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린 피 스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그린피스
1. 그린피스의 역사
1) 설립배경
2) 연혁
2. 그린피스의 운영
1) 조직과 구조
2) 재정확보
3) 자발적인 운영
4) 활동원칙
3. 그린피스의 활동목표
4. 그린피스의 주요활동 및 사례
1) 주요활동
2) 주요활동 사례
5. 그린피스와 다른 환경단체의 비교
1) 생명의 위협을 무릅쓰는 시위
2) 신속 정확한 대응
6. 그린피스의 한계 및 발전방향
1) 그린피스의 한계 및 제약
2) 그린피스의 향후 발전방향

Ⅲ. 결론

본문내용

Photos, Animation, Screensavers, Audio 등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컴퓨터의 호환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Plug ins, Macromedia Plash, Real Audio, Real Player, Quick Time 등의 다양한 호환 프로그램을 각각에 맞게 구비되어 져야하며, 다운로드를 필요로 한다. 때문에 방문자에게 각각을 보기위해서는 상호 호환이 안 되는 경우 번거로움과 시간의 허비를 감안해야 한다.
2) 그린피스의 향후 발전방향
(1) 지부의 확장이전 범지구적인 공감대 형성
1971년 창립이래. 그린피스는 괄목할만한 성장과 전 세계로부터의 주목을 받아왔다. 그린피스의 영향아래 환경문제가 국제사회에 이슈로 등장했으며, 그 이후로 무수한 환경단체들이 설립되었다는 것이 과언이 아닐 정도로 그린피스의 영향력은 실로 막강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대부분의 선진국에 국한되어 있는 모습으로 비춰진다. 즉 이는 환경에 대한 영향력과 환경의 파괴가 선진국에게 더욱 현저히 나타남은 의심할 여지는 없다. 다만 그린피스 지부가 41개이며, 주된 감시와 환경보호는 지부를 중심으로 이루어 질 수밖에 없다. 때문에 대부분의 개발도상국가와 후진국은 환경의 사각지대로 버려질 수 있는 위험에 처해 있다. 우리나라에도 94년 그린피스가 한 번 방문한 적이 있긴 하나, 크나 큰 활동은 벌이지 못하고 돌아갔다. 때문에 환경보호라는 것이 범지구적인 차원의 문제인 것처럼 전 세계적인 네트워크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 이는 지속적인 홍보와 예산의 확보가 무엇보다도 절실히 요구될 것이다.
(2) 예산의 확보
현 그린피스 회원의 경우 공식적으로 약 280만 명으로 추정하고 있다. 그린피스는 이를 통해 들어온 자금을 공식적인 보고서를 통해 수입과 지출용도를 철저히 기부자와 대중에게 공개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하지만 범지구적 차원의 환경보호문제를 위해서는 보다 체계적인 기부활동이 필요하다. 인적 봉사활동과 자금의 조달 측면에서 이는 가장 절실히 요구된다. 이를 위해서 기부의 방식을 사이버상의 단순한 개개인의 지급방안을 강구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고 본다. 왜냐하면 그린피스의 활동내용을 모르는 사람이 훨씬 더 많을뿐더러 알더라도 막상 개인의 의지에 의한 기부는 쉽지 않기 때문이다. 때문에 국가별, 지역별로 꾸준한 홍보와 이를 통한 기금모금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본다. 이는 사이버상의 것만이 아니라 개개인간의 접촉과 대면을 통한 방식이 어느 정도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3) 홍보활동
앞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그린피스의 홈페이지 내에 다양한 방법들을 통한 사업성과와 업무에 관한 일들을 소개하고 있지만 그린피스 지부가 없는 국가의 경우 자국의 언어로 된 홈페이지가 없다. 때문에 41개 지부에 해당하지 않는 나라의 경우 온라인을 통한 정보획득이 어느 정도의 외국어에 관해 능통한 사람이 아닌 이상 불가능하다. 때문에 전 세계적으로 아직까지 그린피스의 활동영역과 사항을 지구촌화하기에는 많은 홍보와 자구책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4) 그린피스 지부 설립의 문제
그린피스 지부의 설립에 관하여 가장 문제가 되는 사항은 예산과 관련국의 허가, 절차 사항이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아직 그린피스 비가입국에 해당한다. 물론 그린피스 지부를 해당국에 되기 위해서는 그린피스 상임위원회의 허가조치가 필요하다. 하지만 해당국내에서도 그린피스와 환경문제는 경제발전에 심각한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개발화 된 선진국의 경우 경제적으로 성장을 어느 정도 이룩한 단계에 이르고 있다고 하지만 그 이외의 개발도상국, 후진국의 경우 개발과 발전, 그리고 이를 통한 삶의 풍요가 1차적인 목표가 아닐 수 없다. 때문에 범지구적인 국제환경감시망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국가 간,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후진국간 경제적인 성장의 차이를 인정하고, 후진국과 개발도상국에게는 현 환경보호조건 속에 보상금을 지불하거나 선진화된 기술 등을 공존의 관계 속에서 제공하고 공유하는 것이 필요하다.
Ⅳ. 결론
어느 순간부터 우리에게 환경문제는 커다란 사회적 문제로 다가오고 있으며, 종종 우리는 온난화와 이상기후, 생태계의 보호, 핵의 위협, 유독 화학물질, 폐기물 처리 등의 문제에 지대한 관심을 갖기에 이르렀다. 이는 범지구적으로 많은 단체와 국가 그리고 국제기구들의 노력과 관심의 성과이기도 하며, 현 지구가 인간을 포함한 모든 생물에게 위협요소들로부터 존립에 관한 문제를 제기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우리나라에도 현재 많은 환경단체가 활동하고 있으며, 지식인, 교수, 연구원 등을 필두로 환경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감시, 그리고 보호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환경, 그리고 지구의 존립에 관한 관심과 노력은 자명한 진리일 것이며, 그 선두에는 어느 누구보다도 그린피스의 존재와 활동을 빼놓을 수 없을 것이다. 어찌 보면 그린피스는 환경과 지구에 관한 보호에 관심을 가지고 국제적 차원에서 영향력을 행사하고 감시활동을 벌이는 시발점이자, 환경 NGO의 리더라고도 할 수 있을 정도로 그 영향력과 활동사항은 실로 광범위하다. 하지만 환경, 그리고 지구 존립에 관한 문제는 결국 국제적이며, 비배제성이 가장 중요시하다는 점이 환경문제의 난제이자 앞으로의 궁극적인 목적일 것이다. 아직 그린피스의 지부가 41개국에 국한되어 운영되고 있긴 하나, 그렇다고 그린피스만이 환경문제를 다루는 것은 결코 아니다. 그린피스가 없는 국가는 국내의 많은 환경단체들에 의하여 보호와 감시활동을 벌이고 있다. 다만 결국 국제적인 연결망을 통한 체계적인 감시, 보호활동이 필요할 것이다. 이는 실례로 그린피스(Greenpeace), 지구의 벗들(Friends of the Earth), WWF 등 주요 환경단체들은 환경단체들의 연합체인 CAN(Climate Action Network)와 같은 단체들이 또 다른 환경 단체들과 상호 업무를 공유하고 이를 통해 범지구적으로 체계적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환경문제를 처리해 나가야 할 것이다. 다시 말해, 이것이 바로 글로벌거버넌스 차원에서의 NGO가 나아가야 할 방향이 라고 할 수 있겠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1.08.19
  • 저작시기2011.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963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