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11 테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서 론
II. 본론
III.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에 대한 경고도 여러차례 있었다. 지난 24일 존 볼튼 미 국무부 차관보는 제네바 군축회의에서 북한의 핵개발에 대한 경고 발언을 했으며, 콜린파월 미 국무장관도 지난해 11월 아프간전쟁 중, 이라크와 북한이 대량살상무기 개발을 중단하지 않으면 군사공격의 목표가 될 수 있다는 발언을 한 바 있다.
더구나 현재 우리나라는 여중생 장갑차 사고로 인해 미국과의 관계악화 속에서 북한과의 전쟁가능성의 불안한 상황에 놓여있다. 그러면서 노 당선자는 미국과의 동맹관계를 악화 시키지 않으려고 국민들의 정서를 진정 시켜려 하고 있다. 테러문제는 미국을 둘러싼 이슬람권의 문제이기도 하면서 미국과 동맹관계를 맺고 있는 우리의 문제이기도 하다.
지난해로 유엔 가입 10주년이 된다. 이는 우리 유엔 외교의 발자취와 앞으로의 과제를 재점검해볼 계기이기도 하다. 우리가 교역 규모 등 경제력 면에서 세계 13위 국가에 걸맞은 책임을 다하고 권리를 찾았는지 반성해야 한다. 정부는 그 동안 우리 외교가 양적 팽창에 비해 질적 성숙이 따라가지 못했다는 일각의 비판에 귀 기울여야 한다.
국제평화, 환경, 인권, 군축, 대량살상무기 억제 등 범세계적인 문제를 다루는 유엔외교의 경우 국익을 바탕으로 한 전략적 접근이 전제돼야 한다. 세계 중위권 국가로서 우리가 모든 문제에 관여하기는 어려운 만큼 우리와 이해관계가 있거나 기여할 수 있는 분야에 선택적으로 외교력을 집중한다는 자세가 필요하다.
대(對) 유엔외교의 성패는 앞으로 한반도에 평화를 구축하고 통일을 이루는 데에도 관건이 된다. 한반도 문제는 더 이상 남북간의 문제만이 아니라 국제 문제화된 지 오래다. 그런 점에서 김대중(金大中) 정부의 햇볕정책이 그 동안 남북관계 진전에 매달리느라 주변 이해 당사국과의 입장 조율에 부족한 점은 없었는지 반성해볼 때다.
복잡한 외교관계 속에서도 객관적 시각을 잃지 않으려는 비판적 시각과 끊임없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이런 Censoring을 하는 주체가 바로 젊은이인 우리가 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김종변 - 테러리즘의 사례분석과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김호춘 - 테러와의 전쟁에 관한 국제법적 소고(小鼓)
외교협회학술동호회 - 9.11사태와 미국의 새로운 전쟁
제성호 - 9.11테러사건의 법적성격과 국제사회의 대응
최효찬 - 테러리즘과 미디어:정치적 테러리즘 보도의 새로운 시각을 위하여
최진태 - 테러, 테러리스트&테러리즘
한영채 - 소리없는 전쟁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1.08.16
  • 저작시기2011.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950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