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체사상의 기능과 이론적 변화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주체사상의 기능

1. 수령체제의 사상적 기반
2. 북한식 체제건설의 기능
3. 후계체제의 기반구축

Ⅱ. 주체사상의 이론적 변화

* 참고문헌

본문내용

것이 '수령에 대한 충실성'으로 평
가되고 나아가 '수령'에 의해서 그 지위와 역할을 부여받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둘째, 후계자의 조건과 관련하여 '혁명의 핏줄'을 잇는 '대를 이은
혁명론'이 강조되는 것은 김정일로의 승계를 합법적으로 보장받기 위한 이론적
전거라는 비판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이다. 그런 점에서 '부자세습'이라는 노골적
인 비난에 대해 보다 설득력있는 후계자의 역량과 지위확립 과정이 제시되었어
야 했다.
II. 주체사상의 이론적 변화
1978년에 중국의 등소평이 개방과 개혁으로 정책 전환을 한 것과 소련에서
1985년부터 고르바초프가 페레스트로이카라는 사회주의체제 개혁으로 전환한
것은 김일성과 김정일에게 1950년대 중반과 같은 또 하나의 정권 위기적 상황이
었다. 1950년대 중반에 사회주의가 대변혁을 경험할 때 북한이 외부세계와의 단
절과 차단을 통해 김일성정권을 수호하기 위한 이념적 도구로 주체사상을 만들
었듯이, 1980년대 후반 사회주의친의 대변혁 속에서 주체사상은 다시 단절과 차
단의 이데올로기로서 철저히 변용되었다. 80년대 후반에 새롭게 생겨난 개념인
'사회정치적 생명체론', '우리식 사회주의론', '조선인족제일주의론' 역시 외부의
변화가 국내에 침투하여 주민을 동요시키는 것을 막기 위한 주체사상의 새로운
개념이다.
김일성 사후 김일성의 주체사상은 후계체제에 와서 근본적인 이념적 비관이
나 수정의 징후는 없으나 새로운 용어들로 대체되는 과도기적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김정일의 통치스타일을 소위 '인덕정치', '광폭정치'라는 용어로 대대적인 선전
을 하고 있으며, 주체사상의 새로운 명칭에 불과한 '붉은기 사상', '고난의 행군
정신'을 강조하면서 김정일체계의 당면 과제와 딜레마를 극복하고자 하고 있다.
'붉은기 사상'은 김정일 과도기체제의 정치적 구호이며, '고난의 행군정신'은 북
한이 당면한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경제적 측면의 지도이념으로서의 기능을 수
행하고 있다.
* 참고문헌
- 곽승지, 김정일시대의 북한이데올로기, 통일정책연구, 2000
- 박형중, 북한적 현상의 연구: 북한 사회주의건설의 정치경제학, 1994
- 신일철, 북한 주체철학의 비판적 분석, 사회발전연구소, 1987
- 이만우, 북한의 통일정책, 한국과 국제정치, 1987
- 이종석, 새로쓴 현대 북한의 이해, 역사비평사, 2000
- 마르크스, 공산당 선언, 마르크스 · 엥겔스 저작선, 1988

키워드

영향,   요인,   정의,   개념,   문제점,   배경,   방안,   현황

추천자료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1.07.11
  • 저작시기2011.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91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