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경영의 문제점 및 핵심성공요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려하는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는데, 문제는 어떻게 하느냐와 적정한 수준이 어느 정도인
지를 명확하게 파악하여 실행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다. 가령, 기업은 조직
구성원이 창출해낸 지식의 부가가치를 마일리지로 환산하여 각종 혜택을
부여하고 있지만, 이는 '지식챔피언제도'와 더불어 조직구성원들에게 공정
하게 돌아가지 않는 공정성의 문제점을 야기함으로써 결속력의 저하와 심
지어는 조직의 와해를 초래할 수도 있다.
어떤 의미에서는 조직은 개개인으로 구성된 복잡하고 미묘한 인적 네트
워크이며 조직구성원들 간에 갈등(conflicts)이 증폭되면, 개인의 지식이
조직의 지식으로 체화되어 효과를 발휘할 것이라는 기대는 단지 환상에 지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조직의 지식은 개인의 지식의 통합 내지는 조합을 통해 그리고 다수의 상호작용을 통해 창출되는 것이기 때문에, 지식의 평가와 보상은 그러한 맥락에서 명쾌하게 활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평가와 보상은 조직구성원간 상호작용을 통해 지식을 창출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활용했을 때의 가치로 환산해야 하며, 이와는 대조적으로 낮은 수준의 성과와 결과를 나타내는 그룹에 속해 있는 창의적이고 뛰어난 개인(훌륭한 지식창출자)을 보호하기 위한 평가와 보상도 중요한 이슈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지식경영활동이 기업의 비전과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활동 내지는
전략임을 최고경영층과 조직구성원 모두가 인식해야 지식경영은 성공할 수 있는 것이다. 목표나 비전은 명확하고 실현가능해야 한다. 분명한 목표가 없다는 것은 마치 모든 사람들이 다른 결승점을 향해 달리는 것과 바찬가지일 것이다. 지식경영의 비전과 실천을 위한 전략은 기업의 전사적인 비전과 부합하여야 하며, 지식경영은 각 그룹 혹은 부서의 상황과 수준에 맞는 세부적 목표를 설정하여 달성함으로써 그리고 서로 경영지원활동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전사적인 비전을 달성하기 위한 경영활동인 것이다.
특히 최고지식경영자(CKO)는 조직구성원이 지식을 창출하기 위한 기계가 아니라 기업을 구성하는 주체라는 점과 조직을 위해 기여하고 있다는 사실을 항상 유념해야 한다. 즉, 최고지식경영자(CKO)는 기계주의(mechanism)나 효용주의 (utilitarian)나 물질주의 (materialism) 그리고 심리적 감옥(psychic prison)에서 탈피하여 애타주의(egalitarian)를 바탕으로 변혁적 리더십(transformational leadership) 내지는 카리스마적 리더십(charismatic leadership)을 발휘할 때 성공적인 지식경영을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지식경영에 있어서 조직구성원 간의 상호신뢰(mutual trust)가 가장 중요한 핵심성공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지식경영은 진행되는 과정에서 CKO의 역할이 매우 중요합니다. 업무에 필요한 지식 리스트를 밝혀 내고, 그 지식들을 찾아내는 과정을 체계화할 수 있는 능력을 가져야 하지요. 그리고 중도에 결코 포기하지 않는 끈질김도 CKO의 중요한 요소라고 봅니다." (이랜드 그룹 박성수 회장)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1.09.10
  • 저작시기2011.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12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