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요의 법칙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수요의 법칙

1. 수요의 법칙
2. 예외
3. 수요곡선 위의 이동과 수요곡선의 이동
4. 수요의 탄력성

Ⅱ. 불황에는 우유가 잘 팔린다!
1. 우유의 기원

본문내용

려 우왕 때 국가상설기관으로 “유우소(乳牛所)”라는 목장을 설치하여 왕실하여 왕실과 귀족 등 높은 지위를 가진 사람들만 우유를 먹을 수 있었다.
③ 조선 시대 : 조선 순조 때의 학자 홍석모가 지은 세시풍속서인 동국세시기 내의원에서는 우유를 식품으로 만들어 임금과 신하에게 준 내용과 “불전열반경성행품”에는 우유를 환자에게 먹이도록 한 내용이 있다. 세종 때 “유우소(乳牛所)" 규모가 커지자 이의 폐단을 막고자 유우소를 폐지하였다. 숙종 때는 아무리 지위가 높아도 왕이 특별히 하사한 낙죽(우유죽) 이외에는 먹지 못하도록 하여 낙죽은 보양식으로 왕이나 일부 귀족층만 먹을 수 있는 식품이었다. 이와 같이 우유가 대중화 되지 못하다가 1902년 농상공부기사로 근무하던 프랑스인 Short가 홀스타인 젖소를 도입함으로 일반화되기 시작했다.
④ 현대 : 소규모의 시유 생산은 8.15해방과 6.25사변 등으로 거의 중단 상태에 까지 이르렀었으나 1962년부터 시작된 축산진흥 5개년 계획에 힘입어 우유 생산이 급속히 증가하게 되었다. 1962년 12월에는 국내 처음으로 서울우유협동조합이 정부의 보조와 융자로 공장을 현재의 중량교에 건설하여 가당연유를 생산하게 되었으며 우유를 처리가공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게 되었다. 당시 서울우유협동조합의 중량교 공장이 가동되기 이전까지 시유는 저온장시간 살균법을 사용하여 생산되었으며, 중량교 공장이 준공됨으로써 고온 단시간 살균법을 사용하게 되어 연속적 대량 생산이 가능하게 되었다. 동시에 분유와 기타 유제품을 제조할 수 있는 시설이 증설되어 1964년에는 국내 최초로 버터가 생산됨으로서 당시 마가린을 OO버터라고 하던 명칭을 사용치 못하게 되고 마가린으로 바뀌게 되였다. 1965년 5월에는 서울우유협동조합에서 조제분유를 생산하였고, 1967년 1월에는 남양유업에서도 조제분유를 생산하게 되었다. 1967년에 일시적인 우유의 소비 감소가 있었으며 1968년 2월에는 서울우유협동조합에서 쵸코우유가 처음 선을 보이게 되었다. 1969년 서울우유협동조합에서는 아이스크림을 소규모로 생산하였는데 이로 인하여 기존 아이스크림 제조업체인 해태제과와 삼강산업 등이 자극을 받아 우유를 사용한 아이스크림을 만들게 되었다. 1969년 말부터는 전지분유를 생산하게 되었고, 1971년에는 한국야쿠르트유업에서 유산균발효유(액상)를 생산하므로써 유산균 액상발효유의 원료로서 국내에서 탈지분유를 생산되게 되었다.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1.08.01
  • 저작시기2011.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923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