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이론에 대하여 설명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키는 과정을 통해 기술력을 축적해 나간다고 보았다. 즉, 개발도상국(catch-up countries)은
학습을 통하여 선진국 기술을 받아들이는 획득(acquisition)단계, 내재화하고 소화하는 융화(assimilation)단계, 그리고 응용하는 향상(improvement)단계를 거쳐 기술 또는 지식을 습득/ 축적/ 창조하는 창조단계(generation)에 도달한다는 것이다. 즉, 습득한 지식을 소화하여 응용함으로써 핵심능력을 향상시키고 마침내 마지막 단계에서 새로운 지식을 창조한다는 것이다.
한편, 개도국의 입장에서 보던 성숙기술단계(maturity)란 선진국의 경
화기에 속한 기술을 획득하여 기술기반을 구축하는 단계를 말하며, 중간기
술단계(consolidation)란 전환기에 속한 기술을 획득하여 동일한 기술학
습 과정을 통해 기술력을 축적하는 단계를 말한다. 신생기술단계
(emergence)란 유동기에 해당하는 기술을 독자적으로 개발하여 선진국과
기술교류를 하는 단계를 말한다. 정부를 학습의 촉매제로 본 김인수에 의하면, 우리나라는 성숙기술단계에서 가전과 중화학공업의 기술을 학습하였
고, 중간기술단계에서는 전자와 반도체 기술을 학습하였으며, 신생기술단
계에서 DRAM과 CDMA 기술을 학습하였다는 것이다. 신생기술단계에 있
는 기업들은 자체적인 R&D 활동, 국내연구기관과의 공동연구 등이 중요
한 기술개발의 원천이 되지만, 중간기술단계이전 단계에 있는 기업들은 선
진국 기술의 도입과 개선이 더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이진주(1998)는 학습과 기술이전의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도입기
(initiation stage) => 내재화기(internalization stage) => 창출기
(generation stage)의 과정을 거쳐 자체 개발능력을 보유하며, 그리고 획
득기 => 모방기 => 개량기를 거쳐 새로운 핵심기술을 재발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혁신모델이나 이론은 학습과 기술/ 지식이전을 통해 새로운
핵심지식 창출을 위한 조직의 지식 획득/축적/창조/공유/활용/확산 등
지식경영의 시스템과 프로세스의 틀을 형성하는데 다양하게 응용됨으로석
기여해 왔다. 특히, 공정혁신(Process innovation)의 개념이 지식경영의
프로세스에 폭넓게 그리고 심도 있게 적용되어 왔음을 알 수 있다. 지식경
영의 성공을 위해서는 혁신이론이나 모델을 파악하고 이해하여 실제에 응
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1.09.10
  • 저작시기2011.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12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