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지식 창조 모델
1. 지식 축적
2. 지식 창조
3. 지식 공유
4. 지식 활용
Ⅰ. 암묵지와 형식지의 창조 및 변환 모드
1. 암묵지에서 암묵지로의 전환(TT) -> 사회화
2. 암묵지에서 형식지로의 전환(TE) -> 표출화
3. 형식지에서 형식지로의 전환(EE) -> 종합화
4. 형식지에서 암묵지로의 전환(ET) -> 내면화
Ⅱ. 지식창조의 나선형 발전과정
Ⅲ. 지식창조 과정의 5단계 모델
1. 암묵지의 공유단계
2. 개념창조의 단계
3. 개념의 정당화 단계
4. 원형의 창조 단계
5. 지식의 확산 단계
1. 지식 축적
2. 지식 창조
3. 지식 공유
4. 지식 활용
Ⅰ. 암묵지와 형식지의 창조 및 변환 모드
1. 암묵지에서 암묵지로의 전환(TT) -> 사회화
2. 암묵지에서 형식지로의 전환(TE) -> 표출화
3. 형식지에서 형식지로의 전환(EE) -> 종합화
4. 형식지에서 암묵지로의 전환(ET) -> 내면화
Ⅱ. 지식창조의 나선형 발전과정
Ⅲ. 지식창조 과정의 5단계 모델
1. 암묵지의 공유단계
2. 개념창조의 단계
3. 개념의 정당화 단계
4. 원형의 창조 단계
5. 지식의 확산 단계
본문내용
지는 것이 아니라 복합적으로 상호작용과 상승작용을 통해 나타나는 '나선형 프로세스' 형태로 다이내믹하게 계속된다고 강조했다.
즉, 이들 4가지의 지식변환 프로세스의 패턴은 독립적으로 진행되는 것이
아니라 상호 병렬적으로 작용하여 순환적인 상승작용을 하게 된다는 것이
다. 또한 지식창조에 기여하는 것은 정보의 양과 속도가 아니라 지식의 축적/공유/활용의 효과이며, 이를 위해 기존의 지식기반(existing knowledge
base)을 통해 지식을 공유함으로써 시간의 단축과 동시에 효율성과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이다.
지식창조의 나선형 발전과정
한편, 존재론적 차원에서 보면, 개인으로부터 출발하여 나선형의 활동을
거쳐 상호작용의 영역으로 확산되면서 그룹, 기업과 범기업 수준으로 지식
이 창조되고 확산된다는 것이다. 인식론적인 차원에서는 암묵지와 형식지
간에 사회화, 표출화, 종합화 그리고 내면화를 통해 상호 변환되고 창조된
다는 것이다. 특히, 개인의 내부에 축적되어 있는 지식은 시공간의 제약을
초월하여 집단이나 조직 속에서 활용되어야 진가를 발휘할 수 있다.
III. 지식창조 과정의 5단계 모델
암묵지와 형식지 그리고 SECI 모델을 응용한 Nonaka와 Takeuchi(1995)의 지식창조 5단계 모델, 즉 암묵지 공유, 개념창조, 개념정당화, 원형창조, 지식확산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암묵지의 공유단계
기업 스스로 지식을 창조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개인의 암묵지가 기업 지식 창조의 기반이며, 사회화 과정에서 암묵지의 공유를 유도하여 개인이 가진 풍부하지만 체계화되지 않은 지식을 조직의 내부로 흡수하여 공유함으로써 일차적으로 암묵지를 증폭시키는 단계를 말한다.
(2) 개념창조의 단계
암묵지와 형식지 간의 가장 밀도 있는 상호관계를 형성함으로써 공유된 암묵적 정신모델이 구두로 표현된 후 구체적 개념의 창조(표출화 단계)를 통해 형식지로 창조되는 단계를 말한다. 이 단계에서는 커뮤니케이션이 중요한 역할을 하며, 대화를 통해 개념이 집단적으로 생성되고 암묵지는 형식지로 전환될 수 있다.
(3) 개념의 정당화 단계
2단계에서 창조된 개념이 과연 추구할 만한 가치가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정당화시키는 단계이다. 기업차원에서는 '사회 전체의 요구에 부합하는지'등에 대한 검토를 통해 암묵지에서 변환된 형식지를 정당화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4) 원형의 창조 단계
정당화된 개념이 보다 구체적인 원형의 형태로 전환되는 단계를 말하며, 원형으로 전환된 개념이란 신제품 개발과 같은 구체적인 형태일 수도 있고, 서비스나 기업혁신의 경우 모델 운영 메커니즘이 될 수도 있다. 이 단계에서는 다양한 부서간의 능동적인 협력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이다.
(5) 지식의 확산 단계
창조된 지식을 조직내부의 다른 구성원 또는 다른 부서에 확산시키는 단
계를 말하며, 심지어 새로운 지식을 기업 외부로까지 확산시킬 수 있다.
'지식확산(knowledge diffusion)'은 상호작용적이고 나선적인 과정을 통해 기업내부(intra-firm)와 기업간(between firms)에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이 단계에서는 창조한 지식을 활용하여 다른 영역에 적용시킬 수 있는 자율성과 응용력이 중요하다.
기업의 5단계 지식 창조 과정
다른 한편, 개인이나 기업뿐만 아니라 사회적 그리고 세계적인 면에서 보
면, 컴퓨터 혁명과 정보통신 수단의 발달로 국경이 없어지고 megatrend
(방송과 통신의 융합)를 형성하며 끊임없이 암묵지와 형식지가 상호결합
및 변환되어 새로운 지식이 기하급수적으로 창출되고 있다. 이러한 급속한
환경의 변화속도에 기인하여 엄청난 양의 신기술과 핵심지식이 창출되고
있는 반면, 기존재품 및 기존기술과 기존지식 또한 급속도로 쓸모없어져 사라지고 있는 것이 제5의 물결인 디지털시대와 지식경영시대의 그림자(shadow)라고 할 수 있다. 부연하면, 근시안(myopia)으로 신기술 및 핵심지식 개발 등 지식창조와 경쟁우위 창출 그리고 "4기적인 기업의 성과와 이익에만 집착하여 가속화 되고 있는 진부화의 문제를 간과함으로써 제품/
기술/지식의 진부화 문제에서 파생되는 산업쓰레기, 환경파괴, 부익부빈익빈 현상의 심화, 인간성과 상호신뢰 상실 및 영혼의 황폐화 등의 문제도 중요한 사회적 이슈가 아닐 수 없다. 따라서 장기적인 안목에서 보면 신기술 개발과 경쟁력 향상만이 지속적인 성장과 발전에 결코 만병통치약(Panacea)일 수는 없다는 점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즉, 이들 4가지의 지식변환 프로세스의 패턴은 독립적으로 진행되는 것이
아니라 상호 병렬적으로 작용하여 순환적인 상승작용을 하게 된다는 것이
다. 또한 지식창조에 기여하는 것은 정보의 양과 속도가 아니라 지식의 축적/공유/활용의 효과이며, 이를 위해 기존의 지식기반(existing knowledge
base)을 통해 지식을 공유함으로써 시간의 단축과 동시에 효율성과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이다.
지식창조의 나선형 발전과정
한편, 존재론적 차원에서 보면, 개인으로부터 출발하여 나선형의 활동을
거쳐 상호작용의 영역으로 확산되면서 그룹, 기업과 범기업 수준으로 지식
이 창조되고 확산된다는 것이다. 인식론적인 차원에서는 암묵지와 형식지
간에 사회화, 표출화, 종합화 그리고 내면화를 통해 상호 변환되고 창조된
다는 것이다. 특히, 개인의 내부에 축적되어 있는 지식은 시공간의 제약을
초월하여 집단이나 조직 속에서 활용되어야 진가를 발휘할 수 있다.
III. 지식창조 과정의 5단계 모델
암묵지와 형식지 그리고 SECI 모델을 응용한 Nonaka와 Takeuchi(1995)의 지식창조 5단계 모델, 즉 암묵지 공유, 개념창조, 개념정당화, 원형창조, 지식확산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암묵지의 공유단계
기업 스스로 지식을 창조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개인의 암묵지가 기업 지식 창조의 기반이며, 사회화 과정에서 암묵지의 공유를 유도하여 개인이 가진 풍부하지만 체계화되지 않은 지식을 조직의 내부로 흡수하여 공유함으로써 일차적으로 암묵지를 증폭시키는 단계를 말한다.
(2) 개념창조의 단계
암묵지와 형식지 간의 가장 밀도 있는 상호관계를 형성함으로써 공유된 암묵적 정신모델이 구두로 표현된 후 구체적 개념의 창조(표출화 단계)를 통해 형식지로 창조되는 단계를 말한다. 이 단계에서는 커뮤니케이션이 중요한 역할을 하며, 대화를 통해 개념이 집단적으로 생성되고 암묵지는 형식지로 전환될 수 있다.
(3) 개념의 정당화 단계
2단계에서 창조된 개념이 과연 추구할 만한 가치가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정당화시키는 단계이다. 기업차원에서는 '사회 전체의 요구에 부합하는지'등에 대한 검토를 통해 암묵지에서 변환된 형식지를 정당화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4) 원형의 창조 단계
정당화된 개념이 보다 구체적인 원형의 형태로 전환되는 단계를 말하며, 원형으로 전환된 개념이란 신제품 개발과 같은 구체적인 형태일 수도 있고, 서비스나 기업혁신의 경우 모델 운영 메커니즘이 될 수도 있다. 이 단계에서는 다양한 부서간의 능동적인 협력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이다.
(5) 지식의 확산 단계
창조된 지식을 조직내부의 다른 구성원 또는 다른 부서에 확산시키는 단
계를 말하며, 심지어 새로운 지식을 기업 외부로까지 확산시킬 수 있다.
'지식확산(knowledge diffusion)'은 상호작용적이고 나선적인 과정을 통해 기업내부(intra-firm)와 기업간(between firms)에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이 단계에서는 창조한 지식을 활용하여 다른 영역에 적용시킬 수 있는 자율성과 응용력이 중요하다.
기업의 5단계 지식 창조 과정
다른 한편, 개인이나 기업뿐만 아니라 사회적 그리고 세계적인 면에서 보
면, 컴퓨터 혁명과 정보통신 수단의 발달로 국경이 없어지고 megatrend
(방송과 통신의 융합)를 형성하며 끊임없이 암묵지와 형식지가 상호결합
및 변환되어 새로운 지식이 기하급수적으로 창출되고 있다. 이러한 급속한
환경의 변화속도에 기인하여 엄청난 양의 신기술과 핵심지식이 창출되고
있는 반면, 기존재품 및 기존기술과 기존지식 또한 급속도로 쓸모없어져 사라지고 있는 것이 제5의 물결인 디지털시대와 지식경영시대의 그림자(shadow)라고 할 수 있다. 부연하면, 근시안(myopia)으로 신기술 및 핵심지식 개발 등 지식창조와 경쟁우위 창출 그리고 "4기적인 기업의 성과와 이익에만 집착하여 가속화 되고 있는 진부화의 문제를 간과함으로써 제품/
기술/지식의 진부화 문제에서 파생되는 산업쓰레기, 환경파괴, 부익부빈익빈 현상의 심화, 인간성과 상호신뢰 상실 및 영혼의 황폐화 등의 문제도 중요한 사회적 이슈가 아닐 수 없다. 따라서 장기적인 안목에서 보면 신기술 개발과 경쟁력 향상만이 지속적인 성장과 발전에 결코 만병통치약(Panacea)일 수는 없다는 점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추천자료
윤리경영의 개념과 활성화방안, 사례
[글로벌 경영] 전략수립과정
고객중심경영의 의의와 원칙, 실천단계
글로벌화 제 요인) 글로벌화의 시장적, 비용적, 경쟁적 요인
[벤치마킹] 벤치마킹의 정의와 유형, 절차, 원리, 역사
리엔지니어링의 의의와 대두배경, 리엔지니어링 성과와 해결방안
블루오션전략의 이념과 원칙, 경쟁전략과 블루오션 전략과의 관계
우량기업의 경영패러다임
전자상거래) 전자상거래의 개념과 문제점, 영향
외국(해외)의 사회적기업의 사례 분석
프랑스의 사회적 기업
기업문화의 구성요소
경영이론(과학적 관리법, 포드시스템, 고전적 조직이론, 관료제모형, 인간관계론, 행동과학이...
글로벌 마케팅 믹스전략) 마케팅 믹스의 요소, 글로벌 제품전략과 글로벌 가격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