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험 26 초점거리 측정 - 얇은 렌즈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실험 26 초점거리 측정 - 얇은 렌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실험 결과 Data 및 계산값
질문사항 및 손가락 질문
결과 및 토의

본문내용

이러한 현대의 망원경들을 통해 우리 인류는 지금까지 알고 있었던 우주의 모습을 넘어서, 더욱 더 다양한 천체와 우주의 모습을 바라볼 수 있게 되었다.
망원경은 집광하는 전자기파의 파장에 따라서 광학 망원경, 전파 망원경, 자외선 망원경,적외선 망원경,X선 망원경 등으로 나눌 수 있다.
현미경
현미경 (顯微鏡)은 눈으로는 볼 수 없을 만큼 작은 물체나 물질을 확대하여 관찰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현미경'이라 하면 광학 현미경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대물렌즈, 접안렌즈, 조명 장치 따위로 된 광학 현미경 외에 금속 현미경, 위상차 현미경, 편광 현미경, 적외선 현미경, 자외선 현미경, 전자 현미경 등이 있다. 제1세대 광학 현미경 제2세대 전자 현미경 제3세대 원자 현미경으로 발전했다.
6. 결과 및 토의
이번 실험은 광원을 사용하는 실험이므로 원칙적으로는 암실에서 실험을 해야 명확할 것이다. 하지만 실험실 여건상 그냥 실험을 하게 되었다. 실험 목적은 렌즈의 종류에 따라 초점거리 배율 등을 알아보는 실험이다. 광축과 평행한 광선이 렌즈를 통과하여 광축과 한 점에서 만날 때 이 점을 주초점이라 하고, 렌즈의 중심으로부터 주 초점까지의 거리를 초점거리라고 정의 한다. 이 실험의 목적은 초점거리 라 할 수 있겠다. 볼록렌즈는 렌즈의 중심 부분이 가장 자리보다 두꺼운 특성상 평행 광선을 한 곳에 모으는 성질이 있으며, 오목렌즈는 렌즈의 가장자리가 중심부분보다 두꺼워 평행광선이 초점에서부터 나온 것처럼 발산하는 성질이 있다. 이러한 렌즈의 특성에 유의하여 실험 중 어느 지점에서 실상과 허상이 생기고 그 거리에 대한 수치로 초점거리를 참값과 비교하는 것이다. 렌즈와 상까지의 거리가 음수이면 실상, 양수이면 허상을 갖는다. 실험 1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a가 짧고 b가 길면 확대상 반대로 a가 길고 b가 짧으면 축소상이 나타났으며 이는 a가 짧으면 빛의 굴절이 비스듬하게 나타나 물체가 길어져 크게 볼 수 있는 것이고 a가 길면 빛의 굴절이 급하게 꺾여서 상을 작게 축소 시켜 나타내는 것이다.
이번 실험에서도 비교적 큰 오차가 발생하진 않았지만 측정기구들 간의 간격이 딱딱 맞아떨어지는 것이 아니고 광원이 비춰졌을 때 정확하게 선명하게 상이 나타나는 곳에 스크린을 위치시켜야 하는데 스크린과 상이 작아서 육안으로 정확하게 그 지점을 찾아낸 다는 것과 스크린이 나타난 상의 크기를 측정함에도 오차가 발생하게 되었다.
  • 가격3,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1.09.02
  • 저작시기201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994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