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작품의 상징성과 심리이해] 조형요소의 심리적 의미와 특성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미술작품의 상징성과 심리이해

Ⅰ. 조형요소의 심리적 의미

Ⅱ. 조형요소의 심리적 특성

1. 점
2. 선
3. 면
4. 형
5. 질감
6. 양감
7. 색과 색조
8. 명암
9. 공간감

* 참고문헌

본문내용

기와 깎기 등이 있다. 촉각적 질
감에는 천 조각, 부스러기, 사포의 표면 등이 있다. 그 외 신문, 잡지 조각 등을 캔
버스에 부착시켜 질감을 표현하는 것도 있다. 이러한 질감은 시각적 쾌감을 주고
정서적 느낌을 전달하며 공간감의 효과를 주는 특징이 있다(이광미, 1996).
다시 말하면, 질감은 인간의 시감각을 통해 전달되어 감성을 자극하여 현실감을
재고시키는 데 기여하는 조형요소이다.
(6) 양감 (volume)
양감은 면으로 막혀 있는 3차원의 공간이며, 면이 본래의 모양을 바꾸어 다른 방
향으로 움직여 만든 경로가 볼륨을 이룬 것이다. 양감은 빛과 음영에 의해서, 외부
공간에서는 시간과 계절에 따라서, 그리고 색채의 기능에 의해서 형성되고 질이 변
화되어 개발된다. 또한 착시에서 오는 양감의 대비상황과 환경과의 경계에서 오는
양감의 효과는 다원적으로 변화된다.
양감의 종류에는 계료의 양(mass)에 의한 '물리적 양감'과 계료의 특성인 음향,
발광, 투과, 반사, 반영 등의 침투나 확산에 의한 양감, 실제 운동에 의한 '운동양
감', 촉각이나 운동감각을 수반하는 '성장지향성 양감', 가능성이 있는 공간으로 암
시되는 '무에 의한 양감' 등 시각적인 표현의 양감이 있다.
이러한 양감은 만져 보고, 안아 보고, 밟고, 않아 보거나 들어 보고, 흔들어 보아
서 생동감, 부피, 강도와 중량감을 감지한다. 이때 시각과 촉각은 적극적인 지각경
험의 감각현상에 의해 생성되는 유기적인 힘을 인식하게 된다. 그러므로 양감이란
재료가 갖는 물질적인 양과 측각이나 운동감각을 수반하는 시각적 표현이다.
(7) 색 (color)과 색조(tone)
색이란 빛의 자극으로 생기는 시각의 일종으로 '색채'라고도 한다. 색을 계통적
으로 나타내는 표색계의 기본이 되는 색을 기본색이라 하며, 스팩트럼의 색 중에서
식별이 쉬운 대표적인 색을 기준색 또는 표준색이라고 부른다. 색은 유채색과 무채
색으로 나눌 수 있으며, 색의 조성을 보면 유채색에는 어느 색이나 색상, 명도, 채
도를 모두 가지고 있다. 색조는 색의 정도를 말하는 것으로, 색채의 3속성 가운데
명도와 채도를 함께 부르는 용어이다.
(8) 명 암 (value)
상대적인 밝음과 어두움의 정도를 말한다. 또는 빛과 어둠에 의해 결정되는 색의
속성, 또는 색이 반사되는 빛의 양을 말한다.
(9) 공간감 (space)
어떤 물질이나 물체가 존재할 수 있거나 어떤 일이 일어날 수 있는, 물리적으로
나 심리적으로 널리 퍼져 있는 범위, 아무것도 없이 비어 있는 칸을 말한다.
* 참고문헌
- 이근매. 정광조(2005). 미술치료개론. 서울: 학지사
- 이광미(1996). 시각예술의 이해. 서울: 지구문화사
- 정신세계사 편집부(2003). 예술치유. 서울: 정신세계사
- 최선남 외(2007). 집단미술치료. 서울: 학지사
- 정현희(2006). 실제적용중심의 미술치료. 서울: 학지사
- 한국미술치료학회(1997). 미술치료의 이론과 실제. 대구: 동화문화사
- 강길전(2002). 양자의학. 서울: 미내사클럽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1.08.04
  • 저작시기2011.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9298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