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의 음식문화) 베트남의 식생활 문화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베트남의 식생활문화

Ⅰ. 자연적, 사회적 환경

Ⅱ. 음식문화의 일반적 특징

Ⅲ. 주요음식

1. 껌과 퍼(쌀국수)
2. 고이꾸온(쌈요리)
3. 라우제(궁중전골요리)
4. 짜조(튀김만두)
5. 카인추어
6. 차오톰
7. 고이센(샐러드)

Ⅳ. 조미료

Ⅴ. 식사예절

* 참고문헌

본문내용

퍼라는 말도 프랑스군의 식사를 뜻
하는 '포 토 푀'(Pot au feu: 불처럼 뜨거운 그릇)의 푀(feu)가 어원이라고 한다.
1950년대 이후 베트남이 남북으로 분단되자 남쪽으로 내려간 하노이 사람들이
호치민(옛 사이공)에서 생계수단으로 쌀국수에 쇠고기 요리법을 더해 팔기 시작
하면서 베트남 전역으로 보급되었다.
(2) 고이꾸온(Goi Cuon: 쌈요리)
고이꾸온은 베트남에서 아침식사로 즐기는 음식이다. 닭고기 부추 향채 쇠고기 및 참은 새우 등을 반장에 말아서 생선 소스에 찍어 먹는 음식이다.
(3) 라우제(궁중전골요리)
베트남의 전통궁중요리로 양고기에 감초 계피 대추 인삼 음양곽 육두구
등 14가지의 한약제를 넣고 푹 고아 육수를 내어서 이 국물에 미나리 상추
쑥갓 청경채 버섯류 숙주나물 등 10여가지 종류의 채소를 즉석에서 넣어 데
친 뒤 쌀종이에 싸서 소스에 찍어 먹는다. 베트남에서는 술안주로 자주 먹는다.
(4) 짜조(튀김만두)
짜조는 다진 고기와 버섯 당면 야채 등을 라이스 페이퍼에 싸서 기름에 튀겨 느억맘에 찍어 먹으며, 입맛에 따라 칠리 소스에 찍어 먹기도 한다.
(5) 카인추어(Canh Chua)
신맛이 나는 독특한 맛의 수프인데, 민물고기(카)나 가물치, 토마토, 토란줄기,
오크라(oka), 콩, 파인애플 등 채소를 사용하여 만든다. 더위로 식욕이 없을 때
이것을 먹으면 몸이 거뜬해져 남부에서 자랑하는 음식이다.
(6) 차오톰(Chao Tom)
다진 새우를 사탕수수의 심에 말아서 숯불에 구운 음식이다, 오이, 채소 샐러드, 향미채소와 함께 반장에 말아서 양념 소스에 찍어 먹는다.
(7) 고이센(샐러드)
고이는 샐러드를 의미한다. 고이센은 연꽃 줄기와 당근 및 돼지고기 등을 설
탕 간장 식초로 만든 조미료에 무쳐서 그 위에 잘게 부순 땅콩과 채친 향미
채소를 없은 것으로, 쥐긴 새우와 함께 먹는다.
4) 조미료
느억맘(nuoc mam, 생선간장)은 생선으로 만든 장류이며, 베트남요리에 매우 중
요한 양념이다.
5) 식사예절
1. 밥을 먹기 전에 상 위의 종이로 수저를 닦고 나서 먹기 시작한다.
2. 쌀국수를 먹을 때 젓가락과 숟가락을 모두 사용해서 먹는다.
3. 국수그릇을 들어 올리거나 그릇을 입에 대고 국물을 마시지 않는다.
4. 젓가락으로 밥 육수 생선 초밥 등을 먹으며, 숟가락은 국을 먹을 때만
사용한다.
5. 식사 도중 식탁 위에 숟가락을 놓을 때는 반드시 엎어 둔다.
6. 찬 물은 거의 마시지 않고 뜨거운 차를 마시기를 좋아 하는데, 차는 한꺼
번에 마시지 않고 조금씩 음미하면서 마셔야 한다.
* 참고문헌
- 김윤태, 지구촌음식문화, 대왕사, 2006
- 박춘란, 식생활문화, 효일문화사, 2002
- 김혜영 외, 문화와 식생활, 효일문화사, 1998
- 김기숙 외, 식품과 음식문화, 교문사, 1999
- 손경희 외, 한국음식의 조리과학, 교문사, 2001
- 성태종 외, 음식문화비교론, 대왕사, 2006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연구회, 세계의 음식문화, 광문각, 1999

키워드

영향,   요인,   정의,   개념,   문제점,   배경,   방안,   현황

추천자료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1.07.11
  • 저작시기2011.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90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