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백설기
수업시간 tip&point
수수팥경단
수업시간 tip&point
미역국
수업시간 tip&point
우리나라 고명의 모든 것~!
*고명의종류
1.견과류(잣, 실백 , 은행, 호두)
2.고기류(쇠고기완자)
3.야채류(미나리초대)
4.알류(황지단, 백지단, 알쌈)
5.버섯류(느타리버섯,표고버섯,석이버섯,목이버섯)
해조류~꽃!! 미역에 대해 알아본다.
꽃 송편
수업시간 tip&point
닭 북어찜
수업시간 tip&point
닭고기 부위별 알고 더 맛있게 먹자
약식
수업시간 tip&point
육포
수업시간 tip&point
편포(대추편포, 칠보편포)
수업시간 tip&point
소고기 부위별 알고 먹으면 더 맛 있어요~~
자연의 색을 찾아서.
닭폐백
수업시간 tip&point
대추고임
수업시간 tip&point
마른안주 구절판
수업시간 tip&point
겨자채
수업시간 tip&point
겨자채와 구절판
연저육찜
수업시간 tip&point
안동파산적
수업시간 tip&point
두릅적
수삼산적
화양적
수업시간 tip&point
김장아찌
수업시간 tip&point
호두장과
수업시간 tip&point
떡갈비
수업시간 tip&point
해물꽂이
수업시간 tip&point
대합구이
수업시간 tip&point
대하찜
수업시간 tip&point
수업시간 tip&point
수수팥경단
수업시간 tip&point
미역국
수업시간 tip&point
우리나라 고명의 모든 것~!
*고명의종류
1.견과류(잣, 실백 , 은행, 호두)
2.고기류(쇠고기완자)
3.야채류(미나리초대)
4.알류(황지단, 백지단, 알쌈)
5.버섯류(느타리버섯,표고버섯,석이버섯,목이버섯)
해조류~꽃!! 미역에 대해 알아본다.
꽃 송편
수업시간 tip&point
닭 북어찜
수업시간 tip&point
닭고기 부위별 알고 더 맛있게 먹자
약식
수업시간 tip&point
육포
수업시간 tip&point
편포(대추편포, 칠보편포)
수업시간 tip&point
소고기 부위별 알고 먹으면 더 맛 있어요~~
자연의 색을 찾아서.
닭폐백
수업시간 tip&point
대추고임
수업시간 tip&point
마른안주 구절판
수업시간 tip&point
겨자채
수업시간 tip&point
겨자채와 구절판
연저육찜
수업시간 tip&point
안동파산적
수업시간 tip&point
두릅적
수삼산적
화양적
수업시간 tip&point
김장아찌
수업시간 tip&point
호두장과
수업시간 tip&point
떡갈비
수업시간 tip&point
해물꽂이
수업시간 tip&point
대합구이
수업시간 tip&point
대하찜
수업시간 tip&point
본문내용
오래 치대어 주면 빨리 안 굳고 더 쫀득하다.
깨소를 만들어 약간의 물을 넣어 만들어주면 반죽에 소를 담을 때 쉽다.
꽃 송편 장식할 때 이쑤시게로 눌러주면서 장식하면 떨어지지 않는다.
남은 반죽은 냉동보관 하고 다시 사용 할 수 있다.
닭 북어찜
재료
닭500g, 북어포1마리, 다시마1장
양념장: 간장3t반, 조청3t, 다진파1t, 다진마늘1/2t, 참기름1t, 깨소금1t
만들기
닭은 물에서 핏물을 빼고 물기 제거해 소금, 후추약간, 술, 생강즙으로
재워둔다.
후라이팬에 기름 두르고 마른고추, 생강 먼처 향을 내고 닭 익혀낸다.
북어는 물에 불려 먹기 좋은 크기로 자른다.
다시마는 찬물에 불려 다시마와 물을 사용한다.
양념장을 약간 남겨두고 다시마 지져낸 닭과 양념장 냄비에 담는다
다싯물 2컵을 넣고 쎈불에 놓고 끓으면 뚜껑을 덮고 불을 줄인다.
어느정도 익으면 북어 넣고 남은양념과 함께 뒤적거려 윤기를 낸다.
수업시간 tip&point
닭은 먹기좋은 크기로 잘라 핏물을 뺀다.
닭을 지질때 한쪽면이 노릇해지면 뒤집는다.
북어는 닭이 어느정도 익으면 넣는다.
고명으로 사용하는 붉은 고추는 마지막에 넣고 뒤적거려준다.
닭고기 부위별 알고 더 맛있게 먹자
가슴살
(튀김,구이,
볶음,조림)
날개 살
(튀김,볶음,조림)
안심
(육회, 육개장)
다리 살
(튀김, 볶음, 조림)
2008.03.27
재료
찹쌀3컵, 밤7개, 대추10개, 황설탕1/2ts, 참기름3ts, 진간장2ts, 흑설탕2ts, 대추퓨레2ts, 캬라멜2ts
만들기
찹쌀을 깨끗이 씻어 하룻밤 담가둔다.
불린쌀을 건져서 시루에 베보자기를 깔고 찌다가 거의 익을 무렵 주걱으로 한 번 저어 섞어서 다시 찐다.
김이 오른 후에 큰 양푼에 쏟아 참기름, 꿀, 대추퓨레, 황설탕, 흰설탕,
진간장등을 넣고 버무린다. 밤, 잣을 넣고 다시 버무린다.
이것을 다시 찐다. 밤이 익을 쯤 대추를 중간에 넣어준다.
다 익으면 큰 양푼에 쏟아 꿀과 참기름으로 다시 한 번 고루 버무려
서너 시간 정도 더 쪄야 좋은 약식이 된다.
특징
약밥, 약반 이라고도 한다. 찹쌀에 대추, 밤, 잣 등의 재료를 기름, 꿀,
간장 등으로 버무려 만든다.
대보름 또는 회갑, 혼례, 생일 때 많이 만들어 먹는다.
약식
수업시간 tip&point
캬라멜은 설탕6ts, 물3ts을 넣고 태우듯이 끓이다가 따뜻한 물을 부어준다,
대추는 밤이 익을 쯤 넣어 준다,
양념을 한 밥을 1~2시간 후 찌면 밥알에 간이 잘 베인다.
계피가루를 약간 섞어준다.
꿀은 약밥이 다 쪄진 후 섞어준다.
재료
쇠고기(우둔)300g, 3ts, 꿀1ts, 후춧가루 약간, 소주, 생강1쪽, 붉은 마른고추1개
만들기
쇠고기 우둔살을 결의 방향대로 얇고 넓게 포감으로 떠서 기름과 힘줄을 말끔히 발라낸다. 소주에 핏물을 빼준다.
간장3ts, 설탕1ts, 물3ts, 생강, 마른고추, 통후추 으깨서 냄비에 끓인다.
양념이 끓으면 체에 내려준다. 이때 꿀을 섞어 준다.
한 장씩 양념 뭍혀준다.
양념잉 다 베이면 통풍이 잘되는 곳에 두고 말린다.
특징
혼례 음식은 각 의식에 따라 상차림이 다르다.
봉치떡의 2켜는 부부의 화합을 의미한다.
봉채떡을 찹쌀로 하는것은 부부의 금실이 찰떡처럼 잘 화합의기원이다.
육포
수업시간 tip&point
우둔 보다는 홍두께가 더 좋다.
포를 뜰때는 0.4cm가 적당하다.
술은 방부 효과가 있을뿐더러 고기의 핏을을 깨끗이 빼준다.
고기의 기름과 힘줄을 깨끗이 발라낸 후 소주로 핏물을 뺀다.
양념을 뭍일때는 조물조물 손으로 만져준다.
완전히 말린다음 무거운걸 눌러주고 말릴때는 겹치지 않는다.
편포(대추편포, 칠보편포)
재료
쇠고기 갈은거300g, 두부100g, 다진 파2ts 다진 마늘2ts 진간장3ts 깨소금1ts 설탕1/2ts, 참기름1ts, 후추약간
만들기
쇠고기는 말끔하게 기름과 힘줄을 제거해준다
두부는 체에 내려 곱게 만든다.
고기와 두부를 먼처 섞어주고, 양념을 고루 섞어준다.
양념한 고기를 둥글넓적하게 빚어서 중심에 잣 한알을 박고 가장자리에 여섯 알씩 깊게 박아서 채반에 널어 말리면 칠보편포다.
양념한 고기를 큰 대추알만큼 빚어서 끝에 잣 한 알을 깊게 박아서 말리면 대추편포다.
특징
다홍색 종이에 근본 이라 써서 띠를 만든 다음, 준비된 편포 가운데를
눌러 목판에 담아주고 실백을 고명으로 뿌린다.
신부 쪽에서 준비하영 시부모님과 시조부모님께 드리는 음식을
폐백이라 한다.
서울의 경우 시부모님께는 편포, 육포, 밤, 대추, 엿, 술로 하며
시조부모님께는 닭, 대추와 밤으로 한다.
수업시간 tip&point
통풍이 잘되고 햇볕이 드는 곳에 말린다.
먹을때는 참기름을 고루 발라 석쇠에 살짝 구워 먹는다.
냉동실에 보관하고 먹을 양만큼 꺼내 먹는다.
두부를 체에 내려 섞어주면 고기가 익으면서 딱딱 해지는 것을 막는다.
소고기 부위별 알고 먹으면 더 맛 있어요~~
등심(Loin) 등심구이, 스테이크 전골
목심(Neck) : 불고기, 스테이크
앞다리(Blade/Cold) 육회, 스튜, 탕, 장조림, 불고기
갈비(Rib) 용도 : 불갈비, 찜, 탕, 구이
양지(Basket&Flank) 용도 : 국거리, 스튜, 분쇄육
사태(Shin/Shank) 용도 : 육회, 탕, 스튜, 찜
우둔(Topside/Inside) 용도 : 산적, 장조림, 육포, 불고기
설도(But&Rump) 용도 : 산적, 장조림, 육포
채끝(Striploin) 용도 : 스테이크, 로스구이
자연의 색을 찾아서.
황색
송화, 치자, 율금, 단호박, 노란콩, 황매, 샤프란, 홍화, 옥수수가루, 치즈가루
홍색
오미자, 연지, 맨드라미, 백년초, 차조기, 머루, 비트, 석류
자색
흑미, 적두, 대추, 송기, 보라색고구마
녹색
쑥, 신검초, 청태, 뽕잎가루, 신선초, 솔잎, 수리취, 모시잎
갈색
계피, 간장, 감가루, 코코아, 커피
흑색
석이버섯, 흑미, 흑임자, 검정콩
2009.04.03
닭폐백
재료
닭 (머리달린 닭1.2kg), 계란, 홍고추, 풋고추, 석이버섯
만들기
1. 닭은 깨끗하게 씻어 내장을 제거하고 기름에 소금을 녹여 닭에 발라준다.
2. 닭다리는 교차시켜주고 날개는 옆에 붙여
깨소를 만들어 약간의 물을 넣어 만들어주면 반죽에 소를 담을 때 쉽다.
꽃 송편 장식할 때 이쑤시게로 눌러주면서 장식하면 떨어지지 않는다.
남은 반죽은 냉동보관 하고 다시 사용 할 수 있다.
닭 북어찜
재료
닭500g, 북어포1마리, 다시마1장
양념장: 간장3t반, 조청3t, 다진파1t, 다진마늘1/2t, 참기름1t, 깨소금1t
만들기
닭은 물에서 핏물을 빼고 물기 제거해 소금, 후추약간, 술, 생강즙으로
재워둔다.
후라이팬에 기름 두르고 마른고추, 생강 먼처 향을 내고 닭 익혀낸다.
북어는 물에 불려 먹기 좋은 크기로 자른다.
다시마는 찬물에 불려 다시마와 물을 사용한다.
양념장을 약간 남겨두고 다시마 지져낸 닭과 양념장 냄비에 담는다
다싯물 2컵을 넣고 쎈불에 놓고 끓으면 뚜껑을 덮고 불을 줄인다.
어느정도 익으면 북어 넣고 남은양념과 함께 뒤적거려 윤기를 낸다.
수업시간 tip&point
닭은 먹기좋은 크기로 잘라 핏물을 뺀다.
닭을 지질때 한쪽면이 노릇해지면 뒤집는다.
북어는 닭이 어느정도 익으면 넣는다.
고명으로 사용하는 붉은 고추는 마지막에 넣고 뒤적거려준다.
닭고기 부위별 알고 더 맛있게 먹자
가슴살
(튀김,구이,
볶음,조림)
날개 살
(튀김,볶음,조림)
안심
(육회, 육개장)
다리 살
(튀김, 볶음, 조림)
2008.03.27
재료
찹쌀3컵, 밤7개, 대추10개, 황설탕1/2ts, 참기름3ts, 진간장2ts, 흑설탕2ts, 대추퓨레2ts, 캬라멜2ts
만들기
찹쌀을 깨끗이 씻어 하룻밤 담가둔다.
불린쌀을 건져서 시루에 베보자기를 깔고 찌다가 거의 익을 무렵 주걱으로 한 번 저어 섞어서 다시 찐다.
김이 오른 후에 큰 양푼에 쏟아 참기름, 꿀, 대추퓨레, 황설탕, 흰설탕,
진간장등을 넣고 버무린다. 밤, 잣을 넣고 다시 버무린다.
이것을 다시 찐다. 밤이 익을 쯤 대추를 중간에 넣어준다.
다 익으면 큰 양푼에 쏟아 꿀과 참기름으로 다시 한 번 고루 버무려
서너 시간 정도 더 쪄야 좋은 약식이 된다.
특징
약밥, 약반 이라고도 한다. 찹쌀에 대추, 밤, 잣 등의 재료를 기름, 꿀,
간장 등으로 버무려 만든다.
대보름 또는 회갑, 혼례, 생일 때 많이 만들어 먹는다.
약식
수업시간 tip&point
캬라멜은 설탕6ts, 물3ts을 넣고 태우듯이 끓이다가 따뜻한 물을 부어준다,
대추는 밤이 익을 쯤 넣어 준다,
양념을 한 밥을 1~2시간 후 찌면 밥알에 간이 잘 베인다.
계피가루를 약간 섞어준다.
꿀은 약밥이 다 쪄진 후 섞어준다.
재료
쇠고기(우둔)300g, 3ts, 꿀1ts, 후춧가루 약간, 소주, 생강1쪽, 붉은 마른고추1개
만들기
쇠고기 우둔살을 결의 방향대로 얇고 넓게 포감으로 떠서 기름과 힘줄을 말끔히 발라낸다. 소주에 핏물을 빼준다.
간장3ts, 설탕1ts, 물3ts, 생강, 마른고추, 통후추 으깨서 냄비에 끓인다.
양념이 끓으면 체에 내려준다. 이때 꿀을 섞어 준다.
한 장씩 양념 뭍혀준다.
양념잉 다 베이면 통풍이 잘되는 곳에 두고 말린다.
특징
혼례 음식은 각 의식에 따라 상차림이 다르다.
봉치떡의 2켜는 부부의 화합을 의미한다.
봉채떡을 찹쌀로 하는것은 부부의 금실이 찰떡처럼 잘 화합의기원이다.
육포
수업시간 tip&point
우둔 보다는 홍두께가 더 좋다.
포를 뜰때는 0.4cm가 적당하다.
술은 방부 효과가 있을뿐더러 고기의 핏을을 깨끗이 빼준다.
고기의 기름과 힘줄을 깨끗이 발라낸 후 소주로 핏물을 뺀다.
양념을 뭍일때는 조물조물 손으로 만져준다.
완전히 말린다음 무거운걸 눌러주고 말릴때는 겹치지 않는다.
편포(대추편포, 칠보편포)
재료
쇠고기 갈은거300g, 두부100g, 다진 파2ts 다진 마늘2ts 진간장3ts 깨소금1ts 설탕1/2ts, 참기름1ts, 후추약간
만들기
쇠고기는 말끔하게 기름과 힘줄을 제거해준다
두부는 체에 내려 곱게 만든다.
고기와 두부를 먼처 섞어주고, 양념을 고루 섞어준다.
양념한 고기를 둥글넓적하게 빚어서 중심에 잣 한알을 박고 가장자리에 여섯 알씩 깊게 박아서 채반에 널어 말리면 칠보편포다.
양념한 고기를 큰 대추알만큼 빚어서 끝에 잣 한 알을 깊게 박아서 말리면 대추편포다.
특징
다홍색 종이에 근본 이라 써서 띠를 만든 다음, 준비된 편포 가운데를
눌러 목판에 담아주고 실백을 고명으로 뿌린다.
신부 쪽에서 준비하영 시부모님과 시조부모님께 드리는 음식을
폐백이라 한다.
서울의 경우 시부모님께는 편포, 육포, 밤, 대추, 엿, 술로 하며
시조부모님께는 닭, 대추와 밤으로 한다.
수업시간 tip&point
통풍이 잘되고 햇볕이 드는 곳에 말린다.
먹을때는 참기름을 고루 발라 석쇠에 살짝 구워 먹는다.
냉동실에 보관하고 먹을 양만큼 꺼내 먹는다.
두부를 체에 내려 섞어주면 고기가 익으면서 딱딱 해지는 것을 막는다.
소고기 부위별 알고 먹으면 더 맛 있어요~~
등심(Loin) 등심구이, 스테이크 전골
목심(Neck) : 불고기, 스테이크
앞다리(Blade/Cold) 육회, 스튜, 탕, 장조림, 불고기
갈비(Rib) 용도 : 불갈비, 찜, 탕, 구이
양지(Basket&Flank) 용도 : 국거리, 스튜, 분쇄육
사태(Shin/Shank) 용도 : 육회, 탕, 스튜, 찜
우둔(Topside/Inside) 용도 : 산적, 장조림, 육포, 불고기
설도(But&Rump) 용도 : 산적, 장조림, 육포
채끝(Striploin) 용도 : 스테이크, 로스구이
자연의 색을 찾아서.
황색
송화, 치자, 율금, 단호박, 노란콩, 황매, 샤프란, 홍화, 옥수수가루, 치즈가루
홍색
오미자, 연지, 맨드라미, 백년초, 차조기, 머루, 비트, 석류
자색
흑미, 적두, 대추, 송기, 보라색고구마
녹색
쑥, 신검초, 청태, 뽕잎가루, 신선초, 솔잎, 수리취, 모시잎
갈색
계피, 간장, 감가루, 코코아, 커피
흑색
석이버섯, 흑미, 흑임자, 검정콩
2009.04.03
닭폐백
재료
닭 (머리달린 닭1.2kg), 계란, 홍고추, 풋고추, 석이버섯
만들기
1. 닭은 깨끗하게 씻어 내장을 제거하고 기름에 소금을 녹여 닭에 발라준다.
2. 닭다리는 교차시켜주고 날개는 옆에 붙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