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사회의 교육 전망과 한국교육의 미래 과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아니라 영어의
세계화라고 일컬어지기도 한다.
한국사회도 예외는 아니다. 한국의 영어교육 열기는 광풍이 불 정도로
매우 심각하다. 영어 경쟁력은사회적 지위 경쟁력의 상징이 되고 있다. 영
어의 세계화는 영어의 권력화를 초래하고 있는 실정이다. 영어는 세계화
현상을 이해하고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도구에 불과하지만, 한국사회는 영
어에 병적일 정도의 집착을 보여 주고 있다. 유아의 영어 사교육비도 한 달
에 거의 백만 원을 호가할 정도다. 영어가 중요한 것은 사실이지만, 영어가
필요 없는 분야에서도 지나치게 영어를 요구하고 있으며 영어를 못하면 사
회적 불이익을 감수해야 한다. 심지어 '교육 경쟁력=영어 경쟁력' 이란 등
식이 성립되기도 한다. 자연히 영어 사교육비는 학부형의 가계에 엄청난
부담을 줄 수밖에 없다.
진정한 의미에서 세계화는 영어의 세계화가 아니라 지식과 기술, 그리고
문화 등의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콘텐츠의 세계화'를 요한다. 영
어는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콘텐츠를 위한 도구일 뿐이다. 인재전략 국제
컨설턴트인 조세미(조선일보, 2006. 4. 28)는 콘텐츠를 경시하고 영어에 집
착하는 현상에 대해 다음과 같은 안타까운 심정을 전하고 있다.
영어에 목숨을 거는 대한민국의 인재 전략, 정말 안타까워요. 영어는 그
야말로 의사소통의 수단일 뿐이니까요. 세계 최고의 글로벌 기업들이 영
어를 미국, 영국인 못지않게 구사하는 인재를 원한다고 생각하면 착각입
니다. 영어에만 매달리느라 다양한 문화 체험, 창의적이고 논리적 사고를
기를 시간이 줄어드는 것 아닌지 돌아보셔야 해요‥‥‥‥ 문제는 세련된 영어 구사 능력이 아니라, 자기만의 아이디어와 콘텐츠를 어떤 논리로 제시
하고 관철시키는가 하는 것입니다. 이것을 잘 해내지 못하면 나무토막 취
급을 받습니다.
위의 논의는 생각하기에 따라, 우리의 교육적 방향을 제시하고 있기도
하다. 우리의 교육은 콘텐츠라는 경쟁력의 목적과 영어라는 경쟁력의 수단
을 구분해야 한다. 교육 경쟁력과 영어 경쟁력을 동일시하면, 실제적인 경
쟁력의 목적을 도외시하게 된다. 교육은 시대적 흐름에 조용하기 위해 창
의력을 향상시켜 새로운 개념의 콘텐츠를 창출할 수 있는 고등사고 능력을
촉진해야 한다. 영어교육은 고등정신 능력의 향상과 거의 무관하다고 할
수 있다. 영어교육에 대한 지나친 집착은 오히려 교육 경쟁력을 약화시키
고, 나아가 미래의 국가 경쟁력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 점
은 앞으로 우리가 깊이 숙고해야 할 한국교육의 미래 과제라고 할 수 있다.
* 참고문헌
- 김신일(2006). 교육사회학. 서울: 교육과학사
- 김용학(1992). 사회구조와 행위. 서울: 나남
- 목영해(1995). 후 현대주의의 교육학. 서울: 교육과학사
- 김용일(2000). 교육의 미래: 시장화에서 민주화로. 서울: 문음사
- 신현석(2005). 한국의 고등교육 개혁정책. 서울: 학지사
- 이종각(1984). 문화와 교육. 서울: 배영사
- 정우현 편(1990). 교육사회학학연구. 서울: 교육과학사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1.07.29
  • 저작시기2011.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9162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