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포스트모더니즘
1.시의 산문화
2.구체시
3.해체시
4.패러디시
포스트모더니즘시의 세계
1.주체의 붕괴와 불확실성
2.물질 스스로 놀고 있는 세계
3.유토피아적 태도의 소멸
1.시의 산문화
2.구체시
3.해체시
4.패러디시
포스트모더니즘시의 세계
1.주체의 붕괴와 불확실성
2.물질 스스로 놀고 있는 세계
3.유토피아적 태도의 소멸
본문내용
시의 탈장르화에 대해서.
What is POEM?
━━━━━━━━━━─────────━
⊙ 시가 뭐지?
고상하다, 기품있다, 운율감, 리듬감..
천상의 존재, 성스럽다, 신성하다
순수성과 고답성을 강조
포스트모더니즘
━━━━━━━━━━─────────━
⊙ 시의 탈 장르화 현상의 시작
- 제 2차 세계대전 이후 다른 시 장르에도 큰 관심을 갖기 시작
-전통적인 시 장르의 틀에서 벗어나 다른 예술장르(소설,희곡)와의 결합모색
-고답적이고 지고의 위치를 차지하던 시 장르를 보다 세속적이고 일상적인 위치로 끌어내림.
1. 시의 산문화
━━━━━━━━━━─────────━
⊙ 과거: 산문보다는 시를 높게 평가.
→시와 산문 사이에 놓여있는 계급질서가 무너지기 시작.
서정시의 쇠퇴→길이가 길고 역동적이며 자발적인 서사시나 장시의 형태
자유시의 부활,발전: 권위의 상실, 무질서, 혼동에 의해 특정 지어지는 20세기 후반의 상황
⊙ 세상에서 제일 짧은 시
⊙ 뱀
⊙ -르나르고
⊙ 뱀
⊙ 너무 길다.
⊙ 반면, 우리나라의 ‘국경의 밤’만 하더라도 3부 72장!!!!!!!!
2.구체시
━━━━━━━━━━─────────━
⊙ 시각적 형식, 공간 형식을 강조
⊙ 시는 본질적으로 소리 체계에 의존
⊙ BUT..포스트모더니즘=시각적 측면 중시
Ex) <구체시>: 시를 일종의 표의 문자로 간주하는 유형의 시, 묘사하거나 표상하고자 하는 주제를 텍스트의 외형적 모습을 통하여 표현한다.
What is POEM?
━━━━━━━━━━─────────━
⊙ 시가 뭐지?
고상하다, 기품있다, 운율감, 리듬감..
천상의 존재, 성스럽다, 신성하다
순수성과 고답성을 강조
포스트모더니즘
━━━━━━━━━━─────────━
⊙ 시의 탈 장르화 현상의 시작
- 제 2차 세계대전 이후 다른 시 장르에도 큰 관심을 갖기 시작
-전통적인 시 장르의 틀에서 벗어나 다른 예술장르(소설,희곡)와의 결합모색
-고답적이고 지고의 위치를 차지하던 시 장르를 보다 세속적이고 일상적인 위치로 끌어내림.
1. 시의 산문화
━━━━━━━━━━─────────━
⊙ 과거: 산문보다는 시를 높게 평가.
→시와 산문 사이에 놓여있는 계급질서가 무너지기 시작.
서정시의 쇠퇴→길이가 길고 역동적이며 자발적인 서사시나 장시의 형태
자유시의 부활,발전: 권위의 상실, 무질서, 혼동에 의해 특정 지어지는 20세기 후반의 상황
⊙ 세상에서 제일 짧은 시
⊙ 뱀
⊙ -르나르고
⊙ 뱀
⊙ 너무 길다.
⊙ 반면, 우리나라의 ‘국경의 밤’만 하더라도 3부 72장!!!!!!!!
2.구체시
━━━━━━━━━━─────────━
⊙ 시각적 형식, 공간 형식을 강조
⊙ 시는 본질적으로 소리 체계에 의존
⊙ BUT..포스트모더니즘=시각적 측면 중시
Ex) <구체시>: 시를 일종의 표의 문자로 간주하는 유형의 시, 묘사하거나 표상하고자 하는 주제를 텍스트의 외형적 모습을 통하여 표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