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사 개설] 무어의 법칙 (moor's law)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서론

본론
i. moor`s law
ii. 무어 법칙의 한계
iii. cpu의 속도 발달 과정

결론

본문내용

기에 나 온 듀얼 코어의 위력으로 실제 많은 사용이 이루어지지는 않았 음.

2) 듀얼코어 : cpu 내부에 연산장치 2개 존재
장점 : 싱글코어에 비해서 연산장치를 더 추가 함으로써 싱글코어의 한계치(4Ghz가 넘으면 실사용이 어렵던 부분을 넘기기 위해서..)를 넘는 멀티적인 부분과 계산 능력이 올라감
단점 : 싱글에 비해 전력사용량 증가(초기만)
팬티엄D(프레슬러,스미스필드),코어2듀오(콘로,울프데일,익스트림)
①. 스미스필드(팬티엄D 8xx ; 775소켓) : 제조공정 90nm ,캐쉬메모리 2MB
AMD에서 데스크탑용 듀얼 cpu를 내놓고, 가격도 내리자 인텔에서 급조한 시 피유로 프레스캇을 2개 중첩해 내놓은 cpu. 싱글cpu보다 않좋은 평가를 받는 이유는 당시에 나왔던 AMDcpu에 비해 가격과 그 성능이 차이가 많아 서 상대적인 혹평을 받았던 cpu로 혹자의 말에 의하면 랙이 많이 걸리는 시 피유라는 평가를 받고 있음.
②. 프래슬러(팬티엄D 9xx; 775소켓) : 제조공정(65)캐쉬 메모리(4MB)를 넣었으며,
각 코어마다 독립적으로 동작하여 스미스필드의 문제점을 해결했고, 인텔의 가 상화기술이 들어간 cpu
③. 코어2듀오(콘로 E2xxx,E4xxx,E6xxx ; 775소켓) : 65nm의 제조공정, 캐쉬메모리 (2~4MB)를 가진 cpu로 기존 듀얼 cpu에 비해서 사용전력과 사용 메모리 를 획기적으로 바뀐 cpu로 실제 사용하는 자원이 효율적인 운영과, 실제 사 용 되지 않을 경우에는 그만큼의 자원을 쉬도록 만들어 자원의 소모를 줄이고, 전력 사용량을 줄인 cpu. 예를 들자면 2개의 방에 1명씩 2명이 들어가 있던 것이 기존의 듀얼 cpu라면, 콘로급부터는 1개의 방에 2명이 들어가서 일하는 것과 같은 cpu.
④. 코어2듀오(울프데일 E5xxx,E7xxx,E8xxx;775소켓) :제조공정(45,) 캐쉬메모리(6MB) 콘로에 비해서 늘어난 캐쉬 메모리의 양과 더 작아진 제조공정으로 콘로에 넣지 못했던 것을 더 넣을 수 있는 cpu. 그러나 콘로에 사용된 아키텍처와 같은 아 키텍처를 사용한 cpu

3) 쿼드코어 : cpu 내부에 연산장치가 4개 존재.
단점 : 듀얼코어에 비해 전력사용량 증가
코어2듀오(켄츠필드,요크필드,블룸필드)
①. 켄츠필드(Q6xxx ; 775소켓) : 65nm의 제조공정과 4배의(쿼드) 코어가 있고, 그만 큼을 채워주는 L2 캐쉬 메모리를 지닌 cpu로 일을 할 때의 속도는 듀얼cpu 와 같으나 여러 작업시에 그 위력을 체감할수 있는 cpu.
②.요크필드(Q8xxx,Q9xxx ; 775소켓) : 45nm의 제조공정과 12MB의 캐쉬메모리가 들어있는 cpu. 처음 듀얼 cpu가 나왔을 때 사용한 전력양만큼 먹으면서도 일은 더 많이 하는 cpu로 지금도 많이 사용되는 cpu.
③. 블룸필드(i7 9xxx : 1366소켓) : 제조공정 45nm , 캐쉬 메모리를 L3까지 사용하 며, 3단의 캐쉬메모리(L1 : 128KB,L2:1MB,L3:8MB)를 지녔고, HT기술이 들어간 cpu.
기존의 메인보드들과 다른 X58 칩셋을 사용하며 트리플 채널을 지원합니다.
말하자면 기존 듀얼 코어가 2,4,8 이런식으로 채널을 지원했다면 이 cpu는
3,6,9 이런식으로 3개씩 지원할 수 있다는 것과 HT기술로 인해 쿼드(4)코어가
인식될 때에는 8개로 인식해서 작동하는 것으로 기존에 쿼드들에 비해서 월등히 앞서는 선능을 보여준다는 cpu로 기존 cpu들이 사용하는 아키택처를 사용 하지 않고, 네할램이라는 새로운 아키택처를 사용한 cpu이며, 병목현상을 줄이 기 위해 인텔의 노력이 보이는 cpu,
또 메모리를 컨트롤 하기 위한 기술이 들어간 cpu.
결론
무어의 법칙은 깨진 것일까요? 깨졌지만 깨진 것은 아니라고 말하는 것이 맞는거 같습니다. 현재까지 보급하기에 적당한 반도체 소재는 실리콘입니다. 그런데 그러한 실리콘이 한계에 다달았던 것입니다. 실리콘이 다른 소재와 융합하면 4Ghz의 벽을 깰 수는 있습니다만, 상용화를 생각하기엔 아직 적당하지 않은 수준이기 때문입니다. 이 때문에 cpu 제조사들은 독특한 결정을 내렸습니다. 코어를 2배씩 늘린 듀어코어와 쿼드코어가 나오게 된 것입니다. 하지만 결국엔 이것도 한계가 있을 것이고 512개나 1024개의 코어를 하나의 소켓안에 넣어야하는 기술이 필요하게 됩니다. 그때까지 실리콘의 한계를 극복해서 클럭 주파수를 올리고 다시 싱글코어부터 시작하는 방법으로 될 것 같습니다.
  • 가격3,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1.08.05
  • 저작시기2011.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9352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