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마케팅 믹스 전략
Ⅰ. 마케팅 믹스 전략
1. 제품전략
2. 가격전략
3. 경로전략
4. 촉진전략
Ⅱ. 풀 전략과 푸시 전략
Ⅲ. 마케팅 전략의 목표
1. 표적시장의 설정
2. 신고객의 창조
3. 마케팅 믹스의 창출
4. 매출이익의 증대와 유지
Ⅳ. 브랜드 마케팅 전략
1. 브랜드의 기본전략
2. 상황변화에 대한 브랜드 전략
3. 브랜드 채용전략
Ⅰ. 마케팅 믹스 전략
1. 제품전략
2. 가격전략
3. 경로전략
4. 촉진전략
Ⅱ. 풀 전략과 푸시 전략
Ⅲ. 마케팅 전략의 목표
1. 표적시장의 설정
2. 신고객의 창조
3. 마케팅 믹스의 창출
4. 매출이익의 증대와 유지
Ⅳ. 브랜드 마케팅 전략
1. 브랜드의 기본전략
2. 상황변화에 대한 브랜드 전략
3. 브랜드 채용전략
본문내용
장전략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브랜드의 기본전략
브랜드 관리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우선 최초로 기본방침을 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브랜드의 기본전략은 대상으로 하는 시장이 기존시장인가
신규시장인가, 채용하는 브랜드가 기존 브랜드인가 신규 브랜드인가의 두
가지 차원으로 나눌 수 있다.
브랜드 강화는 대상 시장도 브랜드도 변경하지 않는 전략이다. 브랜드
리포지셔닝은 기존의 브랜드를 토대로 새로운 시장을 겨냥한 전략이다.
브랜드 변경은 동일한 시장을 타겟(target)으로 하여 브랜드를 새로운 것
으로 변경하는 전략이다. 브랜드 개발은 새로운 브랜드로 새로운 시장을
겨냥한 전략으로 고위험 고수익형 전략이다.
2) 상환변화에 대한 브랜드 전략
상황변화에 따른 브랜드 전략은 선행전략, 대항전략, 철수전략, 보완전
략 등으로 구분한다(아래의 표 참조).
브랜드 전략의 상황변화
전략
상황변화
브랜드 선행전략
· 제품차별 포인트가 있을 때(전문화, 개성화, 혁신제품)
· 욕구충족의 제품
· 타사의 시장침입 방어시
브랜드 대항전략
· 타사의 시장침입시
- 자체 브랜드 강화/타사 브랜드 모방
브랜드 철수전략
· 죽은 브랜드에 대한 신속한 철수
- 과잉손실, 기회손실 최소화
브랜드 보완전략
· 장기적 육성의 차원에서 브랜드의 일부 속성을 변화시키고 싶을 때
· 인지는 올라가지만 매출이 안 따르거나, 호감도(선호도)가 높지 않을 때 그 원인을 찾아서 속성별로 보완
3) 브랜드 채용전략
브랜드를 채용하는 방식으로는 다양한 대안들이 있다. 일반적으로 다섯
가지의 브랜드 채용패턴이 있다. 그 중 어느 유형을 채택할 것인가에 관
한 의사결정이 브랜드의 채용전략이다.
취급하고 있는 제품라인의 표적시장이 동질적이며 제품라인간의 이미지
나 경쟁지위도 동질적인 경우 모든 제품라인에 동일한 브랜드를 사용하는
패밀리 브랜드(family brand)전략을 채용하는 것이 좋다.
역으로 표적시장뿐만 아니라 제품이미지나 경쟁지위도 상이한 경우에는
제품라인별로 다른 브랜드를 사용하는 개별브랜드(individual brand) 전략
을 채택하는 것이 좋다.
표적시장은 동질적이나 제품라인간의 경쟁지위나 이미지가 이질적인 경
우에는 동질적인 브랜드와 개별브랜드를 결합시킨 이중브랜드(double
brand) 전략이 좋다.
표적시장은 이질적이지만 제품라인이 동질적인 경우에는 통일적인 브랜
드에 등급(grade)을 추가하는 브랜드 플러스 등급(brand plus grade) 전
략이 좋다.
두 가지 차원 모두 다 중간정도인 경우에는 제품라인군을 얼마 간의 공
통성에 응하여 몇 개로 나누어 각각 상이한 브랜드를 부여하는 분할 패밀
리 브랜드(separate family brand) 전략이 좋다.
4) 브랜드 확장전략
브랜드 확장전략은 기존재품에서 성공한 브랜드를 다른 제품 카테고리
에도 사용하는 것이다. 새로운 브랜드를 사용한 신제품을 시장에 도입하
는 것보다 과거에 쌓아올린 브랜드력을 이용하여 신제품을 시장에 도입하
는 것이 기업에게 더욱 용이하다.
구분할 수 있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브랜드의 기본전략
브랜드 관리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우선 최초로 기본방침을 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브랜드의 기본전략은 대상으로 하는 시장이 기존시장인가
신규시장인가, 채용하는 브랜드가 기존 브랜드인가 신규 브랜드인가의 두
가지 차원으로 나눌 수 있다.
브랜드 강화는 대상 시장도 브랜드도 변경하지 않는 전략이다. 브랜드
리포지셔닝은 기존의 브랜드를 토대로 새로운 시장을 겨냥한 전략이다.
브랜드 변경은 동일한 시장을 타겟(target)으로 하여 브랜드를 새로운 것
으로 변경하는 전략이다. 브랜드 개발은 새로운 브랜드로 새로운 시장을
겨냥한 전략으로 고위험 고수익형 전략이다.
2) 상환변화에 대한 브랜드 전략
상황변화에 따른 브랜드 전략은 선행전략, 대항전략, 철수전략, 보완전
략 등으로 구분한다(아래의 표 참조).
브랜드 전략의 상황변화
전략
상황변화
브랜드 선행전략
· 제품차별 포인트가 있을 때(전문화, 개성화, 혁신제품)
· 욕구충족의 제품
· 타사의 시장침입 방어시
브랜드 대항전략
· 타사의 시장침입시
- 자체 브랜드 강화/타사 브랜드 모방
브랜드 철수전략
· 죽은 브랜드에 대한 신속한 철수
- 과잉손실, 기회손실 최소화
브랜드 보완전략
· 장기적 육성의 차원에서 브랜드의 일부 속성을 변화시키고 싶을 때
· 인지는 올라가지만 매출이 안 따르거나, 호감도(선호도)가 높지 않을 때 그 원인을 찾아서 속성별로 보완
3) 브랜드 채용전략
브랜드를 채용하는 방식으로는 다양한 대안들이 있다. 일반적으로 다섯
가지의 브랜드 채용패턴이 있다. 그 중 어느 유형을 채택할 것인가에 관
한 의사결정이 브랜드의 채용전략이다.
취급하고 있는 제품라인의 표적시장이 동질적이며 제품라인간의 이미지
나 경쟁지위도 동질적인 경우 모든 제품라인에 동일한 브랜드를 사용하는
패밀리 브랜드(family brand)전략을 채용하는 것이 좋다.
역으로 표적시장뿐만 아니라 제품이미지나 경쟁지위도 상이한 경우에는
제품라인별로 다른 브랜드를 사용하는 개별브랜드(individual brand) 전략
을 채택하는 것이 좋다.
표적시장은 동질적이나 제품라인간의 경쟁지위나 이미지가 이질적인 경
우에는 동질적인 브랜드와 개별브랜드를 결합시킨 이중브랜드(double
brand) 전략이 좋다.
표적시장은 이질적이지만 제품라인이 동질적인 경우에는 통일적인 브랜
드에 등급(grade)을 추가하는 브랜드 플러스 등급(brand plus grade) 전
략이 좋다.
두 가지 차원 모두 다 중간정도인 경우에는 제품라인군을 얼마 간의 공
통성에 응하여 몇 개로 나누어 각각 상이한 브랜드를 부여하는 분할 패밀
리 브랜드(separate family brand) 전략이 좋다.
4) 브랜드 확장전략
브랜드 확장전략은 기존재품에서 성공한 브랜드를 다른 제품 카테고리
에도 사용하는 것이다. 새로운 브랜드를 사용한 신제품을 시장에 도입하
는 것보다 과거에 쌓아올린 브랜드력을 이용하여 신제품을 시장에 도입하
는 것이 기업에게 더욱 용이하다.
추천자료
판별분석을 통한 패밀리레스토랑의 고객 분류와 마케팅전략
대형할인점의 상생 전략
샤프 전자사전 마케팅 전략
월마트, 까르푸의 국내진출 실패와 홈플러스의 국내진출 성공사례
GE : 해외 진출 성공 전략 (R&D 신제품개발)
[마케팅 사례] 소녀시대의 마케팅 성공사례 분석 및 문제점과 개선방안
친환경 디자인 & 그린 마케팅 전략의 이해
대구지역 중소기업의 국제마케팅 믹스전략의 수립
[마케팅의 본질] 마케팅의 개념과 마케팅믹스
교보문고 마케팅전략분석 - 온라인, 오프라인 개별분석, SWOT, STP, 4P사례 분석 및 문제점개...
본죽 마케팅전략분석과 성공요인분석,나의의견
[기업분석] 이마트 기업의 마케팅 및 성공요인 분석
진에어 (JINAIR) 마케팅전략분석과 진에어 단점극복위한 마케팅전략 제언 (제주항공과 비교분...
글로벌 제품개발과 마케팅 활동의 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