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사와 우리 삶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황사와 우리 삶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황사(Asian dust)의 정의
2. 황사현상의 발원지
3. 황사 발생의 에너지
4. 황사의 발생현황
5. 황사의 영향
1). 황사의 부정적 영향
2). 황사의 긍정적 영향
6. 황사의 원인
1) 지구 온난화
2) 말라가는 아시아의 급수 탱크
3) 사막은 움직이고 있다.
7. 황사의 대책
1) 우리나라의 황사 예보와 개인적 노력
2) 녹색 만리 장성 (중국의 대책)
3) 민간 단체와 국제적 노력
4) 공기오염에 대한 협의
Ⅲ. 결론

본문내용

3
2,703
640
546
재원
구 분
연 도
사 업 명
조림면적(ha)
금액(백만원)



총 19건
11,230
10,548
KOICA
산림청
2001~2005
중국 서북부 사막화방지
8,040
5,000
예산(일반)
산림청
2007~2009
몽골 그린벨트 조림(10년간 3천ha)
423
2,703
한중문화청소년협회(한중미래숲)
2007
중국 생태환경복원
280
300
한중문화청소년협회(한중미래숲)
2008
중국 생태환경복원
173
300
(사)미래숲
2009
중국 생태환경 복원
180
500
녹색자금
동북아산림포럼
2001
동북아지역(중국, 몽골) 황폐산림복구1)
2
20
황사방지한중미래숲모임
2002
황사방지 한중미래숲 조성 청년봉사단
2
50
동북아산림포럼
2002
한ㆍ중 수교 10주년 기념 우의림 조성
2
20
동북아산림포럼
2003
황사방지를 위한 중국 내몽골 조림
79
45
환경운동연합
2003
사막화방지를 위한 한중 환경협력
100
80
동북아산림포럼
2003
사막화방지 몽골 조림
23
100
한중문화청소년미래숲센타
2004
황사와 사막화를 위한 한중 우의림 조성
2
50
동북아산림포럼
2004
사막화 방지를 위한 중국과 몽골 조림1)
358
177
환경운동연합
2004
사막화 방지를 위한 한중 환경협력
200
150
동북아산림포럼
2005
사막화 방지를 위한 중국과 몽골 조림1)
363
290
환경운동연합
2005
사막화 방지를 위한 한ㆍ중 환경협력
300
183
동북아산림포럼
2006
중국 및 몽골 사막화방지 조림1)
303
300
환경운동연합
2006
중국 사막화방지 초지조성
200
180
한중문화청소년협회(미래숲)
2006
중국 사막화방지 조림
200
100
<표4.사막화방지 조림사업 현황(2009.9월 기준) (출처 : 동북아 산림 포럼)>
이뿐 아니라 한국녹색문화재단과 한중청소년문화센터[미래숲], 환경운동연합, 임학회등이 지원하여 사막화방지를 위한 동북아 조림사업을 시행하는 국제적 노력이 있다.
4) 공기오염에 대한 협의
지난 2009년 11월에 “제12차 한중일 장거리이동 대기오염물질에 관한 전문가 회의”가 제주도에서 개최되었다. 이 회의에서는 각국에서 수행한 대기오염물질의 측정결과와 질소산화물을 중심으로 한 동북아 지역별 침적량농도의 모델링 결과, 국가별 배출 기여도 등에 대한 연구결과를 논의하였다.
이 회의는 동북아지역 장거리이동 대기오염물질 공동조사사업(LTP Project : Long-Range Transboundary Air Pollutants in Northeast Asia)의 일환으로 매년 개최되고 있다. LTP프로젝트는 국가적으로 장거리이동 대기오염물질의 대비책을 강구하기 위한 프로젝트를 함께 하고 있다.
① 우리나라의 대책
제2차 한중일 환경장관회의에서 사업추진 합의
국제기구를 활용한 공조대책 강화
국제연합환경계획(UNEP), 지구환경금융(GEF), 아시아태평양경제사회위원회 (ESCAP)등 국제기구를 통한 대응책 다각 모색
사막화방지협약에 적극 참여하여 중국몽골 지역의 사막화현상에 대한 국제적 차 원의 협력사업 유도
중장기적으로는 황사 발생 및 이동경로에 대한 연구와 중국 생태 복원사업, 조림사업 참여로 원천적인 황사 저감대책 지원
한중 환경공동위시 채택된 황사관련 한중 공동연구사업 적극 추진
황사 관련자료 교환, 황사 기간 중 집중 측정 및 분석, 연구결과 세미나 개최, 황사 영향 최소화방안 연구 등
한중 정상회담에서 합의한 중국 서부지역 조림 지원사업 추진
중국 서부 “생태환경복원사업” 참여지원
한중 환경장관회담 시 황사 예방을 위한 황사 자료 실시간 교환 합의
Ⅲ. 결론
위에서 다양한 방면으로 황사의 정의에서부터 황사가 발생되는 원인과 대책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위에서 언급한데로 황사는 우리의 삶에 이미 깊숙하게 침투해 있다.위에서 말한 대책들은 이미 실현되고 있고, 더 나은 30년을 위해 가꾸고 있는 실정이다. 보다 더 높은 삶의 질을 위해 황사로 발생한 건강 피해에 대해 과학적 연구가 더 필요한 실정이다. 관련된 건강 지표를 만들어 보급하는 것도 중요할 것이라 생각한다.
현재, 황사 피해 최소화를 위해 황사 강도별 행동 요령을 제시하는 예보제를 실시하고 있다. 하지만, 본인이 살펴본 대로 황사의 원인인 사막화의 원인에 대해 좀 체계적이고 입체적, 정량적 분석, 관측이 필요할 것이라 생각한다. 무엇보다 더 중요한 것은 국민들의 관심이다. 인간의 활동이 자연환경, 우리의 삶에 얼마나 크게 영향을 끼치고 있는지를 방송매체로 홍보하고, 시민들이 사막화 방지사업에 직접 참여할 수 있도록 여론을 환기시키며 한중 환경단체들은 지구환경기금, 기후협약체제에서 규정한 기술지원, 재정지원 등 여러 가지 국제적인 자원을 최대한 동원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무엇보다도, 국가에서 관심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시민들의 환경에 대한 의식 함양이 가장 중요할 것이다.
정치권에서도 지속적인 노력을 위해 관련 기업체의 투자 확대를 위한 정책을 펼쳐야 할 것이다. 위에서 살펴본대로 원천적인 황사저감대책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한국과 중국 간의 협조체제가 정말 중요하다 생각한다. 현재 정부 간 수준에서는 어느 정도 교류가 진행 중에 있다고 하지만, 민간단체 교류는 매우 미약한 실정이다. 따라서 정부에 따라 바뀌는 정책이 아니라, 지속적인 투자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이끌어 주어야 하며, 관련 기업의 활동을 장려하는 정책이 필요할 것이다.
Ⅳ References
- 지구 온난화 부메랑; 황사에 갇힌 중국과 한국 ; 김수종 외2명 도요새
- 국립환경과학원 대기환경자료실
- 중앙일보, YTN, 뉴욕 타임즈 관련 보도
- 소방재청 ; 국민 행동요령
- 동북아 산림 포럼; 사막화방지 조림사업 현황
- 기상청, 2008:2007년도 황사보고서,278p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2007:동북아 황사조기경보체제 구축을 위한 선행연구.
- 환경부,2008:관계부처합동 황사피해방지 종합대책.
- 강광규 (2004),동북아지역의 황사 피해 분석 및 피해저감을 위한 지역협력방안
- 국립환경연구원 대기연구부, 장거리이동 대기오염물질과 황사,
  • 가격무료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1.08.31
  • 저작시기2011.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988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