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2.1 머리말
2.2 발음기관
2.3 후두의 기능
2.4 조음
2.5 모음과 자음
2.6 모음
2.7 자음
제3장 음소와 음소체계
3.1 음과 음소
3.2 음소와 이음
3.3 음소의 추출방법
3.4 음소체계
2.2 발음기관
2.3 후두의 기능
2.4 조음
2.5 모음과 자음
2.6 모음
2.7 자음
제3장 음소와 음소체계
3.1 음과 음소
3.2 음소와 이음
3.3 음소의 추출방법
3.4 음소체계
본문내용
것이 되어 버릴 정도로 커다란 속성의 변화가 있을 수 없음
3.4 음소체계
3.4.1 모음체계
절로 해설한 3개의 기준 -최소대립, 상보분포, 음성적 유의성-을 사용하여 일본어와 영어의 음소체계를 분석해보면, 모음에 관해서는 일본어가 「アイウエオ」의 5음소체계가 있는 것에 비해서, 영어는 복잡한 모음체계(vowel system)로 이루어져 있음
일본어 : 장모음까지 합치면 10모음(5x2)으로 이루어지며, 2중모음성의모음과 [au]까지 합치면 훨씬 그 숫자가 많아지나 기본모음(단모음)의 5개만 주목한 5모음체계로 간주하는 것이 일반적인 원리로 되어 있음
영어 : 수많은 모음음소를 가진다고 분석되는 이유 중 하나는, 모음의 길이의 대립이 일본어만큼 명료하지 않는 것에 기인하기 때문. 모음길이의 대립을 차츰 해소하고, 음질의 차이에 의존하는 형태로 발전.「단모음」과「장모음」의 대립이 모음의 길이가 아닌 음질에 의하여 변별(=구별)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 단모음, 장모음이라는 용어를 대신하여, 이완모음(lax vowel) 긴장모음(tense vowel)이라는 용어가 사용되고 있는 것은 이런 이유 때문. 변별소성(distinctive feature)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면 변별(=구별)하는 소성(=음성특징)이,[±long]에서[tense](혹은[lax]-[tense])라는 소성으로 바뀌어서, [±long]은 잉여소성(redundant feature)이 됨. 모음의 대립이 순수하게 음절의 차이-여기서는 조음 기관의 긴장도의 차이-이라고 부르며 분석하는 학자와 방언에 따라 미묘하게 견해가 달라짐.
일본어의 모음음소체계를 대조언어학적관점으로 바라보면, 5모음이라는 일본어의 체계는 표준적이지만 약간 적은 종류에 속하고 다른 나라인, 영어는 모음음소가 비교적 많은 체계로써 거론됨. 그러나 어느 쪽의 언어라도, 2.6.2로써 거론되는 유표성의 원리에 따르고 있다는 점에서는 일치함. 다시 말해서, 가장 일반적인 모음으로 불리는[a]의 모음-혹은 그것과 유사한 음가의 모음-이 있다는 사실과 [y](=[u])등의 유표한 모음을 포함하고 있지 않다는 점 등은 많은 자연언어에서 보이는 일반적인 특징으로서 존재함
3.4.2 자음체계
영어의 자음음소(표5)는 일본어의 자음음소(표4)보다 상당히 혼잡한 체계라 할 수 있음. 마찰음의 그룹의 경우 일본어에 비해 영어의 자음음소가 많음. 특히 입술 - 치경의 좁은 영역([f/v]-[/o]-[s/z])에 자음의 대립이 많고, 이것이 영어의 하나의 특징임.
현대 영어가 일본어보다 훨씬 많은 마찰음을 가지고 있는 배경은 영어의 마찰음에는 고영어기까지 유성음과 무성음의 대립이 없었다고 되어있으며 유성음이 어중의 모음 사이에 끼인 환경에서밖에 발생하지 않고, 무성자음이 그것 이외의 환경에 생기고 있었던 것이지만, 어중에도 무성자음이 일어나는 듯 되어 (즉 유성마찰음과 무성마찰음의 최소대립이 존재하는 듯 되어) 양자의 관계가 음소적인 대립으로 발전하는 역사적인 이유 때문이다.
일본어 : 자음음소의 수는 영어보다 비록 적은 것이어도, 비음의 레벨까지 범위를 넓히면 그 수는 상당히 늘어남. 일본어에는 특히 [i]와 [u]의 전에 자음의 음가가 바뀌어버려, サ행과 ザ행의 마찰음([],[])과 タ행과 ダ행의 파찰음([ts],[dz],[],[])이 이음으로 되어 발생함.
영어 : 자음에 이음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의미는 아닌 무성폐쇄음이 저마다 이음변이를 보임. [p],[t],[k]의 세 폐쇄음에 공통으로 있는 것에, 기식(aspiration)의 유무에 있어, 강세음절의 처음에는 공기가 크게 흘러나오는데 반해, 그 다른 환경에서는 그 같은 특징을 따르지 않게 발음됨
3.4 음소체계
3.4.1 모음체계
절로 해설한 3개의 기준 -최소대립, 상보분포, 음성적 유의성-을 사용하여 일본어와 영어의 음소체계를 분석해보면, 모음에 관해서는 일본어가 「アイウエオ」의 5음소체계가 있는 것에 비해서, 영어는 복잡한 모음체계(vowel system)로 이루어져 있음
일본어 : 장모음까지 합치면 10모음(5x2)으로 이루어지며, 2중모음성의모음과 [au]까지 합치면 훨씬 그 숫자가 많아지나 기본모음(단모음)의 5개만 주목한 5모음체계로 간주하는 것이 일반적인 원리로 되어 있음
영어 : 수많은 모음음소를 가진다고 분석되는 이유 중 하나는, 모음의 길이의 대립이 일본어만큼 명료하지 않는 것에 기인하기 때문. 모음길이의 대립을 차츰 해소하고, 음질의 차이에 의존하는 형태로 발전.「단모음」과「장모음」의 대립이 모음의 길이가 아닌 음질에 의하여 변별(=구별)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 단모음, 장모음이라는 용어를 대신하여, 이완모음(lax vowel) 긴장모음(tense vowel)이라는 용어가 사용되고 있는 것은 이런 이유 때문. 변별소성(distinctive feature)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면 변별(=구별)하는 소성(=음성특징)이,[±long]에서[tense](혹은[lax]-[tense])라는 소성으로 바뀌어서, [±long]은 잉여소성(redundant feature)이 됨. 모음의 대립이 순수하게 음절의 차이-여기서는 조음 기관의 긴장도의 차이-이라고 부르며 분석하는 학자와 방언에 따라 미묘하게 견해가 달라짐.
일본어의 모음음소체계를 대조언어학적관점으로 바라보면, 5모음이라는 일본어의 체계는 표준적이지만 약간 적은 종류에 속하고 다른 나라인, 영어는 모음음소가 비교적 많은 체계로써 거론됨. 그러나 어느 쪽의 언어라도, 2.6.2로써 거론되는 유표성의 원리에 따르고 있다는 점에서는 일치함. 다시 말해서, 가장 일반적인 모음으로 불리는[a]의 모음-혹은 그것과 유사한 음가의 모음-이 있다는 사실과 [y](=[u])등의 유표한 모음을 포함하고 있지 않다는 점 등은 많은 자연언어에서 보이는 일반적인 특징으로서 존재함
3.4.2 자음체계
영어의 자음음소(표5)는 일본어의 자음음소(표4)보다 상당히 혼잡한 체계라 할 수 있음. 마찰음의 그룹의 경우 일본어에 비해 영어의 자음음소가 많음. 특히 입술 - 치경의 좁은 영역([f/v]-[/o]-[s/z])에 자음의 대립이 많고, 이것이 영어의 하나의 특징임.
현대 영어가 일본어보다 훨씬 많은 마찰음을 가지고 있는 배경은 영어의 마찰음에는 고영어기까지 유성음과 무성음의 대립이 없었다고 되어있으며 유성음이 어중의 모음 사이에 끼인 환경에서밖에 발생하지 않고, 무성자음이 그것 이외의 환경에 생기고 있었던 것이지만, 어중에도 무성자음이 일어나는 듯 되어 (즉 유성마찰음과 무성마찰음의 최소대립이 존재하는 듯 되어) 양자의 관계가 음소적인 대립으로 발전하는 역사적인 이유 때문이다.
일본어 : 자음음소의 수는 영어보다 비록 적은 것이어도, 비음의 레벨까지 범위를 넓히면 그 수는 상당히 늘어남. 일본어에는 특히 [i]와 [u]의 전에 자음의 음가가 바뀌어버려, サ행과 ザ행의 마찰음([],[])과 タ행과 ダ행의 파찰음([ts],[dz],[],[])이 이음으로 되어 발생함.
영어 : 자음에 이음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의미는 아닌 무성폐쇄음이 저마다 이음변이를 보임. [p],[t],[k]의 세 폐쇄음에 공통으로 있는 것에, 기식(aspiration)의 유무에 있어, 강세음절의 처음에는 공기가 크게 흘러나오는데 반해, 그 다른 환경에서는 그 같은 특징을 따르지 않게 발음됨
키워드
추천자료
[비서학개론A+] 회계법인(會計法人, accounting firm) 정의,현황,업무내용과 삼일회계법인 기...
[비서학개론A+] 회계법인(會計法人, accounting firm) 정의,현황,업무내용과 삼일회계법인 기...
사회복지개론-사회복지서비스의 실천분야 이론정리
(영아발달의개념) 영아발달의개요(유아보육개론, 영아의발달, 영아발달의개념, 영아발달원리,...
[교육학개론] 평생교육(平生敎育)의 이해(평생교육의 시대적 요청 및 등장배경을 정리한 후, ...
[보육학개론] 영유아발달의 개념과 특징을 설명하고 다양한 발달단계 중 하나를 선택해 그 단...
(A+ 요점정리,시험대비) [사회복지개론] 산업사회복지의 이해
(A+ 요점정리,시험대비) [사회복지개론] 사회복지정책의 개념
(A+ 요점정리,시험대비) [사회복지개론] 사회복지의 이념
(A+ 요점정리,시험대비) [사회복지개론] 복지국가
(A+ 요점정리,시험대비) [사회복지개론] 한국사회복지 역사
(A+ 요점정리,시험대비) [사회복지개론]의료사회복지실천
(A+ 요점정리,시험대비) [사회복지개론] 아동복지의 이해
(A+ 요점정리,시험대비) [사회복지개론] 사회복지행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