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에 대한 이해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간에 대한 이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인간에 대한 이해

1. 성격의 정의

2. 성격의 구조

3. 의식의 구조

4. 방어기제

5. 발달 단계론

본문내용

의 아동은 자신의 삶의 방향에 대한 통찰력이 생기며 인생의 궁극적 목표를 향하여 나가게 된다.
전청소년기(preadolescence : 9~12세)
동성의 친구와 친밀한 관계를 갖고자 하는 친교의 욕구(need for intimacy)가 있는 비교적 짧은 시기로, 동성의 친구를 찾아 가장 친한 친구를 만든다. 이 시기에는 의존적 관계에서 벗어나 타인과 순수한 대인관계를 맺기 시작하며, 집단 구성원 간의 불평, 상호관계 및 상호작용이 있는 동료관계를 형성하기 시작한다. 이때의 친구란 믿을 수 있고 인생의 문제를 함께 의논할 수 있는 사람을 의미한다. 개인적 우정으로 인해 친밀감, 공유, 자기노출 등 이전에 가정 밖에서 경험할 수 없었던 것들을 접할 기회를 갖는다. 남성보다 여성의 우정이 더 긴밀하고 공유하는 특성이 있으며 남성의 우정은 경쟁적이다. 소속감이나 팀워크, 결속력 있는 조직화된 스카우트 집단, 팀 스포츠 같은 활동은 공격성과 적개심을 수용할 수 있도록 승화시키는 기회를 제공한다.
초기 청소년기(early adolescence : 12~14세)
이 시기에는 정체성 확립과 부모에게서 독립하는 일에 고심하며, 이성과 만족스러운 관계를 형성한다. 사춘기의 생리적 변화로 인해 욕정(feeling of lust)을 경험하게 되며, 이러한 감정경험으로부터 욕망의 역동이 나오고 그것이 성격에 작용하기 시작한다. 특히 활발한 생리적 활동으로 이성 간의 관계발달도 촉진된다. 이 시기의 성은 수용되는 방식으로 다루어지고 표현되어야 한다. 때로 성적 감정에 압도되는데, 적절한 출구가 없는 청소년들에게 문제가 될 수 있다. 하지만 청소년들의 이 같은 감정이 정상적인 것임을 알도록 해야 한다.
후기 청소년기(late adolescence : 14~21세)
이성과 지속적이고 친밀한 관계를 발달시키는 시기이다. 선택적인 성적 활동의 형성에서부터 교육, 문화의 여러 기회를 거쳐 성숙한 개인이 되어 성숙한 대인관계를 확립한다. 즉, 후기 청소년기는 시민의 권리, 의무, 책임을 수행하기 시작하는 시기이며 성숙한 인간으로서 자기(self)가 완성되어 더욱 승화된 양상으로 충동과 불안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5) Mahler의 분리개별화 이론
소아 정신분석 의사 Mahler는 자신의 임상경험과 관찰을 통해 인간이 최초로 사랑했던 어머니라는 대상(object)과 분리되는 심리과정을 3기로 나누어 발표했는데, 이것을 분리개별화 이론(theory of separation individualism) 또는 대상관계 이론(theory of object relations)이라고 한다.
정상 자폐기(phase of normal autism : 출생~1개월)
이때의 인간은 자기와 자기가 아닌 것을 구별하지 못하고 모든 세상을 자신으로 여긴다. 영아는 이 시기 동안 절반은 잠자고, 절반은 깨어 있는 상태로 존재하며 타인이나 주변 환경의 존재를 전혀 인식하지 못한다. 이 시기에 고착되면 자폐장애가 유발될 수 있다.
공생기(symbiotic phase : 1~5개월)
모자가 공생하는 시기로 영아는 어머니를 알아보고 반응하며, 어머니도 자식의 반응이 귀여워 온 마음이 아이를 키우는 데 쏙 빠지는 시기이다. 영아는 자신을 어머니의 연장으로 생각하면서도 어머니를 자신의 욕구를 충족시켜 주는 사람으로 인식하기 시작한다. Mahler는 이 시기에 어머니에 해당하는 존재가 없거나 어머니로부터 거절감을 느끼게 되면 후에 공생정신증(symbiotic psychosis)을 초래할 수 있다고 하였다.
분리개별화기(separation individualization phase : 5~36개월)
Mahler는 이 시기를 영아가 정신적으로 출생하는 시기라고 설명하면서, 어머니로부터 신체적, 정신적으로 분리되어 개별화가 이루어진다고 하였다. 자아가 발달하고 자아영역이 독립되면서 개별화가 이루어진다. 이 시기는 4단계로 나누어진다.
제1분기(5~10개월)
분화분기(differentiation subphase)로서 영아가 모자 공생의 알을 깨고 껍질 밖으로 나오는 부화의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영아는 잠에서 깨어 있는 시간이 많아지고 주위 환경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한다. 이 시기에는 어머니와의 유대에서 벗어나려는 행동을 시작하는데, 어머니 품에서 조금씩 벗어나려고 시도하지만 곧 돌아오게 된다.
제2분기(10~16개월)
실제분기(practicing subphase)로서 뒤뚱거리며 걸을 수 있기 때문에 어머니를 떠나 주위의 장난감, 우유병, 물건 같은 무생물로 관심이 옮겨 간다. 그것들을 눈으로 보고, 냄새를 맡아보고, 입술에 대어보고, 손으로 만져보면서 아동은 어머니 대신 다른 것과 관계를 맺는 데 마음을 쏟는다. 그러다가 가끔 어머니와의 분리를 두려워하는 분리불안을 경험한다. 처음에는 멀리 떨어지지 않고 어머니가 보이는 곳까지 갔다가 돌아오고 점점 횟수와 거리가 늘어나며 만능감이 나타나기도 한다.
제3분기(16~24개월)
화해접근분기(rapprochement subphase)로서 자기 몸이 어머니 몸과 분리되어 있음을 더 확실히 아는 시기이다. 분리불안이 더욱 심해지기도 하며, 자기와 어머니가 한 몸으로 묶여 살 수 없다는 것을 알게 된다. 그리고 자기 의사를 말로 표현해야만 자기를 이해한다는 것도 알게 된다. 이런 가운데 아동은 어머니와 싸우기도 하는데 Mahler는 이것을 화해접근위기(rapprochement crisis)라 하였다. 이 시기에 어떤 어머니는 아동이 보이지 않으면 찾으려고 난리법석을 떨다가 막상 아동을 찾게 되면 냉담한 감정으로 대하기 때문에 아동은 어머니의 양가적인 태도에서 혼란을 느끼게 된다. 이러한 병적인 모자관계가 경계성 인격장애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추론하고 있다.
제4분기(24~36개월)
통합기(consolidation subphase)로서 어머니를 좋은 어머니와 나쁜 어머니 둘로 보지 않고 장단점이 있는 하나의 인간으로 보게 된다. 아동은 어머니를 인내하고 사랑하는 이미지로 내면화시켜서 외부 세계에서도 어머니를 분리된 사람으로 지각하게 된다.
참고문헌
한금선 외(2010). 의사소통과 인간관계론. 고문사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11.08.22
  • 저작시기2011.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967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