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우리나라 교육문화의 분류와 특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한국 교육문화의 이해

Ⅰ. 한국 교육문화의 분류

Ⅱ. 한국교육문화의 특징

1. 숭문주의 교육문화
2. 입신양명주의 교육문화
3. 문벌주의 교육문화
4. 가족주의 교육문화
5. 상징주의 교육문화

* 참고문헌

본문내용

87-173)에 의하면, 자녀를 양육하고 교육하는 일은 가통(家
統)의 측면에서 볼 때 가(家)의 존립과 연결되어 있으며, 현재의 가사(家事)
일뿐만 아니라 후일의 가사를 처리하는 사람을 기르는 일이었다고 한다.
가(家)의 관심은 언제나 자녀의 양육과 교육에 집중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교육은 가문의 존속과 발전을 위한 효과적인 수단이었다. 교육에
대한 의미는 가문 전체의 발전이라는 사회 생존권적 성격과 관련이 있다.
교육에 대한 투자는 가문의 지위를 보장해 주는 현실적인 미래 자본이다.
이 점에서 사회적으로 교육에 대한 투자 행위는 긍정적으로 수용될 수밖에
없다.
(5) 상징주의 교육문화
상징은 단순한 기호가 아니라 보이지 않는 사회적 권력관계를 내포하고
있다. 어떤 상징체가 다른 상징체보다 우월하다는 것은 지배집단의 힘이
내포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부르디외는 상징은 그 자체가 권력이라고
하였다.
조선시대에서 과거제는 그 자체가 사회적 상징의 기제였다. 과거제는 객
관성과 공정성, 그리고 능력주의 이념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사회적 상
징의 의미가 남다를 수밖에 없었다. 과거 합격증은 국가가 공인하는 사회
적 인증서였기 때문이다.
그래서 혈연 중심의 음서(蘿敍)제에 의해 승진한 관료는 사회적으로 정
당성을 확보하기 어려웠다. 오늘날 장관과 비슷한 지위인 음서에 의해 숭
진한 당상관(垈上官)에 위치해도 사회적 명예와 객관적 인정을 얻으려고 과
거시험에 다시 용시할 정도였다.
실제 관직과 관계없으며 학위 신분층에 불과한 진사와 생원도 마찬가지
였다. 진사와 생원이 되기 위한 필사적인 노력이 이루어진 것은 과거제가
갖는 사회적 상징성이 그만큼 켰기 때문이다. 진사와 생원은 단순한자격
증이 아니라 국가가 공인한 사족(士族)의 상징적 자격증이다. 심지어 과거
에 합격하지 못해도 유교적 동류 의식을 나타내기 위해 죽어도 묘비명에
'學生OOO之墓' 로 표기할 정도였다. 죽어서도 양반 신분의 사회적 상징
을 보여 주고 싶었던 것이다.
조선 후기에 신분제가 동요되면서 급작스럽게 양반 자격증을 획득한 사
람들은 심리적인 신분적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과거에 응시하기도 하였다.
과거 응시 자체는 암묵적으로 양반 신분을 나타내는 상징적 행위였기 때
문이다. 이처럼 실질적인 사회적 혜택이 없지만, 상징적 자격증을 획득하
기 위한 필사적인 노력은 양반 신분의 상징성을 객관적으로 인정받기 위
해서 였다. 상징 속에는 보이지 않는 사회의 차별적인 힘이 내재해 있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한국의 전통 교육문화를 알기 위해 숭문주의, 입신양명주의,
문벌주의, 가족주의, 상징주의 교육문화의 특징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았
다. 사실 전통적 교육문화들은 비슷한 역사적 흐름으로 이루어진, 한 몸과
같은 문화적 성격을 가지고 있다. 전통적 교육문화들은 서로 다른 성격의
뿌리를 가진 것이 아니라 동일한 속성으로 이루어졌으며, 교육과 사회적
이해관계의 결합에 의해 그 성격이 형성되었다. 즉, 교육의 사회적 혜택의
성격과 정도에 따라 교육에 대한 문화적 인식 틀에 영향을 미쳤다. 유념할
것은 전통적 교육문화의 분류는 단지 논의와 이해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것이라는 점이다.
* 참고문헌
- 김신일(2006). 교육사회학. 서울: 교육과학사
- 김용학(1992). 사회구조와 행위. 서울: 나남
- 목영해(1995). 후 현대주의의 교육학. 서울: 교육과학사
- 김용일(2000). 교육의 미래: 시장화에서 민주화로. 서울: 문음사
- 신현석(2005). 한국의 고등교육 개혁정책. 서울: 학지사
- 이종각(1984). 문화와 교육. 서울: 배영사
- 정우현 편(1990). 교육사회학학연구. 서울: 교육과학사
  • 가격2,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1.07.29
  • 저작시기2011.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9152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