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검사의 개요 …………………………………… 1
II. 이론적 배경 …………………………………… 1
1. 자아존중감의 정의 ……………………………………… 1
2. 자아존중감에 대한 선행연구 고찰 ……………………… 2
3. 관계 자아존중감의 의미 ………………………………… 3
III. 검사의 구성 및 내용 ……………………… 4
1. 검사의 구성 …………………………………………… 4
2. 검사의 내용 …………………………………………… 4
IV. 검사의 제작 과정 …………………………… 5
1. 검사 문항의 제작과 선정 ……………………………… 5
2. 검사 문항의 선정 과정 ………………………………… 5
3. 검사의 실시 …………………………………………… 7
V. 연구결과 ………………………………………… 11
VI. 검사 결과의 해석 …………………………… 12
II. 이론적 배경 …………………………………… 1
1. 자아존중감의 정의 ……………………………………… 1
2. 자아존중감에 대한 선행연구 고찰 ……………………… 2
3. 관계 자아존중감의 의미 ………………………………… 3
III. 검사의 구성 및 내용 ……………………… 4
1. 검사의 구성 …………………………………………… 4
2. 검사의 내용 …………………………………………… 4
IV. 검사의 제작 과정 …………………………… 5
1. 검사 문항의 제작과 선정 ……………………………… 5
2. 검사 문항의 선정 과정 ………………………………… 5
3. 검사의 실시 …………………………………………… 7
V. 연구결과 ………………………………………… 11
VI. 검사 결과의 해석 …………………………… 12
본문내용
따른 하위 30개 문항의 선택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검사지는 구인 타당도를 통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문항의 신뢰도를 위해 각 척도별 Cronbach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 표-10 > 관계 자아존중감 각 하위영역별 평균과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부모자아존중감
32.02
6.638
친구자아존중감
35.64
6.047
교사자아존중감
36.38
7.432
관계 자아존중감의 하위 영역별 점수 결과는 위의 <표>와 같다. 자아존중감 하위 영역 중에서 교사 관 련 자아존중감이 가장 높은 수준(평균=36.38)으로 나타났으며, 부모 관련 자아존중감이 가장 낮은 수준(평 균=32.02)으로 나타났다. 부모 관련 자아가 교사나 친구 관련 자아보다 낮게 나타난 이유는 연구 대상자 들이 학교라는 환경 속에서 교사와 친구와의 관계나 수용에 영향을 많이 받는 사춘기의 학생들이었기 때 문으로 해석된다.
결론적으로, 검사 대상이었던 중학생들의 자아존중감과 교사, 친구, 부모와의 사회적 관계를 분석한 결 과,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관계 간에는 정적 상관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즉, 이는 높은 자아존중감이 긍 정적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VI. 검사 결과의 해석
본 검사의 결과는 단순히 중학교 학생들을 진단하는 데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로 다양하 게 활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검사결과를 올바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먼저 올바른 해석이 필 요하다.
1. 검사의 규준
일반적으로 검사에서 얻은 원점수는 절대영점이 없거나 있더라도 실제상의 영점과 다르며, 또한 측정 단위가 다르기 때문에 가감승제를 할 수 없고 서로 비교할 수도 없다. 따라서 이와 같은 원점수는 분포 상에서 상대적 위치로 표시하여 의미 있는 비교를 가능하게 할 필요가 있다(송인섭, 1992). 따라서 본 중학생용 관계자아존중감 검사는 표준화 검사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백분위 점수(percentile score)와 T점수를 규준점수로 사용하였다.
■ 백분위 점수
백분위 점수란 한 개인이 표준화 집단에서 차지하는 상대적 위치를 가리킨다. 즉, 아동의 점수가 전국 의 같은 연령 집단의 아동들 중에서 서열로 따져 몇 %에 위치하고 있는가를 나타내 준다. 예를 들면, 한 아동의 백분위 점수가 85라면 전국의 같은 연령 집단의 아동들 중에 85%가 이 아동보다 낮은 점수를 얻 었고, 15%가 이 아동보다 높은 점수를 얻은 것이다. 결국 한 사람의 백분위란 전체를 100으로 볼 때 아 래에서부터 몇 번째에 해당되느냐 하는 서열을 나타낸다.
■ 표준점수 : T점수
검사에서 얻은 원점수로는 의미 있는 비교를 할 수 없기 때문에 표준점수인 T점수를 사용하였다. T점수 는 Z점수가 음수와 소수로 표현되는 불편함을 없애기 위해 원점수를 평균 50, 표준편차 10으로 하는 점 수이다.
본 검사의 하위척도별 평균과 표준편차는 다음 <표 >과 같다.
< 표-11 > 관계 자아존중감 각 하위영역별 평균과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부모자아존중감
32.02
6.638
친구자아존중감
35.64
6.047
교사자아존중감
36.38
7.432
이상과 같은 집단별 백분위 점수와 표준점수의 규준별 통계치로 규준이 작성되며 한 인의 원점수를 소 속 집단의 백분위 점수와 표준점수로 환산한다. 규준집단별 규준표는 아래와 같다.
< 표-12 > 규준집단별 규준표
부모자아존중감
친구자아존중감
교사자아존중감
원점수
표준점수
백분위
표준점수
백분위
표준점수
백분위
5
9
0.01
-1
0.01
8
0.01
6
11
0.01
1
0.01
9
0.01
7
12
0.01
3
0.01
10
0.01
8
14
0.02
4
0.01
12
0.01
9
15
0.02
6
0.01
13
0.01
10
17
0.05
8
0.01
15
0.02
11
18
0.07
9
0.01
16
0.03
12
20
0.13
11
0.01
17
0.05
13
21
0.19
13
0.01
19
0.1
14
23
0.35
14
0.02
20
0.13
15
24
0.47
16
0.03
21
0.19
16
26
0.82
18
0.07
23
0.35
17
27
1.07
19
0.1
24
0.47
18
29
1.79
21
0.19
25
0.62
19
30
2.28
22
0.26
27
1.07
20
32
3.59
24
0.47
28
1.39
21
33
4.46
26
0.82
29
1.79
22
35
6.68
27
1.07
31
2.87
23
36
8.08
29
1.79
32
3.59
24
38
11.51
31
2.87
33
4.46
25
39
13.57
32
3.59
35
6.68
26
41
18.41
34
5.48
36
8.08
27
42
21.19
36
8.08
37
9.68
28
44
27.43
37
9.68
39
13.57
29
45
30.85
39
13.57
40
15.87
30
47
38.21
41
18.41
41
18.41
31
48
42.07
42
21.19
43
24.2
32
50
50
44
27.43
44
27.43
33
51
53.98
46
34.46
45
30.85
34
53
61.79
47
38.21
47
38.21
35
54
65.54
49
46.02
48
42.07
36
56
72.57
51
53.98
49
46.02
37
58
78.81
52
57.93
51
53.98
38
59
81.59
54
65.54
52
57.93
39
61
86.43
56
72.57
54
65.54
40
62
88.49
57
75.8
55
69.15
41
64
91.92
59
81.59
56
72.57
42
65
93.32
61
86.43
58
78.81
43
67
95.54
62
88.49
59
81.59
44
68
96.41
64
91.92
60
84.13
45
70
97.72
65
93.32
62
88.49
46
71
98.21
67
95.54
63
90.32
47
73
98.93
69
97.13
64
91.92
48
74
99.18
70
97.72
66
94.52
49
76
99.53
72
98.61
67
95.54
50
77
99.65
74
99.18
68
96.41
수집된 검사지는 구인 타당도를 통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문항의 신뢰도를 위해 각 척도별 Cronbach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 표-10 > 관계 자아존중감 각 하위영역별 평균과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부모자아존중감
32.02
6.638
친구자아존중감
35.64
6.047
교사자아존중감
36.38
7.432
관계 자아존중감의 하위 영역별 점수 결과는 위의 <표>와 같다. 자아존중감 하위 영역 중에서 교사 관 련 자아존중감이 가장 높은 수준(평균=36.38)으로 나타났으며, 부모 관련 자아존중감이 가장 낮은 수준(평 균=32.02)으로 나타났다. 부모 관련 자아가 교사나 친구 관련 자아보다 낮게 나타난 이유는 연구 대상자 들이 학교라는 환경 속에서 교사와 친구와의 관계나 수용에 영향을 많이 받는 사춘기의 학생들이었기 때 문으로 해석된다.
결론적으로, 검사 대상이었던 중학생들의 자아존중감과 교사, 친구, 부모와의 사회적 관계를 분석한 결 과,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관계 간에는 정적 상관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즉, 이는 높은 자아존중감이 긍 정적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VI. 검사 결과의 해석
본 검사의 결과는 단순히 중학교 학생들을 진단하는 데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로 다양하 게 활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검사결과를 올바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먼저 올바른 해석이 필 요하다.
1. 검사의 규준
일반적으로 검사에서 얻은 원점수는 절대영점이 없거나 있더라도 실제상의 영점과 다르며, 또한 측정 단위가 다르기 때문에 가감승제를 할 수 없고 서로 비교할 수도 없다. 따라서 이와 같은 원점수는 분포 상에서 상대적 위치로 표시하여 의미 있는 비교를 가능하게 할 필요가 있다(송인섭, 1992). 따라서 본 중학생용 관계자아존중감 검사는 표준화 검사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백분위 점수(percentile score)와 T점수를 규준점수로 사용하였다.
■ 백분위 점수
백분위 점수란 한 개인이 표준화 집단에서 차지하는 상대적 위치를 가리킨다. 즉, 아동의 점수가 전국 의 같은 연령 집단의 아동들 중에서 서열로 따져 몇 %에 위치하고 있는가를 나타내 준다. 예를 들면, 한 아동의 백분위 점수가 85라면 전국의 같은 연령 집단의 아동들 중에 85%가 이 아동보다 낮은 점수를 얻 었고, 15%가 이 아동보다 높은 점수를 얻은 것이다. 결국 한 사람의 백분위란 전체를 100으로 볼 때 아 래에서부터 몇 번째에 해당되느냐 하는 서열을 나타낸다.
■ 표준점수 : T점수
검사에서 얻은 원점수로는 의미 있는 비교를 할 수 없기 때문에 표준점수인 T점수를 사용하였다. T점수 는 Z점수가 음수와 소수로 표현되는 불편함을 없애기 위해 원점수를 평균 50, 표준편차 10으로 하는 점 수이다.
본 검사의 하위척도별 평균과 표준편차는 다음 <표 >과 같다.
< 표-11 > 관계 자아존중감 각 하위영역별 평균과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부모자아존중감
32.02
6.638
친구자아존중감
35.64
6.047
교사자아존중감
36.38
7.432
이상과 같은 집단별 백분위 점수와 표준점수의 규준별 통계치로 규준이 작성되며 한 인의 원점수를 소 속 집단의 백분위 점수와 표준점수로 환산한다. 규준집단별 규준표는 아래와 같다.
< 표-12 > 규준집단별 규준표
부모자아존중감
친구자아존중감
교사자아존중감
원점수
표준점수
백분위
표준점수
백분위
표준점수
백분위
5
9
0.01
-1
0.01
8
0.01
6
11
0.01
1
0.01
9
0.01
7
12
0.01
3
0.01
10
0.01
8
14
0.02
4
0.01
12
0.01
9
15
0.02
6
0.01
13
0.01
10
17
0.05
8
0.01
15
0.02
11
18
0.07
9
0.01
16
0.03
12
20
0.13
11
0.01
17
0.05
13
21
0.19
13
0.01
19
0.1
14
23
0.35
14
0.02
20
0.13
15
24
0.47
16
0.03
21
0.19
16
26
0.82
18
0.07
23
0.35
17
27
1.07
19
0.1
24
0.47
18
29
1.79
21
0.19
25
0.62
19
30
2.28
22
0.26
27
1.07
20
32
3.59
24
0.47
28
1.39
21
33
4.46
26
0.82
29
1.79
22
35
6.68
27
1.07
31
2.87
23
36
8.08
29
1.79
32
3.59
24
38
11.51
31
2.87
33
4.46
25
39
13.57
32
3.59
35
6.68
26
41
18.41
34
5.48
36
8.08
27
42
21.19
36
8.08
37
9.68
28
44
27.43
37
9.68
39
13.57
29
45
30.85
39
13.57
40
15.87
30
47
38.21
41
18.41
41
18.41
31
48
42.07
42
21.19
43
24.2
32
50
50
44
27.43
44
27.43
33
51
53.98
46
34.46
45
30.85
34
53
61.79
47
38.21
47
38.21
35
54
65.54
49
46.02
48
42.07
36
56
72.57
51
53.98
49
46.02
37
58
78.81
52
57.93
51
53.98
38
59
81.59
54
65.54
52
57.93
39
61
86.43
56
72.57
54
65.54
40
62
88.49
57
75.8
55
69.15
41
64
91.92
59
81.59
56
72.57
42
65
93.32
61
86.43
58
78.81
43
67
95.54
62
88.49
59
81.59
44
68
96.41
64
91.92
60
84.13
45
70
97.72
65
93.32
62
88.49
46
71
98.21
67
95.54
63
90.32
47
73
98.93
69
97.13
64
91.92
48
74
99.18
70
97.72
66
94.52
49
76
99.53
72
98.61
67
95.54
50
77
99.65
74
99.18
68
96.41
키워드
추천자료
노인의 우울이 자살충동에 미치는 영향 - 대전시 노인복지관 노인 중심
[또래집단][사회기술][의복][또래집단과 사회극놀이]또래집단의 의미, 또래집단의 지위, 또래...
[부모와 자녀][부모와 자녀의 관계][부모와 자녀의 대화][부모와 자녀의 갈등][부모와 자녀의...
부부관계 향상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검증
[시설보호아동] 시설보호아동의 개념, 장단점 및 과제
인터넷 중독 정의, 배경, 특징, 현황, 소셜미디어 중독, 게임 중독, 인터넷 쇼핑 중독, 문제...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사회복지사 자신의 이해 - 사회복지사의 자세, 사회복지사의 자세 구성...
[보육과정] 보육과정 중 사회관계 영역의 내용체계를 살펴보고 사회관계 능력을 돕기 위한 교...
유아발달 A형) 유아기의 인지 발달의 특성을 설명하고 적절한 사례를 들어 설명하시오, 또한 ...
오늘날 청소년 비행이 날로 격증하고 있는데 청소년 비행의 원인과 지도 방안에 대해 논해보...
[사회복지조사론 단일체계설계] 사회복귀시설의 직업재활 서비스가 정신장애인의 삶의 질 만...
보건교육 게임중독에 관한 PRECEDE-PROCEDE 모형을 적용
유아기 사회성 발달(자아발달 성역할발달 도덕성 발달 친사회적 행동 발달 공격성 발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