임용기간
위의 규정에 의하여 임용되는 기간제 교원의 임용기간은 1년 이내로 하며 필
요한 경우 3년의 범위 한에서 이를 연장할 수 있다.
* 참고문헌
- 김성열 외(1995).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서울: 삼광출판사
- 김신일(1986). 교육사회학. 서울: 교육과학사
- 김종철(1989). 한국교육정책연구. 서울: 교육과학사
- 김천기(1998). 교육의 사회학적 이해. 서울: 학지사
- 서정화(1995). 교육인사행정. 서울: 교육행정학연구회
- 천세영 외(1999). 정보사회교육론. 서울: 원미사
- 노종희(1992). 교육행정학. 서울: 양서원

키워드

영향,   요인,   정의,   개념,   문제점,   배경,   방안,   현황

추천자료

  • 가격1,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1.07.11
  • 저작시기2011.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89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