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이드리시란 누구일까?
2. 중세 아랍인들이 본 신라 지리관
가. 이슬람제국 전기(7~10세기)
나. 이슬람제국 후기(11~13세기)
3. 아랍인의 관점에서의 신라의 특징
4. 신라 역사의 아랍인의 모습
가. 처용설화
나. 괘릉무인석
5. 서역문물의 한반도 전래
가. 서역의 개념
나. 서역문물의 한반도 전래
2. 중세 아랍인들이 본 신라 지리관
가. 이슬람제국 전기(7~10세기)
나. 이슬람제국 후기(11~13세기)
3. 아랍인의 관점에서의 신라의 특징
4. 신라 역사의 아랍인의 모습
가. 처용설화
나. 괘릉무인석
5. 서역문물의 한반도 전래
가. 서역의 개념
나. 서역문물의 한반도 전래
본문내용
1. 이드리시(1099~1166)란 누구일까?
〈세계의 여러 지역들을 횡단하려는 사람의 즐거운 여행 Kitāb nuzhat al-mushtāq fῑ ikhtirāq al-āfāq〉저술
3개의 중요한 지리학적 작품들을 완성시켰다.
1. 은제평면천구도
2. 세계지도
3. 천구도 해설서
2. 중세 아랍인들이 본 신라의 지리관
가. 이슬람 제국 전기 (7~10세기)
“중국의 동쪽 바닷가”,“지구의 동쪽 끝”
술라이만
- 신라의 위치와 관련해 신빙성 있는 첫 기록
- 견문기《 중국과 인도소식 》(851)
마스오디
- 중세 아랍 역사학의 태두이며 지리학자
- 《 황금초원과 보석광 》
나. 이슬람 제국 후기 (11~13세기)
신라에 관한 지식은 보다 정밀화
이드리시
-《천애횡단 갈망자의 산책》(1154) 이란 유명한 지
중국의 동남 해안에 있는 여러 개의섬나라로 명기
아블피다
- 신라를 중국의 동편, 동경 170도 북위5도 상에
위치한 섬의 나라로 묘사
〈세계의 여러 지역들을 횡단하려는 사람의 즐거운 여행 Kitāb nuzhat al-mushtāq fῑ ikhtirāq al-āfāq〉저술
3개의 중요한 지리학적 작품들을 완성시켰다.
1. 은제평면천구도
2. 세계지도
3. 천구도 해설서
2. 중세 아랍인들이 본 신라의 지리관
가. 이슬람 제국 전기 (7~10세기)
“중국의 동쪽 바닷가”,“지구의 동쪽 끝”
술라이만
- 신라의 위치와 관련해 신빙성 있는 첫 기록
- 견문기《 중국과 인도소식 》(851)
마스오디
- 중세 아랍 역사학의 태두이며 지리학자
- 《 황금초원과 보석광 》
나. 이슬람 제국 후기 (11~13세기)
신라에 관한 지식은 보다 정밀화
이드리시
-《천애횡단 갈망자의 산책》(1154) 이란 유명한 지
중국의 동남 해안에 있는 여러 개의섬나라로 명기
아블피다
- 신라를 중국의 동편, 동경 170도 북위5도 상에
위치한 섬의 나라로 묘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