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명][발명교실][발명교육][발명 분류][발명 탐구과정][발명교실 목적][발명교실 사례]발명의 개념, 발명의 분류, 발명의 탐구과정, 발명교실의 정의, 발명교실의 목적, 발명교실의 사례, 발명교실 관련 제언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발명][발명교실][발명교육][발명 분류][발명 탐구과정][발명교실 목적][발명교실 사례]발명의 개념, 발명의 분류, 발명의 탐구과정, 발명교실의 정의, 발명교실의 목적, 발명교실의 사례, 발명교실 관련 제언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발명의 개념

Ⅲ. 발명의 분류
1. 착상 발명
2. 과학적 발명
3. 응용 발명

Ⅳ. 발명의 탐구과정

Ⅴ. 발명교실의 정의

Ⅵ. 발명교실의 목적

Ⅶ. 발명교실의 사례
1. 목적
2. 운영방침
3. 주요 업무 계획

Ⅷ.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본문내용

발명진흥회, 한국학교발명협회 등의 유관 기관과 협조 하여 지도 한다.
(5) 수요일과 토요일은 강남교육청 관내 학생, 교사, 일반인의 개인 및 단체 연수 장소로 활용할 수 있다.(사전 신청에 한 함)
(6) 강남발명영재단원은 후원회와 협의하여 상해보험에 가입한다.
3. 주요 업무 계획
(1) 발명 교실 운영(학기 중)
강남 발명교실 기초반, 발전반, 운영 및 영재반 계획
(2) 방학 중 발명기초반 특별기 운영
(3) 학부모 교실 운영
(4) 발명 교실 교사 연수회
(5) 강남교육청 발명품 경진 대회
(6) 발명반 운영 지도 책자 작성
(7) 학교 발명반 지원 계획
Ⅷ. 결론 및 제언
우리 교육은 지식 그 자체만을 최고의 가치로 여기는 풍토가 만연되어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래서 이런 교육 풍토에서 개인의 창의적 사고 능력을 계발신장시킨다는 데는 한계 있다고 본다. 그러기 때문에 생활 과학의 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는 발명 교육을 정착시킨다는 것은 많은 어려움이 있다. 그러나 발명 활동의 운영 여건을 조성하여 학생들이 발명에 대한 관심을 갖도록 유도하고, 개인의 잠재된 창의력을 길러 주어야겠다는 교사의 강한 의지가 결집될 때 학교의 발명 교육을 한 단계 위로 끌어올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한편 특허청이 일선 학교 현장에서 발명 교육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부분적인 지원과 홍보 등과 같은 여러 방면에 걸친 노력을 하고 있다는 점은 고무적인 일이라고 생각한다. 특히 학교 현장에서 발명반을 담당하고 있는 지도 교사로서 큰 힘이 된다. 물론 본교에서는 올해 들어와서야 처음으로 발명반을 운영하기 때문에 운영상의 어려움은 많지만 학생들에게 기회를 부여하여 줄 수 있다는 희망을 갖고, 발명 활동에 대한 힘찬 발걸음을 내딛기 위해 방과 후 및 휴일에 수시로 발명 활동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지속적인 발명 활동이 이루어지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다. 이제 마지막으로 우리 과학 교육이 생산적인 활동 중심이 되도록 교육의 내실을 기할 수 있기를 간절히 소망할 뿐이다.
참고문헌
강신묵 / 하루 10분 발명 교실, 서울 : 지경사, 1994
신세호 / 창의력 개발을 위한 교육, 서울 : 교육과학사, 1993
윤경국 / 발명이론 기법, 서울 : 교우사, 2002
왕중연 / 발명의 길, 서울 : 한국발명특허협회, 1998
특허청 외 / 발명교육의 길잡이, 특허청, 한국학교발명협회, 2000
특허청 / 발명노트, 서울: 특허청, 1996
  • 가격5,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1.07.14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97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