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와 건강의 관계) 공기의 성분 및 대기오염의 정의와 영향, 대기오염에 대한 문제점과 대책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공기와 건강

Ⅰ. 공기의 정상성분

Ⅱ. 대기오염

1. 대기오염의 정의
2. 대기오염물질
1) 1차 오염물질
(1) 먼지
(2) 연기
(3) 훈연
(4) 액적
(5) 각종 가스
2) 2차 오염물질(광화학 산화물)
(1) 광화학 스모그
(2) 광화학 오염물질
3. 대기오염의 영향
1) 인체에 미치는 영향
2) 동물에 미치는 영향
3) 식물에 미치는 영향
4) 산성비
5) 지구온난화
6) 오존층의 파괴
4. 대기오염에 대한 대책
1) 에너지의 사용규제, 대체
2) 기술의 향상과 보급
3) 산업구조의 고도화
4) 대기오염에 대한 지도, 계몽 및 법적 규제
5) 오염자 비용부담의 원칙적용

* 참고문헌

본문내용

sis)이 발생한다. 불소
가 배출되는 지역에서는 불소가 풀에 축적되어 있어서 이러한 목초를 뜯어먹는 동
물 특히 양과 소는 이가 손상되어 먹을 수가 없게 된다. 그러나 대기오염에 의한
동물의 피해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3) 식물에 미치는 영향
식물피해의 대부분은 아황산가스에 의한 것이다. 아황산가스(SO,)는 식물의 기
공을 자극하고 성장을 방해한다. 즉, 농도 0.1~0.2ppm의 아황산가스는 대체로 만
성적 피해를 가져다주며 4ppm 이상에서는 급성 피해가 많이 발생한다. LA 스모
그는 식물 특히 시금치나 상추 등에 피해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산성비
화력발전소, 공장, 차량 등에서 배출된 황산화물, 질소산화물 및 탄소산화물이 대
기 중 화학반응으로 황산, 질산으로 변환되어 산성비(acid rain)가 된다. 빗물의 pH
는 보통 5.56의 값을 가지는데, 일반적으로 빗물의 pH가 5.6 이하일 때를 산성비
라 한다. 산성비는 호수나 하천을 산성화하여 담수생태계를 파괴하고, 농작물과 산
림에도 큰 피해를 준다. 또한 부식성이 강해서 금속류나 석조건축물을 손상시킨다.
(5) 지구온난화
어느 특정 가스가 지구 주위를 둘러싸고 그 결과 지구충의 가열된 복사열의 방
출을 막고, 지구가 더워지는 현상을 온실효과(green house effect)라고 한다. 이 온실효과의 원인이 되는 것은 이산화탄소, 메탄, 이산화질소, 염화불화탄소, 오존 등
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세계 곳곳에서 일어나고 있는 기상계해 등은 지구온난화
(global warming)와 관련 있는 기상이변현상으로 여겨지고 있다.
(6) 오존층의 파괴
성층권 내 고도 25~30km에 존재하는 오존층은 지상에 도달하는 자외선의 대부
분과 유해한 우주선을 흡수하여 지구 생태계를 보호하고 유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냉장고, 에어컨, 스프레이의 분사제나 발포제로 사용되는
프레온가스(freon : CCl2F2), 즉 염화불화탄소(CFC : Chlorofluorocarbon)가 대기 중에 많이 방출되고 있어 이것이 성층권에서 자외선에 의해 분해되어 염소원자를 방출하는데 이것이 오존의 산소원자와 결합함으로써 오존층을 파괴(ozone layer
depletion)하고 있다. 오존층에서의 오존량의 1% 감소는 피부암 발생률 2% 증가가
예측되고 있으며, 면역기능의 약화, 피부염의 발생 및 동식물과 기후의 온난화에 영
향을 미친다.
4) 대기오염에 대한 대책
대기환경기준에 대한 오염물질의 기준치에는 (1) Criteria, (2) Standard, (3) Emission Standard 등 3가지가 있다.
Criteria는 보통 인체의 건강장애를 고려해서 만든 건강기준치로서 물론 법적 구
속력을 가질 수 없으며, 인체를 고려한 것이기 때문에 각 나라마다 다르지 않다.
Standard는 환경기준치라고 하는데 그 나라의 정치, 경제, 사회 등의 여건을 고
려하여 그 나라가 추구하고자 하는 목표치(goal)이며 행정관리상 중요한 의미를 지
닌다. 그러나 그 자체가 행정상 규제대상이 되거나 법적 구속력을 가지고 있지 않
기 때문에 기준치를 초과하였다고 하여도 직접적 책임을 지는 것은 아니다. 즉,
Standard는 많은 과학적 근거에 의해 그 나라의 사정에 맞도록 환경대책을 수립하
고 추진하기 위한 행정목표치라 할 수 있다.
배출허용기준인 Emission Standard는 환경기준치를 달성하기 위해 법적 구속력
을 가진 배출규제이다. 배출을 규계한 방법에는 (1) 배출량을 규제하는 방법, (2) 굴뚝이나 배출시간 등의 배출조건을 규제하는 방법, (3) 배출지역을 규제하는 방법, (4) 착지농도가 어떤 환경수준을 달성하도록 지상의 농도를 규제하는 방법 등이 있다.
(1) 에너지의 사용규제, 대체
에너지의 사용을 가능한 한 적게 사용하는 방안을 강구하여야 한다. 그리고 오염
발생이 적은 에너지 자원으로 대체하여 사용하고 대기오염을 줄여야 한다. 현재 가
정연료로 사용하고 있는 석탄이나 석유에서 LNG로 교체하고 있는데 이런 사업들
을 활성화시켜야 대기오염의 발생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2) 기술의 향상과 보급
대기오염을 줄일 수 있는 오염방지기술의 향상에 많은 노력과 투자가 있어야 한
다. 방지기술뿐만 아니라 오염원을 대체할 수 있는 신물질을 개발하여 오염원의 대
체를 이루어야 한다.
(3) 산업구조의 고도화
산업의 제조방법, 처리가공의 방법 및 장치 등을 근본적으로 연구하여 오염물질
이 발생치 않는 새로운 공법을 기초로 하는 사업을 연구와 더불어 외국의 고도기
술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는 대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4) 대기오염에 대한 지도, 계몽 및 법적 규제
대기오염 방지는 국민, 국가 및 기업이 다 같이 노력하지 않고는 달성할 수 없
다. 국가의 확고한 의지와 국민이나 기업에 대한 지도, 계몽, 교육이 꾸준히 있어
야 할 것이다. 또한 대기오염 방지에 대한 기준을 강화하여 법적 규제를 지속적으
로 지도, 단속하여 이를 지키지 않으면 안 된다는 인식을 가지도록 하여 기업들 스
스로도 에너지의 효율화나 오염방지기술에 대한 필요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하겠다.
(5) 오염자 비용부담의 원척적용
대기오염은 물론 수질오염 등 환경오염에 있어서 오염물질을 발생시킨 자가 오
염의 정화에 필요한 재정부담을 하는 것으로 현재 배출허용기준이 넘는 산업체 등
에 대하여 배출부과 벌과금을 물리고 있다. 오염자 비용부담원칙(PPP : Polluter's
Pay Principle)은 배출허용기준보다 더 발전된 의미로 적용할 때 산업체에서 오염물질의 배출을 줄이려는 적극적 자세가 갖추어질 수 있을 것이다.
* 참고문헌
- 강병우(2005). 공중보건학. 현문사
- 강흥구(2004). 의료사회복지실천론. 학현사
- 고수현 외(2002). 사회복지개론. 대학출판사
- 박노예(1993). 보건교육. 수문사
- 이영호(2002). 정신건강론. 학현사
- 양봉민(1999). 보건경제학. 나남출판
- 보건복지부(2007). 보건복지백서 2007
- 김문주 외(2000). 전신관리학. 청구문화사

키워드

영향,   요인,   정의,   개념,   문제점,   배경,   방안,   현황

추천자료

  • 가격3,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1.07.29
  • 저작시기2011.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914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