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노인의 신체적 특성
1) 감각기관
(1) 시각
(2) 청각
(3) 미각, 후각, 촉각, 통각
2) 치아
3) 소화기계
4) 호흡기와 순환기계
5) 근골격계
6) 생식 및 비뇨기계
7) 피부
8) 신경계
2.노인의 사회적 특성
1)사회적 이탈
2)경제적 문제
3)사회적인 책임의 감소
3.노화의 원인
1) 감각기관
(1) 시각
(2) 청각
(3) 미각, 후각, 촉각, 통각
2) 치아
3) 소화기계
4) 호흡기와 순환기계
5) 근골격계
6) 생식 및 비뇨기계
7) 피부
8) 신경계
2.노인의 사회적 특성
1)사회적 이탈
2)경제적 문제
3)사회적인 책임의 감소
3.노화의 원인
본문내용
레스반응계 등 여러 반응 시스템과 더불어 형태를 조율하는 세포골격구조등 여러 분야에서 다양한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반응성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가변적이고 적응성의 생체장치들이므로
시간에 따른 절대변화가 아니라 외적 요인에 따른 반응성 적응현상의 일환이다.
즉 생명체의 생존을 위한 기본현상일 뿐이다.
*새로운가설:노화 대문설(Gate theory of aging)
노화현상이 세포막에 있는 특수기능의 분자들에 의해 주도된다.
이러한 분자들을 문지기 분자(gatekeeper molecule)라고 부른다.
caveolin,amphiphysin 또는 일부 G 단백질 등 일부 문지기 분자들의 역할에 따라
세포내 환경이 가변적으로 그리고 적응적으로 변화되어 노화 현상이 초래된다.
따라서 이러한 변화는 환경요건의 변동에 따라 순응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FDA 인정 항노화 물질
1.멜라토닌:약간의 항 산화 효과
2.성장 호르몬: 다양한 대사개선 효과
*성장호르몬은 20대에 최고 수치를 보인 후, 매년 14.4%의 분비 감소를 보인다.
60대가 되면 50% 이하의 수준을 보여 결국 65세 이상 노인 인구의 1/3에서 성장호르몬의 결핍을 일으킨다.
성장호르몬의 결핍이 일어나는 시기를 신체정지기라하며
뇌하수체의 성장 호르몬이 먼저 노화되어 분비의 결핍이 일어나고
간에서 생성되는 인슐린양 성장인자의 저하가 동반된다.
*성장호르몬 결핍증 환자는 정상인에 비해 여명이 감소하고,심혈관계 질환의 유병율도 2배 이상 증가한다.
뼈의 병리 소견으로는 해면골의 부피가 감소 되어 있고
골 부식의 증가, 뼈에 칼슘 침착 시간의 증가, 그리고 뼈의 칼슘화 지연등이 나타난다
성장호르몬은 인슐린양 성장인자를 통해 세포매개 면역 반응이나 체액 면역 반응 모두에 관여한다.
그러나 성장호르몬 결핍이 심한 면역 저하를 일으키지는 않는다.
성장호르몬 보충으로 삶의 질을 개선할 수 있다.
성장호르몬 결핍증도 여성호르몬 결핍증과도 같은 심각한 질환임에 틀림 없으며 결핍이 생기면 평생 보충요법을 시행하여야한다.
*인슐린,GHRH, L-dopa,아지닌 자극 검사중 한개의 검사를 시행하고 성장호르몬의 최고값이 3ng/mL이하면 결핍증으로 진단한다.
*노화는 종래의 제한된 계대에 의한 시간 종속적 개념이 아닌 시공간적으로 확대된 개념으로 발전되어야하며,
기능적으로 비가역적 불가피한 변화가 아닌 능동적, 가역적 변화로 이해 되어야한다.
그러나 이러한 반응성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가변적이고 적응성의 생체장치들이므로
시간에 따른 절대변화가 아니라 외적 요인에 따른 반응성 적응현상의 일환이다.
즉 생명체의 생존을 위한 기본현상일 뿐이다.
*새로운가설:노화 대문설(Gate theory of aging)
노화현상이 세포막에 있는 특수기능의 분자들에 의해 주도된다.
이러한 분자들을 문지기 분자(gatekeeper molecule)라고 부른다.
caveolin,amphiphysin 또는 일부 G 단백질 등 일부 문지기 분자들의 역할에 따라
세포내 환경이 가변적으로 그리고 적응적으로 변화되어 노화 현상이 초래된다.
따라서 이러한 변화는 환경요건의 변동에 따라 순응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FDA 인정 항노화 물질
1.멜라토닌:약간의 항 산화 효과
2.성장 호르몬: 다양한 대사개선 효과
*성장호르몬은 20대에 최고 수치를 보인 후, 매년 14.4%의 분비 감소를 보인다.
60대가 되면 50% 이하의 수준을 보여 결국 65세 이상 노인 인구의 1/3에서 성장호르몬의 결핍을 일으킨다.
성장호르몬의 결핍이 일어나는 시기를 신체정지기라하며
뇌하수체의 성장 호르몬이 먼저 노화되어 분비의 결핍이 일어나고
간에서 생성되는 인슐린양 성장인자의 저하가 동반된다.
*성장호르몬 결핍증 환자는 정상인에 비해 여명이 감소하고,심혈관계 질환의 유병율도 2배 이상 증가한다.
뼈의 병리 소견으로는 해면골의 부피가 감소 되어 있고
골 부식의 증가, 뼈에 칼슘 침착 시간의 증가, 그리고 뼈의 칼슘화 지연등이 나타난다
성장호르몬은 인슐린양 성장인자를 통해 세포매개 면역 반응이나 체액 면역 반응 모두에 관여한다.
그러나 성장호르몬 결핍이 심한 면역 저하를 일으키지는 않는다.
성장호르몬 보충으로 삶의 질을 개선할 수 있다.
성장호르몬 결핍증도 여성호르몬 결핍증과도 같은 심각한 질환임에 틀림 없으며 결핍이 생기면 평생 보충요법을 시행하여야한다.
*인슐린,GHRH, L-dopa,아지닌 자극 검사중 한개의 검사를 시행하고 성장호르몬의 최고값이 3ng/mL이하면 결핍증으로 진단한다.
*노화는 종래의 제한된 계대에 의한 시간 종속적 개념이 아닌 시공간적으로 확대된 개념으로 발전되어야하며,
기능적으로 비가역적 불가피한 변화가 아닌 능동적, 가역적 변화로 이해 되어야한다.
추천자료
노인을 위한 교육, 노화와 노인의 정의, 교육의 필요성, 주요국의 노년 교육 프로그램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수급노인과 비수급노인의 성공적노화 비교연구
노화와 노인운동 (노화이론) 최신 자료
노화의 영역별 주요 이론이 노화와 노인을 어떤 관점에서 이해하고 있으며 노인문제에 대한 ...
노화와 노인의 개념 및 이론
[노인과 노화] 노인(노화현상)의 개념정의와 인구의 고령화, 노화와 노년학
노화의 영역별 주요 이론이 노화와 노인을 어떤 관점에서 이해하고 있으며, 노인문제에 대한 ...
[노인 및 노화의 개념] 노인과 노화의 개념과 이론
노인심리학노화이론(생물학적 노화, 심리학적 노화, 사회학적 노화)
[노인간호학] 노인의 노화특성 (노화로 인한 노인의 특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