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시스템분석
2. 변수 설정
3. 변수를 대입 했을 때의 출력
4. 진상 보상기 설계
5. 지상 보상기 설계
2. 변수 설정
3. 변수를 대입 했을 때의 출력
4. 진상 보상기 설계
5. 지상 보상기 설계
본문내용
d); % 근궤적 표현
의 보드 선도
>> w=logspace(-1,2,50);
>> bode(n,d);
단위계단입력을 단위 궤환 루프에 입력했을 때의 출력 그래프
>> [nt,dt]=cloop(n,d,-1); %피드백 하여준 값
>> sys=tf(nt,dt) % 전달함수 생성과 출력
Transfer function:
s^2 + 0.2 s + 1
-----------------------------------
3 s^4 + 0.8 s^3 + 5 s^2 + 0.2 s + 1
>> y=step(sys,t); % 스텝입력을 시스템이 가한다.
>> plot(t,y) % 그래프 출력
엄청나게 불안정한 것을 할 수 있다.
4. 진상 보상기 설계
Desirable specification
⑴ 정상상태오차 2% =>
⑵ 감쇠율 => 위상마진
정상상태오차가 2%가 될려고 하면 G(s)는 2형(type-2) 이기 때문에 가속도입력이 들어가야 한다.
⑴ 이 조건을 만족하기위해선 이 되어야 한다.
⑵ 이 조건은 이므로 의 공식으로 진상보상기의 크기의 비 를 구할 있다.
⑴ =>
이므로 게인 K는 200 이 되어야 한다.
게인K가 200이면
>> n=200*n
n =
0 0 200 40 200
>> bode(n,d,w)
게인 K가 추가된 개루프 이득의 보드선도
⑵ 이므로
이므로
를 알 수 있다.
그러므로 극점
영점은 이다.
그러므로 진상보상기의 전달함수는 이다.
>> np=[1 5.26]; dp=[1 30.66];
>> [na, da]=series(np,dp,n,d) % 의 함수
>> sys=tf(na,da) % 표현
Transfer function:
200 s^3 + 1092 s^2 + 410.4 s + 1052
-----------------------------------------
3 s^5 + 92.78 s^4 + 28.53 s^3 + 122.6 s^2
진상 보상기 설계 결과
>> rlocus(na,da); % 근궤적 표현
>> bode(na,da,w) % 진상보상된 의 보드 선도
[위상 여유를 45를 기준으로 하여 설계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나타난 위상여유는 29.9로서 15.1의 오차가 발생하였다. 설계 도중 어디서 잘못 되었는지 알 수가 없었다.]
진상보상된 출력
>> [nt, dt]=cloop(na,da,-1);
>> sys=tf(nt,dt)
Transfer function:
200 s^3 + 1092 s^2 + 410.4 s + 1052
---------------------------------------------------------
3 s^5 + 92.78 s^4 + 228.5 s^3 + 1215 s^2 + 410.4 s + 1052
>> y=step(sys,t);
>> plot(t,y)
>> xlabel('시간(t)')
>> ylabel('출력 y(t)')
5. 지상 보상기 설계
Desirable specification
⑴ 정상상태오차 12.5% =>
⑵ 감쇠율 => 위상마진
정상상태오차가 12.5%가 될려고 하면 G(s)는 2형(type-2) 이기 때문에 가속도입력이 들어가야 한다.
다음 시스템은 가속도 상수 =8로 우세근에 대한 감쇠율은 이 요구된다. 이때 위상여유는 45이 요구된다고 추정한다.
⑴ 이 조건을 만족하기위해선 이 되어야 한다.
⑵ 보드 선도를 이용하여 위상마진이 45인 주파수와 이득으로 극점과 영점의 비를 구할 수 있다.
⑴ =>
이므로 게인 K는 32가 되어야 한다.
게인K가 32이면
>> n=32*n
n =
0 0 32.0000 6.4000 32.0000
>> sys=tf(n,d)
Transfer function:
32 s^2 + 6.4 s + 32
-----------------------
3 s^4 + 0.8 s^3 + 4 s^2
>> bode(sys,w)
위상여유는 45이므로 위상이 -135되는 지점에서의 주파수는 1 이므로 이고 , 에서 필요한 감쇠를 조사하면 15.5dB, 즉 , 임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영점은 이고, 극점은 이므로 이다.
이므로
이다.
>> np=[0.18 1]; dp=[0.03 1];
>> [na, da]=series(np,dp,n,d);
>> sys=tf(na,da)
Transfer function:
5.76 s^3 + 33.15 s^2 + 12.16 s + 32
---------------------------------------
0.09 s^5 + 3.024 s^4 + 0.92 s^3 + 4 s^2
>> rlocus(na,da); % 지상 보상된 근궤적
>> bode(sys,w) %지상보상된 보드선도
[위상 여유를 45를 기준으로 하여 설계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나타난 위상여유는 28.1로서 16.9의 오차가 발생하였다. 설계 도중 어디서 잘못 되었는지 알 수가 없었다.]
>> [nt, dt]=cloop(na,da,-1); % 피드백 값
>> sys=tf(nt,dt) %전달함수 정의
Transfer function:
5.76 s^3 + 33.15 s^2 + 12.16 s + 32
----------------------------------------------------------
0.09 s^5 + 3.024 s^4 + 6.68 s^3 + 37.15 s^2 + 12.16 s + 32
>> t=[0:0.1:30];
>> y=step(sys,t);
>>plot(t,y)
>>xlabel('시간(t)')
>>ylabel('출력 y(t)')
[ 계단입력으로 인한 출력은 진상 보상기와 거의 비슷한 출력 값이 나타나는데 분명히 다른 전달 함수임에도 불구하고 비슷하게 나타난다.]
참고 서적 :
최신제어 시스템 제 11판 -Richard C.Dorf, Robert H. Bishop 지음 [교보문고]
제어시스템 분석과 MATLAB의 활용 정슬 지음 [청문학]
CEMTool 제어공학황우현 권욱현[멀티정보사]
CEMTool MATLAB 활용법 자동제어공학정대원[두양사]
제어시스템해석 및 설계한태환[기전연구사]
제어시스템의 설계황우현[대광서림]
한학기 동안 정말 수고 하셨습니다 ^_^
의 보드 선도
>> w=logspace(-1,2,50);
>> bode(n,d);
단위계단입력을 단위 궤환 루프에 입력했을 때의 출력 그래프
>> [nt,dt]=cloop(n,d,-1); %피드백 하여준 값
>> sys=tf(nt,dt) % 전달함수 생성과 출력
Transfer function:
s^2 + 0.2 s + 1
-----------------------------------
3 s^4 + 0.8 s^3 + 5 s^2 + 0.2 s + 1
>> y=step(sys,t); % 스텝입력을 시스템이 가한다.
>> plot(t,y) % 그래프 출력
엄청나게 불안정한 것을 할 수 있다.
4. 진상 보상기 설계
Desirable specification
⑴ 정상상태오차 2% =>
⑵ 감쇠율 => 위상마진
정상상태오차가 2%가 될려고 하면 G(s)는 2형(type-2) 이기 때문에 가속도입력이 들어가야 한다.
⑴ 이 조건을 만족하기위해선 이 되어야 한다.
⑵ 이 조건은 이므로 의 공식으로 진상보상기의 크기의 비 를 구할 있다.
⑴ =>
이므로 게인 K는 200 이 되어야 한다.
게인K가 200이면
>> n=200*n
n =
0 0 200 40 200
>> bode(n,d,w)
게인 K가 추가된 개루프 이득의 보드선도
⑵ 이므로
이므로
를 알 수 있다.
그러므로 극점
영점은 이다.
그러므로 진상보상기의 전달함수는 이다.
>> np=[1 5.26]; dp=[1 30.66];
>> [na, da]=series(np,dp,n,d) % 의 함수
>> sys=tf(na,da) % 표현
Transfer function:
200 s^3 + 1092 s^2 + 410.4 s + 1052
-----------------------------------------
3 s^5 + 92.78 s^4 + 28.53 s^3 + 122.6 s^2
진상 보상기 설계 결과
>> rlocus(na,da); % 근궤적 표현
>> bode(na,da,w) % 진상보상된 의 보드 선도
[위상 여유를 45를 기준으로 하여 설계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나타난 위상여유는 29.9로서 15.1의 오차가 발생하였다. 설계 도중 어디서 잘못 되었는지 알 수가 없었다.]
진상보상된 출력
>> [nt, dt]=cloop(na,da,-1);
>> sys=tf(nt,dt)
Transfer function:
200 s^3 + 1092 s^2 + 410.4 s + 1052
---------------------------------------------------------
3 s^5 + 92.78 s^4 + 228.5 s^3 + 1215 s^2 + 410.4 s + 1052
>> y=step(sys,t);
>> plot(t,y)
>> xlabel('시간(t)')
>> ylabel('출력 y(t)')
5. 지상 보상기 설계
Desirable specification
⑴ 정상상태오차 12.5% =>
⑵ 감쇠율 => 위상마진
정상상태오차가 12.5%가 될려고 하면 G(s)는 2형(type-2) 이기 때문에 가속도입력이 들어가야 한다.
다음 시스템은 가속도 상수 =8로 우세근에 대한 감쇠율은 이 요구된다. 이때 위상여유는 45이 요구된다고 추정한다.
⑴ 이 조건을 만족하기위해선 이 되어야 한다.
⑵ 보드 선도를 이용하여 위상마진이 45인 주파수와 이득으로 극점과 영점의 비를 구할 수 있다.
⑴ =>
이므로 게인 K는 32가 되어야 한다.
게인K가 32이면
>> n=32*n
n =
0 0 32.0000 6.4000 32.0000
>> sys=tf(n,d)
Transfer function:
32 s^2 + 6.4 s + 32
-----------------------
3 s^4 + 0.8 s^3 + 4 s^2
>> bode(sys,w)
위상여유는 45이므로 위상이 -135되는 지점에서의 주파수는 1 이므로 이고 , 에서 필요한 감쇠를 조사하면 15.5dB, 즉 , 임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영점은 이고, 극점은 이므로 이다.
이므로
이다.
>> np=[0.18 1]; dp=[0.03 1];
>> [na, da]=series(np,dp,n,d);
>> sys=tf(na,da)
Transfer function:
5.76 s^3 + 33.15 s^2 + 12.16 s + 32
---------------------------------------
0.09 s^5 + 3.024 s^4 + 0.92 s^3 + 4 s^2
>> rlocus(na,da); % 지상 보상된 근궤적
>> bode(sys,w) %지상보상된 보드선도
[위상 여유를 45를 기준으로 하여 설계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나타난 위상여유는 28.1로서 16.9의 오차가 발생하였다. 설계 도중 어디서 잘못 되었는지 알 수가 없었다.]
>> [nt, dt]=cloop(na,da,-1); % 피드백 값
>> sys=tf(nt,dt) %전달함수 정의
Transfer function:
5.76 s^3 + 33.15 s^2 + 12.16 s + 32
----------------------------------------------------------
0.09 s^5 + 3.024 s^4 + 6.68 s^3 + 37.15 s^2 + 12.16 s + 32
>> t=[0:0.1:30];
>> y=step(sys,t);
>>plot(t,y)
>>xlabel('시간(t)')
>>ylabel('출력 y(t)')
[ 계단입력으로 인한 출력은 진상 보상기와 거의 비슷한 출력 값이 나타나는데 분명히 다른 전달 함수임에도 불구하고 비슷하게 나타난다.]
참고 서적 :
최신제어 시스템 제 11판 -Richard C.Dorf, Robert H. Bishop 지음 [교보문고]
제어시스템 분석과 MATLAB의 활용 정슬 지음 [청문학]
CEMTool 제어공학황우현 권욱현[멀티정보사]
CEMTool MATLAB 활용법 자동제어공학정대원[두양사]
제어시스템해석 및 설계한태환[기전연구사]
제어시스템의 설계황우현[대광서림]
한학기 동안 정말 수고 하셨습니다 ^_^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