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특수한 정념
2)자기애의 원리
3)자비심의 원리
4)양심
(1)양심의 정의
(2)직관주의
(3)의무주의
2)자기애의 원리
3)자비심의 원리
4)양심
(1)양심의 정의
(2)직관주의
(3)의무주의
본문내용
인간은 참된 도덕판단에 도달할 수 있다. 양심의 직관적 통찰은 결코 오류를 범하지 않는 것으로 필연적으로 참이다.
(3)의무주의
버틀러에게 있어 양심은 어떤 행위가 옳고 그른지를 그 행위의 결과를 고려하지 않고 판단하는 능력이다. 옳기 때문에 옳다. 의무주의적 성격이 있다. 칸트와 달리 버틀러는 옳은 행위 유발과 관련하여 가언적 조건의 효용성을 인정한다.
(3)의무주의
버틀러에게 있어 양심은 어떤 행위가 옳고 그른지를 그 행위의 결과를 고려하지 않고 판단하는 능력이다. 옳기 때문에 옳다. 의무주의적 성격이 있다. 칸트와 달리 버틀러는 옳은 행위 유발과 관련하여 가언적 조건의 효용성을 인정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