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 3P
2. 본론 ----------------------- 3~8P
1. 구내염
2. 침샘장애
3. 구강 내 종양
4. 외상성 장애
5. 간호
3. 결론 ------------------------ 8P
4. 용어정리 ------------------- 8~9P
5. 참고문헌 ---------------------9P
2. 본론 ----------------------- 3~8P
1. 구내염
2. 침샘장애
3. 구강 내 종양
4. 외상성 장애
5. 간호
3. 결론 ------------------------ 8P
4. 용어정리 ------------------- 8~9P
5. 참고문헌 ---------------------9P
본문내용
통제를
복용하거나 차가운 얼음으로 마사지하여 통증을 감소시킴.
- 만성 부작용 : 구강건조증, 충치, 하악골의 누공 등이 발생할 수 있음.
- 항암 화학요법의 부작용 : 입 안이 허는 구내염, 전신쇠약, 백혈구 감소증, 탈모 등이
발생하므로 이와 관련한 간호를 제공함.
4. 외상성 장애
- 원인 : 천자 상처(puncture wound), 열상, 철과상 등
- 증상 : 출혈, 부종, 홍반, 통증 등
- 우선 구강에서 혈액, 치아 조각, 찌꺼기 등을 제거함.
- 뺨에 깊은 상처가 났을 때는 이하선의 침범을 의심함.
- 감염예방을 위해 세심한 청결과 상처간호를 시행함.
→ 혈액과 찌꺼기의 흡인과 호흡유지를 위한 기도 삽관이 필요함.
- 손상이 치유될 때까지 배액관으로 타액을 배액함.
5. 간호
구강암
- 구강암 대상자는 호흡 시 악취가 남
- 입안의 불쾌감, 구강 건조증이 나타날 수 있음.
- 자주 구강 청결을 권장하고 건조하거나 갈라진 입술에 수용성 윤활제
를 발라줌.
구강건조증
xerostomia
- 침샘의 기능장애, 발열, Atropine 투여, 항히스타민제, 항우울제,
phenothiazine, 침샘의 수술, 방사선 조사 등에 의해 나타남.- 방사선 조사에 따른 구강건조증은 영구적으로 지속됨.
- 증상경감을 위하여 수분섭취를 권장하고 자극적인 음식은 피하며,
mineral oil 같은 윤활제를 사용함.
- 타액 분비를 자극하기 위해 무가당 껌을 씹거나 딱딱한 사탕을 빨게 함.
→ 충치예방을 위해 설탕이 들어 있지 않은 사탕을 이용하며, 신맛이
타액 분비를 자극하기 때문에 레몬맛 사탕을 먹는 것이 좋음
연하곤란
- 농반과 휴지를 가까이 두고 대상자에게 가능한 한 자주 뱉도록 함.
- 흡인이 필요할 수 있고 부교감 신경 차단제, belladonna 추출물, 아
트로핀(atropine) 등을 투여할 수 있음.
영양보충
- 원인 : 통증, 연하곤란, 근치수술의 영향 등
- 치료
영양 상태를 계속 사정하고 연식이나 유동식을 소량씩 제공함
가족이 대상자의 식사를 도울 수 있도록 교육함
필요 시 위관영양이나 총 비경구 영양을 제공함
신체상 증진
- 질병과 치료과정에서 안면의 변형(disfigurement)이나 생활습관의 변
화가 나타날 수 있음 → 이는 대상자와 가족에게 당혹감을 안겨줌.
- 대상자에게 흡연과 음주의 위험성, 조기 증상과 자가검사법에 대해
교육함.
통증 완화
- 진통제로 통증과 불편감을 완화하고 안위 간호를 제공함.
의사소통 증진
- 수술부위의 통증과 배액관 때문에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있으므로
필기도구를 이용해 원활하게 의사전달을 하도록 도움.
Ⅲ. 결론
우리는 구강질환과 간호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만약 ooo님이 GERD로 인하여 구내염, 침샘장애, 종양, 외상 등의 구강질환이 발생하였을 경우 어떤 증상과 어떤 원인으로 인해 그 병이 발병했는지를 알게 되었고 어떠한 간호를 취해줘야 할 지도 알게 되었다. 구강장애는 면역결핍, 통증, 연하곤란 등으로 영양 결핍이 생길 수 있으므로 적절한 영양보충이 필요할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Ⅳ. 용어정리
구강함수제
가그린, 양치액 등
효모군(yeast)
고등 미생물의 진균류에 속함
악하선
(submaxillary gland)
이하선에 버금가는 대타액선으로 하악저의 안쪽이며 악하3각에 있는 매실 크기의 선
섬유종(fibroma)
섬유, 결합조직으로 구성되는 양성 종양을 의미한다.
지방종(lipoma)
지방종은 성숙된 지방세포로 구성된 양성 종양으로 얇은 피막
으로 둘러싸여 있다.
신경섬유종
(neurofibromatosis)
신경섬유종증이란 피부와 중추신경계의 특징정인 이상을 동반
하는 신경피부 증후군 중의 하나.
혈관종(hemangioma)
혈관종은 비정상적인 혈관이 뭉쳐 있는 덩어리를 의미.
전암성종양
(premalignant tumors)
암이 되기 쉬운성질
편평상피암
(Squamous
cell carcinoma)
암실질 구조가 중층편평상피와 유사한 것을 구할 수 있는 암종
이며 악성이다.
기저세포암
(Basal cell carcinoma)
피부의 발생하는 원발성 악성종양
페노티아진
(phenothiazine)
소화관내 기생충 구제용 약제.
아트로핀(atropine)
신경전달물질의한가지로근육을지배하는신경의말단에서
분비되어근육의수축을유도하기도하며,부교감신경의말단
에서분비되어부교감신경의전달을담당하기도함.
Ⅴ. 참고문헌
성인간호학 상 (2011), 전시자 외, 현문사, p.343~347
구글 이미지
복용하거나 차가운 얼음으로 마사지하여 통증을 감소시킴.
- 만성 부작용 : 구강건조증, 충치, 하악골의 누공 등이 발생할 수 있음.
- 항암 화학요법의 부작용 : 입 안이 허는 구내염, 전신쇠약, 백혈구 감소증, 탈모 등이
발생하므로 이와 관련한 간호를 제공함.
4. 외상성 장애
- 원인 : 천자 상처(puncture wound), 열상, 철과상 등
- 증상 : 출혈, 부종, 홍반, 통증 등
- 우선 구강에서 혈액, 치아 조각, 찌꺼기 등을 제거함.
- 뺨에 깊은 상처가 났을 때는 이하선의 침범을 의심함.
- 감염예방을 위해 세심한 청결과 상처간호를 시행함.
→ 혈액과 찌꺼기의 흡인과 호흡유지를 위한 기도 삽관이 필요함.
- 손상이 치유될 때까지 배액관으로 타액을 배액함.
5. 간호
구강암
- 구강암 대상자는 호흡 시 악취가 남
- 입안의 불쾌감, 구강 건조증이 나타날 수 있음.
- 자주 구강 청결을 권장하고 건조하거나 갈라진 입술에 수용성 윤활제
를 발라줌.
구강건조증
xerostomia
- 침샘의 기능장애, 발열, Atropine 투여, 항히스타민제, 항우울제,
phenothiazine, 침샘의 수술, 방사선 조사 등에 의해 나타남.- 방사선 조사에 따른 구강건조증은 영구적으로 지속됨.
- 증상경감을 위하여 수분섭취를 권장하고 자극적인 음식은 피하며,
mineral oil 같은 윤활제를 사용함.
- 타액 분비를 자극하기 위해 무가당 껌을 씹거나 딱딱한 사탕을 빨게 함.
→ 충치예방을 위해 설탕이 들어 있지 않은 사탕을 이용하며, 신맛이
타액 분비를 자극하기 때문에 레몬맛 사탕을 먹는 것이 좋음
연하곤란
- 농반과 휴지를 가까이 두고 대상자에게 가능한 한 자주 뱉도록 함.
- 흡인이 필요할 수 있고 부교감 신경 차단제, belladonna 추출물, 아
트로핀(atropine) 등을 투여할 수 있음.
영양보충
- 원인 : 통증, 연하곤란, 근치수술의 영향 등
- 치료
영양 상태를 계속 사정하고 연식이나 유동식을 소량씩 제공함
가족이 대상자의 식사를 도울 수 있도록 교육함
필요 시 위관영양이나 총 비경구 영양을 제공함
신체상 증진
- 질병과 치료과정에서 안면의 변형(disfigurement)이나 생활습관의 변
화가 나타날 수 있음 → 이는 대상자와 가족에게 당혹감을 안겨줌.
- 대상자에게 흡연과 음주의 위험성, 조기 증상과 자가검사법에 대해
교육함.
통증 완화
- 진통제로 통증과 불편감을 완화하고 안위 간호를 제공함.
의사소통 증진
- 수술부위의 통증과 배액관 때문에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있으므로
필기도구를 이용해 원활하게 의사전달을 하도록 도움.
Ⅲ. 결론
우리는 구강질환과 간호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만약 ooo님이 GERD로 인하여 구내염, 침샘장애, 종양, 외상 등의 구강질환이 발생하였을 경우 어떤 증상과 어떤 원인으로 인해 그 병이 발병했는지를 알게 되었고 어떠한 간호를 취해줘야 할 지도 알게 되었다. 구강장애는 면역결핍, 통증, 연하곤란 등으로 영양 결핍이 생길 수 있으므로 적절한 영양보충이 필요할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Ⅳ. 용어정리
구강함수제
가그린, 양치액 등
효모군(yeast)
고등 미생물의 진균류에 속함
악하선
(submaxillary gland)
이하선에 버금가는 대타액선으로 하악저의 안쪽이며 악하3각에 있는 매실 크기의 선
섬유종(fibroma)
섬유, 결합조직으로 구성되는 양성 종양을 의미한다.
지방종(lipoma)
지방종은 성숙된 지방세포로 구성된 양성 종양으로 얇은 피막
으로 둘러싸여 있다.
신경섬유종
(neurofibromatosis)
신경섬유종증이란 피부와 중추신경계의 특징정인 이상을 동반
하는 신경피부 증후군 중의 하나.
혈관종(hemangioma)
혈관종은 비정상적인 혈관이 뭉쳐 있는 덩어리를 의미.
전암성종양
(premalignant tumors)
암이 되기 쉬운성질
편평상피암
(Squamous
cell carcinoma)
암실질 구조가 중층편평상피와 유사한 것을 구할 수 있는 암종
이며 악성이다.
기저세포암
(Basal cell carcinoma)
피부의 발생하는 원발성 악성종양
페노티아진
(phenothiazine)
소화관내 기생충 구제용 약제.
아트로핀(atropine)
신경전달물질의한가지로근육을지배하는신경의말단에서
분비되어근육의수축을유도하기도하며,부교감신경의말단
에서분비되어부교감신경의전달을담당하기도함.
Ⅴ. 참고문헌
성인간호학 상 (2011), 전시자 외, 현문사, p.343~347
구글 이미지
추천자료
개인위생(기본간호학) 실습보고서
[호흡기계] 섭취한 음식물의 이동(구강 식도)
교육심리 - Piaget 인지발달의 단계별 특성 Vygotsky의 학습과 발달의 관계의 근접발달영역 ...
치기공 고정성 direct resin 의 구강외법 중 그 외법
기본생활습관지도의 현황, 기본생활습관지도와 인사예절교육, 안전생활교육, 기본생활습관지...
특별회음부간호, 등마사지, 특별구강간호
프로이드의 정신분석학 이론의 정신발달단계 중 구강기, 항문기, 남근기, 잠복기, 생식기에 ...
[생물학 실험] 세포 관찰 : 동물 및 식물세포 관찰 - 광학현미경 사용법 숙지, 세포 비교관찰...
일반생물학 - 양파 표피세포 관찰 - 실험목적 : 양파 표피세포와 인간 구강상피세포 구조 관...
[일반생물학 및 실험] 동물세포 및 식물세포의 관찰 : 동물 구강상피세포, 식물 양파표피세포...
[생물학 실험] 동물세포의 관찰 : 크기가 작아 육안으로는 파악하기 힘든 동물세포(적혈구, ...
성인간호학 CSICU 사전학습 :CVP(중심 정맥관), CRRT, Ventilator(벤틸레이터), Chest tube(...
성인간호학case study-뇌경색
[소화기관] 소화기계(소화기)의 구조와 기능(구강, 인두, 식도, 위의 구조와 기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