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ve)
° 부신경은 순운동신경으로서 원래 미주신경에서 분리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일부는 연수로부터, 일부는 척수상부로부터 나가 어깨에 있는 승모근과 목 부분의 흉쇄유돌근(胸鎖乳突筋)을 지배한다.
° 검사법 : 대상자의 얼굴을 좌우 번갈아 옆으로 손으로 밀고, 대상자는 이에 저항하여 얼굴을 반대로 돌려 흉쇄유돌근과 승모근의 힘을 사정한다. 어깨에 손을 얹어 누르는 간호사의 힘에 저항하여 어깨를 위로 으쓱하게 하여 근력과 수축을 관찰한다.
° 결과 : 위축과 속성연축이 있는 근육의 약화는 말초시녕계의 질환을 의미하며, 승모근의 마비되면 어깨가 쳐지고 견갑골이 바깥쪽 아래로 전위된다. 흉쇄유돌근의 양측성 약화가 있을 때 앙와위로 누워있는 대상자는 베개 위로 머리를 들어올리지 못한다.
⑿ 제 12 뇌신경 - 설하신경(Hypoglossal nerve)
° 설하신경은 설근 전부와 설골하근(舌骨下筋)을 지배하는 운동신경으로 혀의 운동을 담당한다.
° 검사법 : 혀를 내밀어 보게 하여 혀의 운동상태를 검사한다. 혀의 한쪽에 설압자에 저항해서 밀어보도록 요구하여 혀의 위축, 속성연축, 대칭, 편위, 근력을 확인한다.
° 결과 : 뇌손상이 있는 경우 혀가 뇌손상이 발생한 쪽으로 치우치게 된다. 혀를 밀어낼 때 마비안된 쪽의 혀에 있는 근육들이 보다 강해서 마비된 쪽의 뺨에 대항하여 보다 강력하게 밀어내게 된다.
° 주의 : 혀의 근력 검사할 때에는 다른쪽도 반복하여 검사하도록 한다.
* 참고문헌
대한 신경외과학회/ 신경외과학/ 2001
이강이 외/건강사정/현문사/2007
김조자 외/성인간호학 3/현문사/2003
° 부신경은 순운동신경으로서 원래 미주신경에서 분리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일부는 연수로부터, 일부는 척수상부로부터 나가 어깨에 있는 승모근과 목 부분의 흉쇄유돌근(胸鎖乳突筋)을 지배한다.
° 검사법 : 대상자의 얼굴을 좌우 번갈아 옆으로 손으로 밀고, 대상자는 이에 저항하여 얼굴을 반대로 돌려 흉쇄유돌근과 승모근의 힘을 사정한다. 어깨에 손을 얹어 누르는 간호사의 힘에 저항하여 어깨를 위로 으쓱하게 하여 근력과 수축을 관찰한다.
° 결과 : 위축과 속성연축이 있는 근육의 약화는 말초시녕계의 질환을 의미하며, 승모근의 마비되면 어깨가 쳐지고 견갑골이 바깥쪽 아래로 전위된다. 흉쇄유돌근의 양측성 약화가 있을 때 앙와위로 누워있는 대상자는 베개 위로 머리를 들어올리지 못한다.
⑿ 제 12 뇌신경 - 설하신경(Hypoglossal nerve)
° 설하신경은 설근 전부와 설골하근(舌骨下筋)을 지배하는 운동신경으로 혀의 운동을 담당한다.
° 검사법 : 혀를 내밀어 보게 하여 혀의 운동상태를 검사한다. 혀의 한쪽에 설압자에 저항해서 밀어보도록 요구하여 혀의 위축, 속성연축, 대칭, 편위, 근력을 확인한다.
° 결과 : 뇌손상이 있는 경우 혀가 뇌손상이 발생한 쪽으로 치우치게 된다. 혀를 밀어낼 때 마비안된 쪽의 혀에 있는 근육들이 보다 강해서 마비된 쪽의 뺨에 대항하여 보다 강력하게 밀어내게 된다.
° 주의 : 혀의 근력 검사할 때에는 다른쪽도 반복하여 검사하도록 한다.
* 참고문헌
대한 신경외과학회/ 신경외과학/ 2001
이강이 외/건강사정/현문사/2007
김조자 외/성인간호학 3/현문사/2003
추천자료
[성인간호학]골수이식 환자간호
[성인간호학] 마비환자 간호
[성인간호학][피부이식][Skin Graft][화상환자간호]문헌고찰
[성인간호학 공통] 당뇨병의 분류와 당뇨병 환자의 일반적인 치료 중재 및 당뇨병 환자들에게...
★ 성인간호학 - 편도염 ( 편도의 구조, 진단 및 검사, 치료 및 간호 )
★ 성인간호학 - 폐결핵 ( 정의, 발병원인, 증상, 진단, 검사, 치료, 간호, 합병증, 예방법 )
[성인간호학 공통] 우리나라는 지속적으로 대장암의 발생률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장...
★ 성인간호학 - 울혈성 심부전 ( 울혈성 심부전, Acorn Cardiac Support Device, 간호과정, ...
성인간호학) 구강간호 A+
성인간호학) 조혈 장애 대상자 간호
[성인간호학A+]유방장애 대상자 간호와 관리
[성인간호학A+] 위-식도 역류 질환(GERD) 환자의 간호과정 CASE STUDY
[성인간호] 요붕증_병태생리, 약물요법 및 간호중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