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기술능력, 흡수능력, 변형능력
Ⅰ. 기술능력
1. 생산능력
2. 투자능력
3. 혁신능력
Ⅱ. 흡수능력
Ⅲ. 변형능력
Ⅰ. 기술능력
1. 생산능력
2. 투자능력
3. 혁신능력
Ⅱ. 흡수능력
Ⅲ. 변형능력
본문내용
에서 투입은 bath-tub(지식 창고)쪽으로 흐르는 물과 비교될 수 있고, 지식(자원)축적은 bath-tub안에 저장된 물과 비교될 수 있다. 부연하면, 물탱크(지식의 임시저장소)에 물(외부지식을 흡수)을 임시로 저장하여 투입관을 통해 욕조로 흘러 보냄으로써 물을 욕조통(지식창고)에 저장할 수 있다.
즉, 벗물을 물탱크에 저장하여 투입관을 통해 욕조통에 담는 것을 흡수능력이라 할 수 있고, 지식창고의 소용돌이를 통해 새로운 핵심지식을 창출하는 것을 변형능력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경영자원관점에서 보면, 지속적인 경쟁우위는 자원의 흐름 그 자
체로 얻어질 수는 없으며, bath-tub안에 축적된 무형자원인 핵심지식으로
부터 창출될 수 있는 것이다. 즉, 기업은 지속적인 지식의 흡수(투입)를 통
해 기업특유의 무형자원인 핵심지식을 창조하여 축적하고 활용함으로써 지속가능한 경쟁우위를 창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단순한 기존지식의 축적은 환경의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는 역량함정(competency trap)또는 심리적 감옥(psychic prison)에 빠져 위험해질 수도 있기 때문에 기존지식과 창출된 새로운 지식의 결합을 통해 핵심역량(core competence)을 개
발하고 지속적인 경쟁우위를 획득해야 하는 것이다.
지식창고나 bath-tub의 '소용돌이(swirl)'와 '누수(leak)'와 관련해서
동태적인(dynamic) 지식저장고의 유추를 생각해 볼 수 있다. 소용돌이는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기 위해 활용하는 중요한 자원의 혼합을 의미하며, 누수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자원이 감소하거나 진부화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새로운 지식과 통찰력은 새로운 자원의 흐름과 결합된 누수와 소용돌이로 인해 지식창고를 새롭게 업그레이드(upgrade)하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하면, 흡수능력은 모방(imitation)에 가까운 반면, 변형능력은
혁신(innovation)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부연하면, 흡수능력은 외부환경
에 의한 기술적 기회를 활용하고 경쟁기업들로부터 관련기술을 습득한다는 점에서 기업의 중요한 능력이다. 그러나 변형능력이 핵심역량을 활용하여 지속적인 경쟁우위를 창출할 수 있는데 비해, 흡수능력은 경쟁우위를 창출하는데 한계가 있다.
예를 들면, 그 유명한 빌 게이츠의 Microsoft는 Apple의 'MacWrite'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관련기술(또는 지식)을 흡수하여 변형능력을 통해 보
다 뛰어난 기능을 갖춘 "(Window Program 95, 98, 2000 등)"을 개발함
으로써 경쟁우위를 확보하여 성공하게 되었다.
요약하면, 신기술개발 또는 혁신을 위해서는 흡수능력과 변형능력이 매우 중요하다. 과학적 지식 (scientific knowledge), 기술능력 (technological capability)과 노력의 강도(effort of intensity) 그리고 의지 (willingness)를 결합하여 신기술(new technology)을 창조할 수 있는 것이다. 지식기반능력(knowledge based capabilities)의 2가지 형태는 과학적 지식을 활용하여 정보를 평가하는 능력(ability to evaluate information)과 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능력(ability to use information)인 기술능력으로 구분할 수 있다. 특히 기술능력, 흡수능력 (absorptive capacity)과 변형능력 (transformative capacity)은 혁신(innovation)을 보완할 수 있는 자산(complementary assets)이며, 혁신은 기업내부의 지식기반을 보완할 수 있는 자산이라고 할 수 있다.
즉, 벗물을 물탱크에 저장하여 투입관을 통해 욕조통에 담는 것을 흡수능력이라 할 수 있고, 지식창고의 소용돌이를 통해 새로운 핵심지식을 창출하는 것을 변형능력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경영자원관점에서 보면, 지속적인 경쟁우위는 자원의 흐름 그 자
체로 얻어질 수는 없으며, bath-tub안에 축적된 무형자원인 핵심지식으로
부터 창출될 수 있는 것이다. 즉, 기업은 지속적인 지식의 흡수(투입)를 통
해 기업특유의 무형자원인 핵심지식을 창조하여 축적하고 활용함으로써 지속가능한 경쟁우위를 창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단순한 기존지식의 축적은 환경의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는 역량함정(competency trap)또는 심리적 감옥(psychic prison)에 빠져 위험해질 수도 있기 때문에 기존지식과 창출된 새로운 지식의 결합을 통해 핵심역량(core competence)을 개
발하고 지속적인 경쟁우위를 획득해야 하는 것이다.
지식창고나 bath-tub의 '소용돌이(swirl)'와 '누수(leak)'와 관련해서
동태적인(dynamic) 지식저장고의 유추를 생각해 볼 수 있다. 소용돌이는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기 위해 활용하는 중요한 자원의 혼합을 의미하며, 누수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자원이 감소하거나 진부화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새로운 지식과 통찰력은 새로운 자원의 흐름과 결합된 누수와 소용돌이로 인해 지식창고를 새롭게 업그레이드(upgrade)하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하면, 흡수능력은 모방(imitation)에 가까운 반면, 변형능력은
혁신(innovation)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부연하면, 흡수능력은 외부환경
에 의한 기술적 기회를 활용하고 경쟁기업들로부터 관련기술을 습득한다는 점에서 기업의 중요한 능력이다. 그러나 변형능력이 핵심역량을 활용하여 지속적인 경쟁우위를 창출할 수 있는데 비해, 흡수능력은 경쟁우위를 창출하는데 한계가 있다.
예를 들면, 그 유명한 빌 게이츠의 Microsoft는 Apple의 'MacWrite'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관련기술(또는 지식)을 흡수하여 변형능력을 통해 보
다 뛰어난 기능을 갖춘 "(Window Program 95, 98, 2000 등)"을 개발함
으로써 경쟁우위를 확보하여 성공하게 되었다.
요약하면, 신기술개발 또는 혁신을 위해서는 흡수능력과 변형능력이 매우 중요하다. 과학적 지식 (scientific knowledge), 기술능력 (technological capability)과 노력의 강도(effort of intensity) 그리고 의지 (willingness)를 결합하여 신기술(new technology)을 창조할 수 있는 것이다. 지식기반능력(knowledge based capabilities)의 2가지 형태는 과학적 지식을 활용하여 정보를 평가하는 능력(ability to evaluate information)과 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능력(ability to use information)인 기술능력으로 구분할 수 있다. 특히 기술능력, 흡수능력 (absorptive capacity)과 변형능력 (transformative capacity)은 혁신(innovation)을 보완할 수 있는 자산(complementary assets)이며, 혁신은 기업내부의 지식기반을 보완할 수 있는 자산이라고 할 수 있다.
추천자료
윤리경영의 개념과 활성화방안, 사례
[글로벌 경영] 전략수립과정
고객중심경영의 의의와 원칙, 실천단계
글로벌화 제 요인) 글로벌화의 시장적, 비용적, 경쟁적 요인
[벤치마킹] 벤치마킹의 정의와 유형, 절차, 원리, 역사
리엔지니어링의 의의와 대두배경, 리엔지니어링 성과와 해결방안
블루오션전략의 이념과 원칙, 경쟁전략과 블루오션 전략과의 관계
우량기업의 경영패러다임
전자상거래) 전자상거래의 개념과 문제점, 영향
외국(해외)의 사회적기업의 사례 분석
프랑스의 사회적 기업
기업문화의 구성요소
경영이론(과학적 관리법, 포드시스템, 고전적 조직이론, 관료제모형, 인간관계론, 행동과학이...
글로벌 마케팅 믹스전략) 마케팅 믹스의 요소, 글로벌 제품전략과 글로벌 가격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