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라봉 영양생리 및 대책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한라봉 영양생리 대책
[시비 및 토양관리란?]
[양분관리를 잘 못하면…..]
구리결핍 대책
아연 결핍 방제 대책
신초고사(일명 : 유사 역병)
신초고사 대책
 ≪ 사 진 ≫
[시비 및 토양관리란?]
[어떻게 하면 화학성, 물리성, 미생물상이 개선될까?]
[양분관리의 주의점]
적절한 양분 함량
감귤의 요소 결핍, 과잉증
300평당 성목의 년간 시비량(성분량) : 23-20-19 kg/10a
부지화 시비량
칼슘의 중요성
난용성 칼슘제(탄산칼슘, CaCO3, 칼사이트=방해석)
수용성 칼슘제
수용성 칼슘제의 흡수율(방사능 동위원소 이용 45Ca)

본문내용

한라봉 영양생리 대책
┗━━━━━━━━━━────────


[시비 및 토양관리란?]

❉ 토양의 화학성(양분관리) 개선 : 적정시비, 균형시비

❉ 토양의 물리성 개선 : 물빠짐 양호, 부드러운 토양, 잔뿌리 증가

❉ 토양 미생물상 개선 : 양분 흡수율 증가


                    + 엽면살포

           ↓

        고품질, 안정생산





[양분관리를 잘 못하면…..]


♔ 토양내 양분이 불균형 결핍, 과잉 등의 생리장해 발생

           ↓

     수세 불안정, 품질저하

           ↓

          고사









구리결핍 대책


 ≪ 사 진 ≫

1. 토양 중 구리 함량이 낮을 때
가. 유기물 공급
나. 유산동 토양 관주 : 300평당 유산동 2kg을 물 50말에 녹여 관주

2. 토양중에 구리성분이 있더라도 흡수가 안 되는 경우(pH가 높은 경우)
가. pH를 낮춘다. : 염기(칼리, 칼슘, 마그네슘)의 공급을 중단
생리적 산성 비료시용(유안 사용)
나. 유산동의 엽면 살포(물 한말당 유산동 80g과 생석회 80g 혼용 살포)
다. 구리제(코사이드, 새빈나 등) 살포

# 주의점 : 생석회 대신 탄산석회(크레프논) 사용하지 말것








아연 결핍 방제 대책


1. 토양 중의 인산 함량을 줄일 것
- 300 ppm(mg/kg) 이하로

2. 토양 pH를 적절히
- 5.5~6.2로

3. 응급대책
- 300평당 토양으로 황산아연 2kg을 물에 녹여 관주
- 황산아연 0.3%+탄산칼슘(크레프논) 0.3% 혼용 살포

 ≪ 사 진 ≫

황산아연 단용 살포시
반점 피해 발생








신초고사(일명 : 유사 역병)


 ≪ 사 진 ≫

2. 증 상
가. 초기증상 : 봄순 끝이 검게 타 들어감
나. 발생 시기 : 이른봄 새순 발생 직후
다. 발생 나무 : 어린 유목, 특히 고접 및 이식수
라. 영향 : 생육 저하

2. 발생 원인
가. 봄철 낮은 지온으로 칼슘(석회) 이동 저하
나. 한라봉의 새순 자람이 빠름
다. 칼슘 특성상 식물체내 이동 속도가 느림
라. 칼슘 결핍
  • 가격3,0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11.08.14
  • 저작시기2011.8
  • 파일형식파워포인트(ppt)
  • 자료번호#6948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