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본체론> - <주리적 이기이원론/이귀기천설>
1)리(理)
※절대리와 상대리의 구분
(1)절대리
(2)상대리
2)기(氣)
3)리기의 관계
<심성론>
1)성-본연지성/기질지성
(1)본연지성
(2)기질지성
2)사단칠정론
3)인심/도심
<수양론>
1)경의 의미
2)경의 실천방법
1)리(理)
※절대리와 상대리의 구분
(1)절대리
(2)상대리
2)기(氣)
3)리기의 관계
<심성론>
1)성-본연지성/기질지성
(1)본연지성
(2)기질지성
2)사단칠정론
3)인심/도심
<수양론>
1)경의 의미
2)경의 실천방법
본문내용
과 도심은 하나 혹은 둘이라고 주장한다.
크게 본다면 이황은 인심을 인욕으로 보고, 인심과 도심을 구분한다. 인욕은 인심에서 생기는 것이기 때문에 천리를 보존하고 인욕을 막는 것을, 즉 존천리거인욕을 수양의 핵심으로 하게 된다.
<수양론>
1)경의 의미
마음의 주재이며, 만사의 근본이다. 마음은 우선 몸을 주재하며, 성정 또한 주재한다. 이러한 마음의 작용에 따라 선악이 달라지므로 우리는 경으로 마음을 주재하여 우리의 현재의식의 도덕원칙과 일치시켜야 하는 것이다.
경은 또한 리를 체득하고 진리를 탐구하는 학문의 방법이다. 그리고 경은 존천리거인욕의 방법으로서 윤리적 수양의 핵심이다. (미발/이발, 체/용을 관통하는 것이 경이다.)
2)경의 실천방법
주일무적, 정제엄숙, 기심수렴, 신독, 궁리(격물치지)
크게 본다면 이황은 인심을 인욕으로 보고, 인심과 도심을 구분한다. 인욕은 인심에서 생기는 것이기 때문에 천리를 보존하고 인욕을 막는 것을, 즉 존천리거인욕을 수양의 핵심으로 하게 된다.
<수양론>
1)경의 의미
마음의 주재이며, 만사의 근본이다. 마음은 우선 몸을 주재하며, 성정 또한 주재한다. 이러한 마음의 작용에 따라 선악이 달라지므로 우리는 경으로 마음을 주재하여 우리의 현재의식의 도덕원칙과 일치시켜야 하는 것이다.
경은 또한 리를 체득하고 진리를 탐구하는 학문의 방법이다. 그리고 경은 존천리거인욕의 방법으로서 윤리적 수양의 핵심이다. (미발/이발, 체/용을 관통하는 것이 경이다.)
2)경의 실천방법
주일무적, 정제엄숙, 기심수렴, 신독, 궁리(격물치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