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는 말>
1)심체에 대한 규정
(1)심체는 천지만물이 보편적으로 가지고 있는 천리다.
(2)심체는 지선이다.
(3)심체는 양지다. (양지=천리=성=도심)
(4)심체는 성(誠)이다.
(5)심체는 즐거움이다. 양지를 회복한 사람은 즐겁지 않을 수 없다.
(6)심체는 정(定)이다
(7)심체는 성(性)이다.
※양명은 성을 기(氣)로 간주하여, 성즉기를 주장한다.
2)양지
3)치양지
(1)치양지의 의미
(2)치양지의 방법 (격물치지)
4)지행합일설
1)심체에 대한 규정
(1)심체는 천지만물이 보편적으로 가지고 있는 천리다.
(2)심체는 지선이다.
(3)심체는 양지다. (양지=천리=성=도심)
(4)심체는 성(誠)이다.
(5)심체는 즐거움이다. 양지를 회복한 사람은 즐겁지 않을 수 없다.
(6)심체는 정(定)이다
(7)심체는 성(性)이다.
※양명은 성을 기(氣)로 간주하여, 성즉기를 주장한다.
2)양지
3)치양지
(1)치양지의 의미
(2)치양지의 방법 (격물치지)
4)지행합일설
본문내용
본래 같은 마음의 본체, 즉 양지를 회복할 수 있다.
(2)치양지의 방법 (격물치지)
①격물: 내 마음을 바로잡아 사물로 하여금 그것의 리를 얻게 하는 것
②치지: 양지에 이르는 것
결과적으로 격물과 치지는 양지에 이른다고 하는 같은 의미가 된다. 이런 관점에서 그는 대학의 팔조목은 모두 치양지로 귀결된다고 주장한다. 즉 치양지를 통해 인간은 자신 뿐만 아니라 만물을 완성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4)지행합일설
주자의 선지후행에 반대하여 지행합일을 주장한다. 앎은 필연적으로 행을 수반하고 행위가 동반되지 않은 앎은 진정한 앎이 아니다. 지행은 서로 의존하고 떨어질 수 없는 것이니 지행은 병진해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지행합일의 목적은 결국 치양지다. 즉 사심과 물욕을 제거하여 양지를 회복하는 것이다.
(2)치양지의 방법 (격물치지)
①격물: 내 마음을 바로잡아 사물로 하여금 그것의 리를 얻게 하는 것
②치지: 양지에 이르는 것
결과적으로 격물과 치지는 양지에 이른다고 하는 같은 의미가 된다. 이런 관점에서 그는 대학의 팔조목은 모두 치양지로 귀결된다고 주장한다. 즉 치양지를 통해 인간은 자신 뿐만 아니라 만물을 완성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4)지행합일설
주자의 선지후행에 반대하여 지행합일을 주장한다. 앎은 필연적으로 행을 수반하고 행위가 동반되지 않은 앎은 진정한 앎이 아니다. 지행은 서로 의존하고 떨어질 수 없는 것이니 지행은 병진해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지행합일의 목적은 결국 치양지다. 즉 사심과 물욕을 제거하여 양지를 회복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