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자본의 지역발전 기여도에 대한 실증연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연구문제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결론 및 평가

본문내용

식.기술의 축적
78611.11
0.376
0.000
0.75
사회적 자본
232.926
0.254
0.021
0.13
사회적 구속
-1204.9
-0.16
0.130
0.14
사회간접자본
6934.668
0.051
0.193
0.99
<회귀분석 결과 요약>
사회적 자본과 관련하여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예상대로 사회적 자본이 높은 지역의 일인당 소득수준은 대체적으로 높고 사회적 자본이 낮은 지역의 일인당 소득수준은 대체적으로 낮게 나타나고 있다.
<일인당 소득과 사회적 자본>
우리나라의 경우 과거 수십 년 간 근대화의 길을 달려온 결과 경제규모와 일인당 국민소득 등 외형적으로는 크게 성장한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사회적 자본 지수는 선진국에 비해 현저히 낮은 수준이며 시간이 흐름에 따라 일정한 방향으로 개선되지 않고 낮은 수준에서 변동하고 있을 따름이다. 사회적 자본 지수를 국제적으로 비교하는 하나의 방법으로서 사회신뢰를 비교한 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경우 2.73으로 미국(3.63), 일본(4.31), 스웨덴(6.63) 등의 나라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이다.
4. 결론 및 평가
사회적 자본의 역할을 지역발전의 핵심개념인 지역혁신, 지역네트워크와 관련지어 설명함으로써 사회적 자본이 지역발전에 어떻게 기여하는 지에 대하여 명시적으로 나타내보이고 이를 통계적으로 검증하고자 한 연구였다. 기술통계량에 대한 해석과 회귀분석에 대한 해석 모두 잘 정리되어 있었고, 연구결과 역시 목적에 맞게 잘 되어 있었다. 그러나 가설을 설정했던 만큼 각각의 가설 검증이 나타났더라면 더 좋았을 것이라 생각된다.
  • 가격2,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1.07.27
  • 저작시기201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913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