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학업 중단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학업중단의 개념
2. 학업 중퇴의 유형
3. 학업 중단의 원인
4. 중퇴 청소년의 특성과 당면 문제
5. 중퇴 청소년과 부모에 대한 시각
6. 중퇴 청소년의 실태
7. 복교생의 학교생활 적응에 관한 방안

본문내용

차원
-학교장의 복교생에 학교적응에 대한 의지가 높아야 함
-복교생 지도교사에 대한 정신적·경제적 지원 필요
-긍정적인 교사- 학생관계 모색
-퇴학재심청구 제도의 운영
-예방 및 치료 상담기능의 강화
-전문지식과 사랑으로 지속적인 노력 필요
가정적 차원
-부모의 이해와 노력
-가정복지사업의 강화
-빈곤가정 청소년의 대책과 빈곡으로 인한 학교중퇴자 예방
- 장학제도의 확대
심리적 차원
-사회적 기술개발
-자아인식강화
-건설적 또래집단 분위기 창출
취업촉진
-취업능력 증진을 위한 직업훈련의 강화
-공공직업훈련원 증설
-직업훈련 비용 및 생계비 보조
-학교에서 직업교육을 강화
-취업정보 제공 및 취업알선의 강화
-취업정보센터 운영
-무료 직업안내소 확대 운영
-취업정보와 직업훈련기관 소개
학업 중단이 급증하고 있어 대책 마련이 급하다. 여기에서 자세히 주목해야 할 점은 학교를 떠나는 청소년들이 과거에 생각하는 문제투성이의 청소년이나 가정환경이 좋지 못해 떠난다는 것이 아니다. 가정의 경제적 환경이 넉넉하고 학업성취도도 뛰어난 청소년들이 학교를 떠난다는 대에 문제가 발생한다. 이렇게 과감하게 학교를 박차고 떠나오는 청소년들이 있는가 하면, 잠재적으로 학교를 떠나고 싶어하는 청소년들이 현재의 입시형태의 교육을 받고 있는 청소년들 중 반수 이상이라는 점이 또한 더 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여지(餘地)를 내재하고 있는 곳이 학교이며, 학교를 떠난 청소년들에 대한 현재 우리의 너무나 미온적인 태도에 의해 그들이 정상적인 어떤 제도권 안에서의 교육과정을 만들어 갈 수 있는 시스템이 결여(缺如)되어 있다는 데에 더 큰 문제가 있다. 앞에서도 언급했지만 갈수록 늘어나는 이러한 청소년들은 위한 대안적인 시스템이 반드시 필요하며 과거와 같이 학교를 중간에 그만둔 청소년들이 성장하면서 어떤 죄를 지어 학교에서 쫓겨났다는 인상의 사회적인 분위기도 간과看過)해서는 안될 것이다. 어찌됐건 이들에게 필요한 것은 대안교육이다. 현재의 여러 대안적인 교육방법이 도출되고 있으며 작지만 많은 실험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그 부분도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으며, 자연권의 몇몇 대안시설들을 제외하고는 많은 부분 지방에서 어떠한 내용을 채울 수 있다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렵다. 이에 지자체에서 자체적인 교육방안을 협의해서 활성화 할 수 있는 방안을 관의 교육담당자와 청소년전문가, 청소년 지도사등이 모여 구체적이고 실현 가능한 방안을 만들어 작지만 실험적인 내용들을 꾸준히 만들어 갔으면 한다. 또한 대안교육시설(상담실, 수련시설, 대안학교등)에서의 학점 인정부분이 형식적인 내용이 아닌 학교 밖에서 자신의 진로를 찾을 수 있는 내용 있는 부분으로 채워질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즉, 다시 설명하지만 과거와 같이 학교를 그만둔 청소년을 사회부적응자나 문제 청소년으로 분류해 사회로부터 격리되지 않게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즉 현재의 여러 대안 교육적인 처방이 만들어지는 처음시점에 이러한 학교중퇴 청소년을 바라보는 시각자체를 과거와는 달리 해야 할 것이다.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1.08.10
  • 저작시기2011.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942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