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정의 및 필요성
2. 지역현황
3. 개선방향
4. 사업별 세부추진계획
5. 자원투입계획
6. 활동전략
2. 지역현황
3. 개선방향
4. 사업별 세부추진계획
5. 자원투입계획
6. 활동전략
본문내용
경상북도 평균19.5%보다 높고 전국시 평균은15.8%이며 전국평균14.2%보다도 높게 나타남.12세 영구치 우식경험자 율 결과치
구분
항목
치아홈메우기 사업수혜 초등학생 비율(%)
2003년
2004년
2005년
합계
평균(표준편차)
16.5(17.2)
14.5(16.2)
14.2(15.9)
최소값/최대값
0.0/110.0
0.0/110.0
0.0/110.0
시.군.구
구분
시
평균(표준편차)
15.7(11.1)
14.0(11.4)
15.8(16.6)
최소값/최대값
0.0/66.2
0.0/50.5
0.1/110.0
시.도
구분
경북
평균(표준편차)
27.5(12.1)
24.8(15.5)
19.5(9.2)
최소값/최대값
11.9/63.0
11.4/73.8
8.0/50.4
구 분
전 국
대도시
중소도시
안동시
농어촌
전 체
75.88
78.15
75.53
61.33
70.00
남
70.00
71.11
70.83
64.44
녀
81.82
85.19
80.34
75.56
구강산출지표
1-4
12세 영구치 우식경험자율(DMF rate)
안동시 12세 표본조사
정의
영구치에 발생되는 우식증을 경험한 12세 아동의 비율
(2007년)
분자
영구치우식증을 경험한 12세 아동의 수
2,290명
분모
12세 아동의 총 수
4,840명
산출식
(분자)/(분모)×110
지표단위
%
61.33%
자료원
국민구강건강실태조사(2003년, 3년주기)
관내 12세 영구치우식경험자율(DMF rate)이 61.33%로 나왔으며, 중소도시 평균이 75.53%보다 많이 낮으며, 전국평균 75.88% 보다도 낮게 나타났다. 단 안동시는 남. 녀로 구분을 하지 못한 점이 아쉬움이 있다.
○ 2007년→ 2008년도 구강검진 결과와의 비교 구분
우식경험자율
(DMF rate)
DMFT rate
DMFT index
우식영구치율(DT rate)
처치영구치율(FT rate)
MT rate
df rate
dft rate
dft index
dt rate
ft rate
2007년
61.33
8.96
2.16
62.96
37.04
0
60.71
50.54
1.68
46.81
53.19
2008년
52.38
6.74
1.32
44.47
55.53
0.00
71.11
40.82
1.33
33.33
66.67
(12세 대상 안동시 표본조사 결과)
2007년도와 2008년를 비교분석의 결과로 이는 꾸준한 구강보건사업 시행으로 인해 아동들과 학부모들의 인식변화로 구강과 치아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어 아동들이 더 많은 치과 치료를 받을수 있게 되었기 때문이다.
여러 해를 걸친 구강보건사업의 결과이고 치아홈메우기사업 ,예방구강보건 사업들의 실효를 거두고 있다는 의미며, 앞으로 더 나은 안동시 아동들의 구강건강을 위해 더 많은 노력과 다양한 서비스 제공의 힘이라 하겠습니다.
○ 노인구강보건사업
구강산출지표
3-6-1
노인 구강보건사업 시행의 포괄성
서비스 제공
시행유무
정의
당해년도 관할지역 노인을 대상으로 무료틀니사업구강검진,구강보건교육, 방문구강보건사업,
무료구강진료사업, 구강실태조사사업 등 다양한
노인구강보건사업에 대한 종별 시행수준
분자1
노인의치사업 유무
애명노인마을, 경로당
유
분자2
구강검진사업
애명노인마을, 장애복지관, 경로당
유
분자3
구강보건교육사업
애명노인마을, 장애복지관, 경로당
유
분자4
방문구강진료사업
애명노인마을, 장애복지관, 경로당
유
분자5
무료구강진료사업
애명노인마을, 장애복지관, 경로당
유
분자6
구강실태조사사업
경로당
유
산출식
분자1(유=1,무=0)+분자2(유=1,무=0)+분자3(유=1,무=0)분자4(유=1,무=0)+분자5(유=1,무=0)+분자6(유=1,무=0)
지표단위
종
6종
자료원
보건소 구강보건현황 관련주요지표와 산출방법(2005년).안동시 구강보건실
구분
항목
장애인 구강보건사업 종별수준(종)
2003년
2004년
2005년
합계
평균(표준편차)
2.2(1.5)
2.3(1.5)
3.6(1.1)
최소값/최대값
0.0/5.0
0.0/5.0
1.0/6.0
시.군.구
구분
시
평균(표준편차)
2.0(1.3)
2.1(1.3)
3.5(1.3)
최소값/최대값
0.0/5.0
0.0/5.0
1.0/5.0
시.도
구분
경북
평균(표준편차)
2.4(1.7)
2.4(1.6)
3.8(1.2)
최소값/최대값
0.0/5.0
0.0/5.0
2.0/6.0
경북에 평균 종별 수준은 3,8종이며, 시,군,구의 평균 3.5종이며, 전국종별 수준은 3.6이다. 하지만 우리시는 6종이며 모두 다 갖춘상태.
○ 장애인 학교구강보건실운영(특수학교)
구강산출지표
3-6-2
장애인 구강보건사업 시행의 포괄성
서비스 제공
시행유무
정의
당해년도 관할지역 장애인 대상으로 구강검진, 구강보건교육, 방문구강보건사업, 포괄계속관리사업 무료구강진료사업, 등 다양한 장애인구강보건사업에 대한 종별 시행수준
안동진명학교
분자1
구강검진사업 유무
전교생대상 구강검진
유
분자2
구강보건교육사업
전교생대상 구강교육
유
분자3
방문구강진료사업
관할학교 방문구강진료실시
유
분자4
무료구강진료사업
전교생 대상 무료진료실시
유
분자5
포괄계속관리사업
방학을 제외한 주1회 실시
유
분자6
구강실태조사사업
검진실시후 실태조사
유
산출식
분자1(유=1,무=0)+분자2(유=1,무=0)+분자3(유=1,무=0)분자4(유=1,무=0)+분자5(유=1,무=0)+분자6(유=1,무=0)
지표단위
종
6종
자료원
보건소 구강보건현황 관련주요지표와 산출방법(2005년)
안동시 구강보건실
구분
항목
장애인 구강보건사업 종별수준(종)
2003년
2004년
2005년
합계
평균(표준편차)
1.7(1.7)
1.381.7)
2.3(1.9)
최소값/최대값
0.0/5.0
0.0/5.0
0.0/5.0
시.군.구
구분
시
평균(표준편차)
2.19(1.7)
2.29(1.6)
2.9(1.8)
최소값/최대값
0.0/5.0
0.0/5.0
0.0/5.0
시.도
구분
경북
평균(표준편차)
1.7(1.9)
1.9(2.0)
2.8(1.9)
최소값/최대값
0.0/5.0
0.0/5.0
0.0/5.0
경북은 2.8종이나 시,군,구 평균은 2.9종, 전국평균은 2.3종 정도 수준이나 우리시는 6종에 속함.
구분
항목
치아홈메우기 사업수혜 초등학생 비율(%)
2003년
2004년
2005년
합계
평균(표준편차)
16.5(17.2)
14.5(16.2)
14.2(15.9)
최소값/최대값
0.0/110.0
0.0/110.0
0.0/110.0
시.군.구
구분
시
평균(표준편차)
15.7(11.1)
14.0(11.4)
15.8(16.6)
최소값/최대값
0.0/66.2
0.0/50.5
0.1/110.0
시.도
구분
경북
평균(표준편차)
27.5(12.1)
24.8(15.5)
19.5(9.2)
최소값/최대값
11.9/63.0
11.4/73.8
8.0/50.4
구 분
전 국
대도시
중소도시
안동시
농어촌
전 체
75.88
78.15
75.53
61.33
70.00
남
70.00
71.11
70.83
64.44
녀
81.82
85.19
80.34
75.56
구강산출지표
1-4
12세 영구치 우식경험자율(DMF rate)
안동시 12세 표본조사
정의
영구치에 발생되는 우식증을 경험한 12세 아동의 비율
(2007년)
분자
영구치우식증을 경험한 12세 아동의 수
2,290명
분모
12세 아동의 총 수
4,840명
산출식
(분자)/(분모)×110
지표단위
%
61.33%
자료원
국민구강건강실태조사(2003년, 3년주기)
관내 12세 영구치우식경험자율(DMF rate)이 61.33%로 나왔으며, 중소도시 평균이 75.53%보다 많이 낮으며, 전국평균 75.88% 보다도 낮게 나타났다. 단 안동시는 남. 녀로 구분을 하지 못한 점이 아쉬움이 있다.
○ 2007년→ 2008년도 구강검진 결과와의 비교 구분
우식경험자율
(DMF rate)
DMFT rate
DMFT index
우식영구치율(DT rate)
처치영구치율(FT rate)
MT rate
df rate
dft rate
dft index
dt rate
ft rate
2007년
61.33
8.96
2.16
62.96
37.04
0
60.71
50.54
1.68
46.81
53.19
2008년
52.38
6.74
1.32
44.47
55.53
0.00
71.11
40.82
1.33
33.33
66.67
(12세 대상 안동시 표본조사 결과)
2007년도와 2008년를 비교분석의 결과로 이는 꾸준한 구강보건사업 시행으로 인해 아동들과 학부모들의 인식변화로 구강과 치아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어 아동들이 더 많은 치과 치료를 받을수 있게 되었기 때문이다.
여러 해를 걸친 구강보건사업의 결과이고 치아홈메우기사업 ,예방구강보건 사업들의 실효를 거두고 있다는 의미며, 앞으로 더 나은 안동시 아동들의 구강건강을 위해 더 많은 노력과 다양한 서비스 제공의 힘이라 하겠습니다.
○ 노인구강보건사업
구강산출지표
3-6-1
노인 구강보건사업 시행의 포괄성
서비스 제공
시행유무
정의
당해년도 관할지역 노인을 대상으로 무료틀니사업구강검진,구강보건교육, 방문구강보건사업,
무료구강진료사업, 구강실태조사사업 등 다양한
노인구강보건사업에 대한 종별 시행수준
분자1
노인의치사업 유무
애명노인마을, 경로당
유
분자2
구강검진사업
애명노인마을, 장애복지관, 경로당
유
분자3
구강보건교육사업
애명노인마을, 장애복지관, 경로당
유
분자4
방문구강진료사업
애명노인마을, 장애복지관, 경로당
유
분자5
무료구강진료사업
애명노인마을, 장애복지관, 경로당
유
분자6
구강실태조사사업
경로당
유
산출식
분자1(유=1,무=0)+분자2(유=1,무=0)+분자3(유=1,무=0)분자4(유=1,무=0)+분자5(유=1,무=0)+분자6(유=1,무=0)
지표단위
종
6종
자료원
보건소 구강보건현황 관련주요지표와 산출방법(2005년).안동시 구강보건실
구분
항목
장애인 구강보건사업 종별수준(종)
2003년
2004년
2005년
합계
평균(표준편차)
2.2(1.5)
2.3(1.5)
3.6(1.1)
최소값/최대값
0.0/5.0
0.0/5.0
1.0/6.0
시.군.구
구분
시
평균(표준편차)
2.0(1.3)
2.1(1.3)
3.5(1.3)
최소값/최대값
0.0/5.0
0.0/5.0
1.0/5.0
시.도
구분
경북
평균(표준편차)
2.4(1.7)
2.4(1.6)
3.8(1.2)
최소값/최대값
0.0/5.0
0.0/5.0
2.0/6.0
경북에 평균 종별 수준은 3,8종이며, 시,군,구의 평균 3.5종이며, 전국종별 수준은 3.6이다. 하지만 우리시는 6종이며 모두 다 갖춘상태.
○ 장애인 학교구강보건실운영(특수학교)
구강산출지표
3-6-2
장애인 구강보건사업 시행의 포괄성
서비스 제공
시행유무
정의
당해년도 관할지역 장애인 대상으로 구강검진, 구강보건교육, 방문구강보건사업, 포괄계속관리사업 무료구강진료사업, 등 다양한 장애인구강보건사업에 대한 종별 시행수준
안동진명학교
분자1
구강검진사업 유무
전교생대상 구강검진
유
분자2
구강보건교육사업
전교생대상 구강교육
유
분자3
방문구강진료사업
관할학교 방문구강진료실시
유
분자4
무료구강진료사업
전교생 대상 무료진료실시
유
분자5
포괄계속관리사업
방학을 제외한 주1회 실시
유
분자6
구강실태조사사업
검진실시후 실태조사
유
산출식
분자1(유=1,무=0)+분자2(유=1,무=0)+분자3(유=1,무=0)분자4(유=1,무=0)+분자5(유=1,무=0)+분자6(유=1,무=0)
지표단위
종
6종
자료원
보건소 구강보건현황 관련주요지표와 산출방법(2005년)
안동시 구강보건실
구분
항목
장애인 구강보건사업 종별수준(종)
2003년
2004년
2005년
합계
평균(표준편차)
1.7(1.7)
1.381.7)
2.3(1.9)
최소값/최대값
0.0/5.0
0.0/5.0
0.0/5.0
시.군.구
구분
시
평균(표준편차)
2.19(1.7)
2.29(1.6)
2.9(1.8)
최소값/최대값
0.0/5.0
0.0/5.0
0.0/5.0
시.도
구분
경북
평균(표준편차)
1.7(1.9)
1.9(2.0)
2.8(1.9)
최소값/최대값
0.0/5.0
0.0/5.0
0.0/5.0
경북은 2.8종이나 시,군,구 평균은 2.9종, 전국평균은 2.3종 정도 수준이나 우리시는 6종에 속함.
추천자료
<생활과건강>보건소1개 선정후 건강증진사업 내용,사업활동현황 및 의료소비자의 제한점과 발...
[소규모사업장]소규모사업장의 개념, 소규모사업장의 실태, 소규모사업장의 직업능력개발사업...
[보건복지부][보육사업][지역자활지원계획]보건복지부의 사업별예산, 보건복지부의 보육사업,...
[보건소, 보건지소, 보건진료소, 보건복지]보건소와 보건지소 및 보건진료소, 보건소와 통합...
[안전보건, 소규모사업장 및 자영업자, 유해물질, 직업병, 광산설치기준]안전보건과 소규모사...
보건복지부의 참여복지, 보건복지부의 복지현안, 보건복지부의 공적 노인요양보장제도, 보건...
[보건복지부, 자활사업, 보건의료정책, 업무혁신정책, 정책과제]보건복지부의 예산편성방향, ...
북구 보건소 사업 - 모자보건 사업
[지역사회영양학 B형] 우리나라의 건강증진을 위하여 보건영양정책과 보건소에서 실시되는 생...
정신 보건 사업 [정의, 연혁, 현황, 문제점, 발전방향]
보건복지부와 한국노인인력개발원에서 추진하고 있는 노인일자리사업 및 노인사회활동지원사...
영유아보건 사업의 개요 & 유성구 보건소의 영유아 보건 및 예방접종사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