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모펀드(PEF)의 개념과 운용기법, 현황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PEF(Private Equity Fund)

Ⅰ. 사모펀드와 공모펀드의 일반적 개념

Ⅱ. 우리나라에서의 PEF의 탄생

Ⅲ. 글로벌 M&A 시장에서 보는 PEF 운용기법

1. 기업 인수합병(M&A) 방식
2. 차입매수방식(LBO 방식)
3. 기업공개(IPO)
4. 바이아웃(Buy Out)
5. 연평균 수익률

Ⅳ. PEF의 구성 및 운용, 보수

Ⅴ. 주요 투자대상

Ⅵ. 국내 PEF 현황

본문내용

r)와 펀드
에 자금을 투자하고 수익을 향유하는 LP(Limited Partner)로 구성된다. 국
내 간투법에 따르면 펀드의 최소 출자가액은 100억 원으로 개인투자자는 최
소 출자금액이 20억원, 법 은 50억원으로 규정되어 있다. 출자금액의 60%
이상은 출자된 날로부터 1년 이내에 경영권 참여를 위한 투자집행을 마쳐
야 하며, 투자대상 기업 지분의 10% 이상을 취득하거나 '5% 이상+임원선
임권'을 확보해야 한다.
GP가 받게 되는 보수는 관리보수와 성공보수로 나뉘는데 관리보수의 경
우는 통상 연간 1 ~3%, 성공보수는 최소 성공 기대수익률(Hurdle rate) 이
상의 초과이익 부분에 대하여 20% 수준에서 결정된다.
5) 주요 투자대상
벤처펀드와는 달리 (1) LBO, MBO또는 차입에 의한 자본 재구축을 꾀하
는 등 기업확장(Expansion)에 투자를 하는 펀드, (2) 기업이나 재무적으로
어려움에 처해 있는 기업을 구조조정을 통해 회생시키는 벌처펀드, (3)산업
에 대한 전문지식이 필요해짐에 따라 특정 산업에만 집중적으로 투자하는
펀드, (4) 지역별로 특정 국가에만 전문으로 투자하는 펀드 등이 있다.
6) 국내 PEF 현황
2004년 말 도입하여 부진을 면치 못했던 PEF는 점차 활성화되어가고 있
다. PEF 제도 도입 초기에는 대부분이 재무적 투자자(Financial Investor,
FI)로, PEF 본연의 역할인 기업가치 제고라는 측면에서는 한계점이 있었
다. 이는 아직 PEF운용주체인 GP들의 운용경험이 부족하고 주가상승으로
인한 상장사들의 가격 메리트가 사라진 시점에서 바이아웃 형태의 전략적
투자보다는 초기시장에서 보다 손쉬운 재무적 투자에 집중한 데 그 원인이
있다.
국내 사모펀드가 생기기 전에는 외국계 사모펀드가 대형금융기관 또는
대기업을 대상으로 M&를 시도하였으나, 국내 PEF도 상호저축은행 인수
등 금융권 M&A와 대기업 M&A로 그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사모펀드 중에서도 (사)한국M&A협회 회원사인 기업은행과 KTB네트워
크가 공동으로 결성한 사모펀드는 10대 차세대 성장산업을 영위하는 중소
기업에 특화하여 세계 일류기업으로 성장가능한 중소기업에 중점 투자하고
본격적인 바이아웃 형태의 선진 M을A 기법을 운영하여 대기업 계열 부실
중소기업들을 클린컴퍼니화 하는 등 기업가치 상승 제고라는 다양한 운영
기법을 활용하여 PEF시장에 자생적 토대를 마련하기 시작했다.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1.09.10
  • 저작시기2011.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13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