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 3
Ⅱ. 가상현실의 역사 ············································ 3
A. 가상현실의 발생 ······································· 3
B. 가상현실의 발전 ······································· 4
C. 가상현실의 현재 ······································· 4
Ⅲ. 가상현실의 미래 ··········································· 6
A. 과학기술로 본 근래의 가상현실 ···················· 6
B. 공상과학으로 본 미래의 가상현실 ·················· 6
Ⅳ. 가상현실의 문제점 ········································· 7
A. 휴머니즘의 부재 ······································· 7
B. 윤리적 문제의 심화 ··································· 7
Ⅴ. 결론 ·························································· 8
Ⅱ. 가상현실의 역사 ············································ 3
A. 가상현실의 발생 ······································· 3
B. 가상현실의 발전 ······································· 4
C. 가상현실의 현재 ······································· 4
Ⅲ. 가상현실의 미래 ··········································· 6
A. 과학기술로 본 근래의 가상현실 ···················· 6
B. 공상과학으로 본 미래의 가상현실 ·················· 6
Ⅳ. 가상현실의 문제점 ········································· 7
A. 휴머니즘의 부재 ······································· 7
B. 윤리적 문제의 심화 ··································· 7
Ⅴ. 결론 ·························································· 8
본문내용
극하기위한 장치들은 궁극적인 몰입감을 가져다 줄 것인가? 공상과학에서는 그것에 만족하지 않고 사람의 신경에 접속하여 몰입감을 높이는 방법을 생각하고 있다. ‘Matrix’와 ‘공각기동대’ 같은 영화를 보면 몸의 신경과 접속할 수 있는 연결부위가 존재하고, 이를 통해 완벽한 가상현실로의 몰입감을 구현한다. 마치 소설 ‘뇌’에서 리스환자의 뇌에 전극을 심는 장면과 유사한 면이 있다. 하지만 실제 기술로는 아직 어린아이의 걸음마 단계 정도까지 밖에 연구가 이뤄지지 않았다.
Ⅳ. 가상현실의 문제점
지금까지 가상현실의 기술적 측면을 살펴보았다. 기술적 측면은 아주 빠르게 발달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그렇다면 가상현실은 과연 꿈의 세계인가? 가상현실의 문제점을 현대의 가상현실로 생각될 수 있는 인터넷을 통해 알아보자.
A. 휴머니즘의 부재
휴머니즘이란 우리말로 인도주의이며, 인간(人間)의 존엄(尊嚴)을 지상(至上)의 것이라고 하는 입장(立場)에서, 인간애(人間愛)를 바탕으로 인종(人種)ㆍ민족(民族)ㆍ국적(國籍)의 차별(差別) 없이 인류(人類)의 복지(福祉)를 증진(增進)시키자는 주의(主義)를 말한다. 하지만 가상현실에서 이뤄지는 많은 행동들은 남을 존중하지 않는 글들, 소위 악플이 너무나도 많다.
한달이 안되는 간격을 두고 자살한 두 연예인 정다빈과 유니. 이들 두 인기 연예인들은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물론 자살을 했다는 점이 첫번째 공통점이지만 생전에 성형의혹과 그로 인한 악플(악성 댓글)에 시달렸다는 점이다.(후략)
위 사건들은 상습적으로 남을 헐뜯고, 허위사실을 퍼뜨리는 악플이 개인을 자살로까지 몰아간 극단적인 사건이다. 이러한 휴머니즘의 부재는 계속적으로 심각한 사회문제로써 반드시 해결해야 할 숙제이다.
B. 윤리적 문제의 심화
가상현실은 엄연히 가상의 세계로, 현실의 세계와는 다르다. 가상현실은 실제가 아니기에 함부로 하는 행동이나 언행에 대해 처벌받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풍토는 현재 네티즌, 즉 가상현실의 잠정적 이용자들에게 윤리적 문제를 야기시킨다.
평소 일본 야쿠자 등이 등장하는 온라인 폭력게임에 빠져있던 중학생이 친할머니를 때려 숨지게 하고, 시신을 토막 내 버리려 한 혐의로 경찰에 붙잡혔다. (중략) 경찰은 “추군이 올 들어 학교수업에 절반 가량을 결석하고 PC방 등을 전전했으며, 평소 일본 야쿠자들의 격렬한 격투와 살인 장면이 자주 나오는 인터넷 게임과 만화에 심취했던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추군은 인터넷에서 여러 차례 ‘살인 방법’ 등을 검색했으며, 할머니가 숨진 데 당황해 사건을 숨기기 위해 ‘시신을 토막 내 운반하는 방법’을 묻는 글을 인터넷에 올리기도 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위와 같이 가상현실에 깊게 빠지게 되면 현실과 가상현실을 혼동하는 일이 생겼고, 끔찍한 사건들이 벌어졌다. 더욱 안타까운 것은 이런 일을 저지르는 사람들은 대부분 아직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하지 못한 청소년들이라는 점이다. 가상현실이 더 대중화되기 전에 이러한 윤리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Ⅴ. 결론
이 글을 통해 가상현실의 발생부터 발전, 현재, 미래의 모습까지를 예상해 보고, 현재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가상현실은 분명 유토피아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가상현실상에서는 모든 것이 창조가능하다. 제한된 자원이 있던 지구와는 다른 것이다. 하지만 풍요로웠던 지구가 무분별한 개발에 훼손되었듯, 인간들의 도덕성이 갖춰지지 않은 채 무분별하게 사용된다면 그것은 가상현실뿐 아니라 현실세계까지 혼란스럽게 만들 것이다. 즉, 가상현실이 현실을 대체할 유토피아가 되기 위해서는 기술의 개발보다는 인간의 도덕성이 갖춰져야 하는 것이다.
Ⅳ. 가상현실의 문제점
지금까지 가상현실의 기술적 측면을 살펴보았다. 기술적 측면은 아주 빠르게 발달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그렇다면 가상현실은 과연 꿈의 세계인가? 가상현실의 문제점을 현대의 가상현실로 생각될 수 있는 인터넷을 통해 알아보자.
A. 휴머니즘의 부재
휴머니즘이란 우리말로 인도주의이며, 인간(人間)의 존엄(尊嚴)을 지상(至上)의 것이라고 하는 입장(立場)에서, 인간애(人間愛)를 바탕으로 인종(人種)ㆍ민족(民族)ㆍ국적(國籍)의 차별(差別) 없이 인류(人類)의 복지(福祉)를 증진(增進)시키자는 주의(主義)를 말한다. 하지만 가상현실에서 이뤄지는 많은 행동들은 남을 존중하지 않는 글들, 소위 악플이 너무나도 많다.
한달이 안되는 간격을 두고 자살한 두 연예인 정다빈과 유니. 이들 두 인기 연예인들은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물론 자살을 했다는 점이 첫번째 공통점이지만 생전에 성형의혹과 그로 인한 악플(악성 댓글)에 시달렸다는 점이다.(후략)
위 사건들은 상습적으로 남을 헐뜯고, 허위사실을 퍼뜨리는 악플이 개인을 자살로까지 몰아간 극단적인 사건이다. 이러한 휴머니즘의 부재는 계속적으로 심각한 사회문제로써 반드시 해결해야 할 숙제이다.
B. 윤리적 문제의 심화
가상현실은 엄연히 가상의 세계로, 현실의 세계와는 다르다. 가상현실은 실제가 아니기에 함부로 하는 행동이나 언행에 대해 처벌받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풍토는 현재 네티즌, 즉 가상현실의 잠정적 이용자들에게 윤리적 문제를 야기시킨다.
평소 일본 야쿠자 등이 등장하는 온라인 폭력게임에 빠져있던 중학생이 친할머니를 때려 숨지게 하고, 시신을 토막 내 버리려 한 혐의로 경찰에 붙잡혔다. (중략) 경찰은 “추군이 올 들어 학교수업에 절반 가량을 결석하고 PC방 등을 전전했으며, 평소 일본 야쿠자들의 격렬한 격투와 살인 장면이 자주 나오는 인터넷 게임과 만화에 심취했던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추군은 인터넷에서 여러 차례 ‘살인 방법’ 등을 검색했으며, 할머니가 숨진 데 당황해 사건을 숨기기 위해 ‘시신을 토막 내 운반하는 방법’을 묻는 글을 인터넷에 올리기도 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위와 같이 가상현실에 깊게 빠지게 되면 현실과 가상현실을 혼동하는 일이 생겼고, 끔찍한 사건들이 벌어졌다. 더욱 안타까운 것은 이런 일을 저지르는 사람들은 대부분 아직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하지 못한 청소년들이라는 점이다. 가상현실이 더 대중화되기 전에 이러한 윤리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Ⅴ. 결론
이 글을 통해 가상현실의 발생부터 발전, 현재, 미래의 모습까지를 예상해 보고, 현재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가상현실은 분명 유토피아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가상현실상에서는 모든 것이 창조가능하다. 제한된 자원이 있던 지구와는 다른 것이다. 하지만 풍요로웠던 지구가 무분별한 개발에 훼손되었듯, 인간들의 도덕성이 갖춰지지 않은 채 무분별하게 사용된다면 그것은 가상현실뿐 아니라 현실세계까지 혼란스럽게 만들 것이다. 즉, 가상현실이 현실을 대체할 유토피아가 되기 위해서는 기술의 개발보다는 인간의 도덕성이 갖춰져야 하는 것이다.
추천자료
웹에서의 전자정부발전단계모형에 관한 연구(행정서비스 가상현실 거버넌스)
청소년에 대한 이해-가상현실 세계를 중심으로 한 청소년의 문화의 유형과 문제 유형
온라인 게임 이용실태와 중독성에 관한 연구
몇가지 애니메이션 촬영 기법
WOW의 성공비결
정보화 사회와 문학
영화 감상문 매트릭스
인터넷 과다사용
미래의 스포츠
미래사회와 조직 - 미래사회의 과학기술과 영향력
[윤리적 문제][안락사][대리모][인간복제][가상공간 윤리적성찰]현대사회 윤리적 문제, 안락...
[증강현실 분석 레포트] 증강현실의 정의와 증강현실의 기술현황, 증강현실의 전망 - 증강현...
(인터넷 강의) 유비쿼터스와 미래사회 2차과제
인터넷과 온라인게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