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1930년대의 시 경향과 인생파
2. 이육사의 『육사시집』
1) 『육사시집』의 서지적 사항
2) 『육사시집』수록 작품 분석
- 황혼, 노정기, 광야, 절정
3. 윤동주의 시
1)『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의 서지적 사항
2)『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수록 작품 분석
- 자화상, 참회록, 별 헤는 밤, 서시
4. 이육사와 윤동주를 중심으로 한 1930년대 말의 시의 문학사적 의의
2. 이육사의 『육사시집』
1) 『육사시집』의 서지적 사항
2) 『육사시집』수록 작품 분석
- 황혼, 노정기, 광야, 절정
3. 윤동주의 시
1)『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의 서지적 사항
2)『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수록 작품 분석
- 자화상, 참회록, 별 헤는 밤, 서시
4. 이육사와 윤동주를 중심으로 한 1930년대 말의 시의 문학사적 의의
본문내용
1930년대 후반기에 들어서 그 당시 한국 시사의 흐름을 주도 했던 순수시파나 모더니즘, 계급주의의 시들은 더 이상 문단의 호응을 얻을 수 없게 된다. 이는 우선적으로 1920년대에서 부터 드러나는 계급주의의 시가 계속적으로 배척되고 있었고, 정지용으로 대표되는 순수시들이 언어, 기교주의 또는 심미에만 몰두하게 되는 것을 배척하였으며 비생명적이고 기계적인 모더니즘의 경향 또한 배척하면서부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