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원동원이론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자원동원 이론의 기존이론과의 차이점
2. 자원동원이론의 기본가정
3. 자원동원이론의 출현배경
4. 자원동원이론의 중심내용
5. 틸리(Tilly)의 < 정치사회학적 자원동원이론 >
6. 매카시 & 졸드의 < 경제사회학적 자원동원이론 >
7. 자원동원이론의 범주에 포함될 수 있는 다른 이론들
8. 종합적 평가

본문내용

- (미시과정과 거시과정을 연계시키는 매개개념)집합적 귀속의 과정이 기초적인 형태의 조직과 결합되어 집합행동을 동원하는 과정
가)미시동원 맥락에서 집합행동의 동원과정('과외활동적인'(extra-curricular)동원참여)
ㄱ)기존집단들은 사회심리적 미시과정(참여자의 참여결정)의 맥락을 제공한다
ㄴ)기존집단은 지도자와 통신수단 등의 조직의 기반을 제공한다
ㄷ)기존집단들은 참가자들에게 연대의 유인구조를 제공한다.
8.종합적 평가
1)자원동원이론의 주장 - 개인적, 사회적 불만은 어느 사회에나 편재하므로 불만은 사회 운동 발생의 충분조건이 될 수 없다고 보고, 집합행동에 필요한 자원(resources)과 기회(opportunity)의 조건이 사회운동 발생과 전개의 핵심적인 요인이라고 주장
2)자원동원이론의 관점에서의 사회운동에 대한 경험적 연구의 핵심적인 과제(클랜더맨스 &태로우)
(1)사회운동 참여에 있어서의 비용(cost)과 이득(benefit)의 문제에 대한 규명
(2)자원동원이론의 관점에서 조직(organization)의 연구는 핵심적인 과제
(3)자원동원이론의 관점에서도 참여자들이 지니는 성공의 가능성에 대한 기대는 중요
3)자원동원이론이 지닌 문제점
(1)지나치게 조직의 중요성을 강조함으로써, 집합행동에 대한 총체적인 설명력을 확보 하지 못하고 있다
(2)사회운동의 또 다른 특성인 정체지향성(identity oriented)을 간과하였다
(3)공식적이고 대규모적인 형태가 효율적이라는 주장 현대의 사회운동에서 비공식적 인 사회적 연결망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최근의 사회운동연구자들에 의해 비판
  • 가격2,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1.08.07
  • 저작시기200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9392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