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회의산업의이해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국제회의산업의 개요

1) 국제회의(convention)의 개념

2) 국제회의의 발전과정

3) 국제회의의 종류

4) 국제회의의 특성

2. 국제회의산업의 중요성과 파급효과

1) 국제회의산업의 중요성

2) 국제회의산업의 파급효과

3. 국제회의산업의 현황

1) 대륙별 국제회의 개최현황

2) 국가별 국제회의 개최현황

3)도시별 국제회의 개최현황

4. 국제회의산업의 전망과 육성방안

1) 국제회의산업의 전망

2) 국제회의산업의 육성방안

본문내용

차지했다. 그에 반해 2006년에 2위를 차지하고 있었던 미주 지역은 3위로 밀려났다.
2) 국가별 국제회의 개최현황
2007년 국가별 국제회의 개최건수를 살펴보면, 미국 1,114건(10.8%), 프랑스 598건(5.8%), 독일 523건(5.07%) 순으로 상위 3개국의 순위는 전년과 변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뒤를 이어 싱가포르가 466건(4.52%)으로 4위, 일본이 448건(4.34%)으로 5위를 차지하며 아시아의 2개 국가가 5위권 안으로 새롭게 진입하였으며, 네덜란드 423건(4.1%), 이탈리아 414건(4.01%) 순서로 나타났다. 또한 상위 10개국이 개최한 국제회의는 5,072건(49.16%)으로 전년과 마찬가지로 전 세계 회의 과반수에 약간 못 미쳤다.
2007년에 괄목할만한 성장을 한 나라는 싱가포르와 일본이다. 싱가포르는 2007년 466건을 개최하여, 전년(300건)에 비해 55.3%가 증가하였으며 세계 4위를 차지해 전년(10위)보다 6단계 상승하면서 고속 성장을 이어나가고 있다. 또한 일본은 2007년 448건을 개최함으로써 전년(213건)대비 110%의 성장으로 세계 순위 5위를 차지해 전년(18)위보다 13단계 상승하는 비약적인 성장을 보였다.
2007년 우리나라는 268건(2.6%)을 개최하여 전년(16위)에 비해 1단계 상승한 15위에 랭크되었다. 우리나라는 1998년부터 2007년까지 국제회의 개최건수가 362% 증가하여 세계에서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으며, 10년간 높은 성장률을 보인 국가 10위권에 5년 연속으로 포함되어 주요 국제회의 개최 국가로서의 위치를 확고히 다져가고 있다.
3)도시별 국제회의 개최현황
2007년 도시별 국제회의 개최건수는 싱가포르가 466건(4.52%), 파리 315건(3.05%), 빈 298(2.89%), 브뤼셀 229(2.22%), 제네바 170건(1.65%) 순으로 나타났으며, 상위 10개 도시의 개최건수는 총 2,133건(20.67%)으로 전년도 1,983(18.99%)에 비해 소폭 증가하였다.
2007년도에 크게 성장한 도시를 개최건수 기준으로 살펴보면 교토(27건→62건, 130%증가), 오슬로(37건→70건, 89%증가), 도쿄(67건→126건, 88%증가), 싱가포르(300건→466건, 55%증가), 리스본(67건→104건, 55%증가) 순이다.
4. 국제회의산업의 전망과 육성방안
1) 국제회의산업의 전망
국제회의산업은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신종 관광산업으로 부상하고 있으며, 향후 국제회의시장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세계 각국은 국제회의 산업을 육성하기 위하여 국가적인 차원에서 각종 지원방안을 강구하고 있다. 특히 아시아 지역 국가들은 국제회의뿐만 아니라 MICE산업에도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우리나라도 국력신장 및 국제화에 따른 여러 국가들과 각 분야에서 교류가 확대됨에 따라 국제회의를 비롯한 전시회, 이벤트 등 국제행사 개최건수가 해마다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국제협회연합이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한국은 97년 106건으로 개최국 순위 25위를 차지하여 사상 최초로 시장 점유율 1%를 넘어서서 주요 국제회의 개최국 대열에 들어섰다.
98년 IMF 영향으로 58건 개최에 불과하였으나 99년에는 97건으로 회복하여 세계 25위를 차지하였고 2000년에는 COEX 컨벤션센터 개관을 계기로 109건이 개최되어 세계 24위, 아시아 4위로 오르면서 순위 및 개최건수에서 역대 최고의 성과를 기록하는 등 급속한 성장을 하고 있고 2000년 ASEM 개최를 필두로 2001년 세계 관광 기구(WTO)총회, 2002년 월드컵축구 및 부산아시안게임, 2003년 세계지방자치단체연합회(IULA)총회, 2004년 PATA제주총회 등 대형 국제회의와 국제행사가 연이어 개최될 예정이며, 2007년 ASTA 총회 등 대형 국제회의 유치가 추진되고 있어 활기를 띠고 있어 향후 국제회의 산업에 대한 전망을 밝게 하고 있다.
2) 국제회의산업의 육성방안
국제회의산업의 체계적인 육성을 위해서는 국제회의 전문시설의 확충, 국제회의 전문 인력(국제회의 전문가) 양성, 컨벤션 운영능력의 향상, 정부의 지원정책이 체계적으로 연계추진되어야 한다.
우리나라는 우리나라의 국제회의산업이 경쟁력을 갖추고 더욱 발전하기 위해서는 보완하거나 해결해 나가야 할 문제가 있다. 그 문제들을 차례대로 나눈다면 이와 같다.
첫째, 국제기구가 주관하는 회의, 즉, 국제기구회의에 대한 유치활동을 지속적으로 추진하면서 다국적 기업,일반 단체나 협회 등이 해외에서 개최하는 회의(일반회의) 시장 개척에도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일반회의의 시장 규모는 국제기구회의 시장보다 훨씬 큰 반면에 개최지 결정권자들과의 유대관계 구축 등 유치기반을 조성하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어려운 점이 있지만, 개척이 된 후에는 원만하기 때문에 일반회의 시장 개척에도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둘째, 국제회의의 성공적인 유치와 개최는 전문시설의 건립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전문 인력의 자질에서도 판가름 나게 되므로 전문 인력의 운영능력 제고를 위한 양성교육, 재교육 등 교육 프로그램을 보강해야 한다.
우리나라는 국제회의 선진국에 비하여 회의 기획가와 여러 회의 관련전문가가 부족한 형편이기 때문에 국제회의의 유치 부문에 있어서는 해외교육에 대해서도 아낌없이 지원을 해야 한다.
셋째, 컨벤션의 형태가 나날이 복합적 활동이고 다양해지면서 컨벤션 센터가 갖추어야 할 항목들이 늘어나고 있다. 그러므로 첨단 정보화 시스템이 갖춰진 컨벤션 호텔, 비즈니스 호텔, 리조트 호텔 등의 숙박시설 과 대규모 상업 시설, 레크리에이션 시설, 첨단 형태의 오피스 빌딩이 단일 지구 내에 복합적인 형태로 개발되어 국제회의 개최 기간 동안 컨벤션 센터 지역 내에 모든 활동이 가능하도록 컨벤션 도시를 조성해 나가야 한다.
이 밖에도 국제회의 전문시설 공급과잉 예방, 한국관광공사와 지자체 간의 인적교류 실시 등에 대해서도 검토해야 한다. 지금 우리나라는 2010년 서울 G20 정상회의의 성공적인 개최를 발돋움하여 앞으로 우리나라에서 개최될 국제회의를 성공적으로 개최해야 할 것이다.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1.07.17
  • 저작시기20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9010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