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우리나라의 부모교육의 역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한국에서의 부모교육

Ⅰ. 조선시대 이전

Ⅱ. 조선시대

Ⅲ. 근대시대(1900~1950년 이전)

Ⅳ. 현대의 부모교육(1950년 이후)

* 참고문헌

본문내용

가정을 위한 프로그램 등 다양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어머니에게 자아개념을 증진
시키고, 훌륭한 양육자로서의 지침을 제시함으로써 자녀양육에 자신감을 북돋아 주었다.
1981년 창립된 새세대육영회에서는 부모교육 및 유아교육에 대한 자료집을 제공하면서
태아 및 영 유아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을 본격적으로 실시하였다.
청소년대화의 광장에서 개발한 자녀의 힘을 북돋우는 부모교육 세미나를 개촌한 이후
1995년 한국부모교육학회가 결성되어 부모교육에 대한 학문적 발전을 도모하였다. 이와
동시에 부모교육의 대중화도 주목할 부분이다. 1996년에 좋은 부모운동본부가 설립되어
바른 가정교육 캠페인과 자녀교육 행동수칙을 발표하였다. 이후 참교육단체 등 여러 곳에
서 부모교육운동을 전개해 나갔다.
이와 같이 1980년 이후 한국에서의 부모교육은 양적으로 확대됨과 동시에 질적으로도
한 단계 상승을 하는 등 매우 체계적인 모습을 갖추게 되면서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전국
적으로 보편화된 시기이다. 특히 1982년에 제정된 유아교육진흥법으로 인하여 유아교육
뿐만 아니라 부모교육에 대한 법적 근거를 제시할 수 있게 되었다.
* 참고문헌
- 연미희, 김진숙(2003). 부모교육 이론과 실제. 동문사
- 김진영 외(2000). 유아, 부모, 교사를 위한 부모교육. 창지사
- 도미향 외(2002). 사회복지개론. 대학출판사
- 박성연 외(2004). 부모교육. 과학사
- 서영숙, 김경혜(1996). 보육학개론. 양서원
- 이경우 편역(2000). 당신도 유능한 부모가 될 수 있다. 창지사
- 조성연 외(2004).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현학사

키워드

영향,   요인,   정의,   개념,   문제점,   배경,   방안,   현황

추천자료

  • 가격1,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1.07.11
  • 저작시기2011.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91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