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조 말하기 듣기 평가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들어가며

Ⅱ. 말하기·듣기 영역의 평가
1. 평가의 특성
2. 평가의 방향
3. 평가 목표
4. 평가 내용
4.1 교육과정에서의 평가 내용
4.2 말하기 평가 내용
4.3 듣기 평가 내용
5. 평가 방법 및 평가지(예시)
5.1 교육과정에서의 평가 방법
5.2 교육평가의 원리
5.3 구체적 평가 방법
5.4 평가 방법의 현장 적용성
6. 교과서 검토

Ⅲ. 나가며

본문내용

대한 학습자의 지식, 기능, 전략, 태도 등에 대해 종합적인 평가를 해야한다. 이 때 주의할 점은 수행 과정에서 보여지는 능력 못지 않게 담화 전반의 목적이라 할 수 있는 과제 수행 정도도 평가에 고려되어야 한다.
열린 자기평가
발표제목 : 개인의 취향을 보고
발표일 : 5월 22일
나는 친구들에게 드라마 줄거리를 이야기해줄 때 친구들이 내 말에 경청하는 모습이 보여 매우 기분이 좋았다. 그런데 말을 할 때 내가 너무 흥분해서인지 말을 자주 버벅거리고 너무 빠르게 얘기한 것 같다. 이제부터 말을 할 때는 친구들이 더 잘 들을 수 있게 적당한 빠르기를 유지하며 자연스럽게 이야기 해야겠다.
6) 토론법(말하기 평가에 주로 사용)
쟁점에 대한 내용을 토론하게 하고 토론을 수행하는 과정을 보고 평가하는 방법이다. 교사는 채점 기준표, 녹음기, 비디오 카메라 등을 준비해 평가시에 활용한다. 토론시에는 토론자의 역할을 정하고, 토론 규칙 등을 설명하고, 토론을 하게 한 후 평가한다. 교사 평가, 참관자 평가가 가능하고 녹화 자료를 보면서 자기 평가, 상호평가도 할 수 있다.
주제를 바르게 파악하고 있는가?
논리적 근거를 들어 설득하는가?
적극적으로 토론에 참여하는가?
상대의 말을 일반화하는가?
토론규칙을 준수하는가?
주어진 시간을 최대한 활용하는가?
총점
이수영
송현아
안지민
5.4 평가 방법의 현장 적용성
평가 방법이 아무리 좋다고 해도 그것을 현장에 적용할 수 없다면 그것은 가치가 없는 것이다. 하지만 현장에서 위의 방법들을 적용하기란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평가 방법이 현장에 적용될 때 필요한 것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다.
1) 평가방법을 형식평가에서만 활용한다는 관념에서 벗어나야 한다.
교사가 현장에서 제한된 시간에 제한된 내용으로 평가하는 형식평가로만 평가를 하려고 한다면 위에 제시한 구체적 평가방법들은 이상으로만 남을 것이다. 하지만 말하기 듣기 평가를 모든 교과 시간을 비롯해 학생들과 함께하는 모든 시간을 대상으로 한다면 위에 제시한 구체적 방법들이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2) 교사는 다양한 평가방법에 대해 인지하고 있어야 한다.
교사가 평가방법에 대한 인지가 있어야 평가를 통한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토론법을 이용해 학생들의 말하기 듣기 평가를 시행했다고 가정해보자. 토론이 끝나고 교사가 한 학생에게 평가를 내릴 때 ‘너 말 참 잘한다.’, ‘너는 말을 그렇게 밖에 못하니?’라고 한다면 이것은 진정한 평가라고 할 수 없다. 그러므로 ‘너는 주제에 맞게 말했지만 증거자료가 부족하구나. 그러니 다음부터는 증거자료를 제시하면서 말해야겠어.’, ‘토론규칙을 지키면서 말해야겠어.’ 등과 같이 토론법에 대한 지식 인지가 확실히 된 후 교사는 평가를 해야한다. 이렇게 평가가 이루어져야 학생들이 교사의 평가에 바탕을 두고 토론활동에 대한 효과적인 학습을 이룰 수 있다.
3) 교사평가와 더불어 자기평가, 상호평가, 학부모 평가 등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한 명의 교사가 한 반의 학생을 모두 평가한다는 것은 시간적으로나 물리적으로나 무리가 있다. 관찰법을 예로 들어보면 교사가 한 명의 학생을 관찰하다보면 나머지 많은 학생들의 담화장면을 놓치게 되어 제대로 된 평가가 이루어지지 못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이러한 한계를 뛰어넘기 위해서는 자신 스스로가 평가할 수 있는 자기평가, 학습자 서로가 평가를 하는 상호평가, 가정에서의 언어활동을 평가할 수 있는 학부모 평가가 교사평가에서 미흡했던 부분을 보완해주어야 한다.
6. 교과서 검토
중학교 3-2 생활국어
‘1. 좋은 화제로 말하기’ 단원과 ‘4. 적극적으로 말하고 듣기’ 단원이 말하기·듣기와 관련이 있는데, 활동 중간 중간에 앞에서 제시한 평가의 방법들이 제시되어 있었다. 이것들은 주로 학생들이 스스로 자신의 말하기나 다른 사람의 대화 장면을 평가하는 형식이었다. 하지만 이는 활동의 한 과정일 뿐이지, 실제적인 말하기·듣기 평가가 아니다. 교사는 학생들이 이러한 활동을 수행하여 말하기·듣기에 대한 지식과 방법을 습득하게 한 뒤, 다양한 평가 방법을 동원하여 피드백하는 과정을 거쳐야 할 것이다.
1. 좋은 화제로 말하기
(1) 좋은 화제의 필요성 <활동 2>
4. 적극적으로 말하고 듣기
(1) 언어, 반언어, 그리고 비언어적 의사 소통 <활동 3>의 ① 中
<활동 3>의 ②
(2) 적극적으로 말하고 듣기 <활동 1>의 ④
고등학교 국어(상)
10학년, 즉 고등학교 1학년 교과서에서도 주로 학습활동을 위한 문제들이 제시되어 있고, 단원 마무리에 있는 점검하기에서 체크리스트 형식으로 표를 실어놓았다. 하지만 이것만으로는 학습목표 성취에 대한 평가가 부족하다. 또, 이러한 말하기·듣기가 실제 의사소통 장면과는 다르기 때문에, 실제 학교 현장에서 학생들의 말하기·듣기 능력 신장을 위한 평가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대부분의 교사들이 수업 도중 따로 시간을 내어 말하기·듣기 평가활동을 하지는 않기 때문이다.
3. 다양한 표현과 이해
(1)봄·봄 111쪽
단원의 마무리 中
Ⅲ. 나가며
이제까지 말하기듣기 영역을 평가하는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사지 선다형 지필검사에서 수행평가위주로 평가 경향이 변하고 있지만, 각 영역을 평가하는 데 명확한 기준이 없어 실제 교육현장에서 교사들은 말하기듣기 평가에 곤란을 겪고 있었다.
말하기듣기는 학교 공부를 위해서 뿐만 아니라, 삶을 풍요롭게 해나가는 데 필요한 것으로 우리 삶 전체를 통해 사용되는 매우 중요한 기능이다. 또한 다른 언어기능(쓰기, 읽기) 을 발달시키는 데에도 기초가 되며, 여러 활동을 통해 사고력을 개발하고 자신과 타인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기 때문에 학교교육에서 더욱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말하기듣기 영역을 평가 할 수 있는 체계적인 교육은 반드시 필요하다.
그런 점에서 말하기듣기를 평가하는 것은 정확히 이뤄져야하고, 학교에서 뿐만 아니라 가정에서도 협력을 취하여, 학습자의 실제적인 말하기듣기 수행능력을 알고 그 평가 수준에 따른 학습 방법을 제시해 줄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하다.
  • 가격4,0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11.08.29
  • 저작시기2011.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983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